印모디, 미얀마 군정 수장에 "지진 후에도 휴전 지속해야"
印모디, 미얀마 군정 수장에 "지진 후에도 휴전 지속해야" 흘라잉 사령관, 태국서 국제회의 참석…'살인자 반대' 시위도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강진으로 3주간 반군과의 임시 휴전을 선언한 미얀마 군사정권 수장에게 지속적인 휴전을 촉구했다. 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BIMSTEC)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 방콕을 방문 중인 미얀마 군정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행사와 별도로 모디 총리,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 등과 회담했다. 모디 총리는 지진으로 인한 일시적 휴전 이후에도 휴전을 영구화할 것을 흘라잉 최고사령관에게 요청했다고 란디르 자이스왈 인도 외무부 대변인이 이날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자이스왈 대변인은 "포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선거로 시작하는 갈등의 정치적 해결이 앞으로 나아가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미얀마 군정은 오는 12월 민정 이양을 위한 총선을 실시할 계획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지원 의사를 밝혔지만, 미국 등 서방국과 미얀마 반군부 진영은 군부 주도 선거는 인정할 수 없다고 반대하고 있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패통탄 총리와의 회담에서는 재난 예방과 초국가적 범죄 예방 등을 논의했다고 태국 당국은 전했다. 그동안 국제 무대에서 사실상 배제됐던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례적으로 이번 회의에 직접 참석했다. 이번 방문을 두고 미얀마 민주 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는 "군정 수장과 대표단의 국제 행사 참석은 불법 통치 체제를 정당화할 우려가 있다"며 "정의에 대한 모독"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방콕 행사장 주변에서는 '우리는 살인자를 환영하지 않는다'는 팻말을 든 이들의 시위도 벌어졌다. 참가국 정상들은 이날 폐막과 함께 발표한 미얀마 강진 관련 공동 성명을 통해 미얀마와 태국에 애도와 연대를 표하고 재난 관리와 예방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8일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인한 미얀마 사망자는 군부 발표 기준 3천100명을 넘어섰다. 이번 지진은 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방콕에서 공사 중인 빌딩이 붕괴하는 등의 사고로 22명이 숨졌다. 1997년 설립된 BIMSTEC는 인도, 태국, 미얀마,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부탄 등 벵골만에 인접한 7개국이 회원인 지역협력체다. [email protected] (끝) 강종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