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뉴욕시 노숙자 단속 효과 미미

노숙자서비스국 350만불 사용
3500명 중 114명만 셸터 보내

뉴욕시가 대규모 자금과 인력을 투입해 노숙자를 셸터나 영구적인 주택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뉴욕시 노숙자서비스국(DHS)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시정부는 2300개의 노숙자 캠프를 철거하는 데 350만 달러를 지출했다. 브루클린·퀸즈·브롱스길거리나 사람들이 많이 몰리지 않는 다리 밑에 자리잡고 있던 노숙자 캠프를 정리하면서 약 3500명의 노숙자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렇게 정리된 노숙자 중 막상 시정부가 운영하는 셸터로 이주한 노숙자는 114명에 불과했다. 결국 시정부 단속에 노숙자들이 장소를 강제로 옮기긴 했지만, 셸터로 이동하진 않아 달라진 것은 없는 셈이다.  
 
시정부가 노숙자 단속에 투입한 비용 중 대부분은 뉴욕시 청소국(DSNY) 비용으로 처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숙자 캠핑 장소를 강제로 정리하고 남은 쓰레기나 잔해를 치우는 데 든 비용이 가장 많이 들었다는 얘기다. 단속반에 동원된 뉴욕시경(NYPD) 인력에 쓴 비용이 뒤를 이었고 시 공원국, 노숙자서비스국 비용도 포함됐다.  
 
샌디너스(민주·37선거구) 뉴욕시의원은 “거리에서 지내던 노숙자 중 현재 셸터로 들어간 사람이 거의 없다는 사실은 시정부의 노숙자 캠핑장 철거 활동이 실패라는 것을 제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셸터 내 폭행 범죄가 심각해 셸터가 더 안전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노숙자가 많다는 점, 각종 지원을 위해선 신분 확인이 필수라는 점 등 때문에 노숙자들이 셸터 입주를 꺼린다고 입을 모았다.  
 
노숙자 권익 옹호 단체들은시 정부가 주도하는 강압적인 노숙자 거주지 청소보다는, 노숙자들이 셸터에 입주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이전부터 지적해 왔다. 에두아르도 벤투라 세이프티넷액티비스트 관계자는 “노숙자들이 살아갈 수 있게 도와주기는커녕, 더 힘들게 하면서 동시에 시 정부 자원은 낭비하는 행태는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