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골프칼럼] <2369> 턱 끝이 방향을 가늠한다

박윤숙 Stanton University 학장

박윤숙 Stanton University 학장

프를 처음 시작한 사람은 퍼팅이 가장 쉽고, 골프의 연륜이 쌓이기 시작하면 무섭고 두려운 것이 퍼팅이다. 또한 연습이나 대책도 없이 그린에 올라가면 허무한 마음으로 그린을 떠나야 하는 것이 퍼팅이다.
 
골프에서 황당한 상황은 수 없이 많지만 그린에서 한번의 퍼팅 실수가 다음 홀, 그리고 전체 라운드는 물론 티샷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방심하고 친 볼이 턱없이 짧거나 볼이 컵을 한바퀴 돌고 나와 약을 올리고 ‘살짝’친 볼이 한없이 컵을 지나칠 때는 황당, 허무의 감정이 교차한다.
 
고작해야 홀당, 15평 남짓한 18개 원형에 전체 점수 72점(Par), 절반의 36점(Par)이 숨겨져 있다. 따라서 스코어의 절반인 36점을 무시하고 드라이버에만 치중하여 연습하니 핸디캡이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일.
 
퍼팅에는 기본이 없는 것 같아 보이나, 철저한 기본이 필요하고 그린 위의 공략법이 없는 것 같으나 작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퍼팅이다. 여기에 집중력과 담력까지 갖춰져 있어야 퍼팅다운 퍼팅을 할 수있다.
 
특히 다른 샷에 비해 단 1인치의 오차도 용납이 안되는 것이 펏이고 보면 예술과 수학이 합쳐진 것이 퍼팅이라는 것을 실감케 한다.
 
퍼팅의 기본 자세는 스퀘어를 기본으로 하지만, 주의할 것은 목표방향 컵을 향해 스퀘어 자세가 아닌 볼이 굴러가야 할 선(aiming line)에 스퀘어로 서야 한다.
 
이와 같이 퍼팅 라인을 설정했다면 볼이 굴러갈 선상에 점(spot)을 가상으로 만들고 이 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스퀘어 스탠스를 취해야 한다. 볼 위치는 왼발 뒤꿈치 선상에 오도록 자세를 취한 후, 컵의 방향과는 상관없이 퍼터 타면(face)을 가상점에 직각이 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자신의 턱 끝이 수직으로 지면을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턱 끝의 방향이 목표 쪽으로 향하고 있으면 볼이 컵의 오른쪽으로 밀려나 갈 확률이 높고, 턱 끝이 오른쪽 어깨 쪽을 향하면 볼을 덮어 쳐 목표의 왼쪽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턱 끝은 퍼팅의 방향키(key)로 언제나 점검하고 바르게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퍼팅에서 또 다른 원칙은 거리감이 최우선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짧은 것 보다는 긴 게 낫다는 뜻이다. 지나치게 방향에 치우치면 거리감을 상실, 오른손이 흔들리며 스트로크 원칙을 크게 벗어난다.
 
왼손은 방향을 조절하며 오른손은 거리감을 조절, 지시하는 것으로 사용하지만 중요한 거리 느낌은 그린상태나 경사도에 따라 스윙의 폭이나 느낌으로 이를 찾아야 한다. 특히 볼을 친 후 퍼터 타면이 직각으로 컵을 향하도록 팔로스루에 만전을 기해야 볼의 구름이 매끄럽고 목표를 크게 벗어나질 않는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 골프 클럽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