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오대호의 형성 과정

인디애나 듄스에서 바라 본 미시간 호수 건너 시카고 다운타운.
만약 강수가 공급되는 주택에서 연수기를 돌리지 않을 경우 마시는 물은 정수기를 거치거나 생수를 마셔야 하고 세탁기와 식기세척기 등은 강수에 포함된 미네랄로 인해 물 공급관 등이 막히는 피해를 겪을 수 있다. 연수기는 보통 소금 덩어리를 정기적으로 공급해 줘야 하고 청소를 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소금을 쓰지 않는 최신 기술이 접목된 연수기를 집에 설치할 경우에는 수천달러를 호가하는 비용을 감당해야 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호수물이 아닌 강수를 식수나 생활용수로 쓸 경우에 이래저래 불편함이 더해지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몇 해 전 미시간주 플린트 지역에서 발생한 식수 오염 사건 등을 고려하면 깨끗한 미시간 호수물을 마시는 시카고 주민들은 가히 특혜를 받고 있다고 봐도 큰 무리는 아닐 것이다. 이로 인해 부동산을 거래할 때 주택의 정보를 공개하는 자료를 살펴볼 때에는 물 공급이 미시간 호수에서인지, 우물을 이용하는지도 꼼꼼히 따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시카고 서버브 지역에서는 미시간 호수에서 끌어온 물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시카고 취수원에서 끌어온 물에 대해서는 사용료를 납부하기도 한다. 오래된 상수도 파이프 교체 등으로 인해 시카고 주민들도 나름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물 자체만 놓고 보면 굉장한 혜택을 받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렇게 우리 일상 생활에서도 큰 영향을 끼치는 미시간 호수에 관련한 새로운 소식이 최근 나왔다. 바로 미시간 호수를 비롯한 오대호가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설명하는 논문이다. 지금까지는 오대호가 빙하기에 등장한 대형 빙하의 형성과 움직임으로 인해 호수가 형성됐다고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빙하기는 지금으로부터 1만년에서 1만4000년 전에 있었기 때문에 오대호의 역사도 그 만큼 긴 것이라는 것이 학계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시카고에서 가장 가까운 인디애나 듄스에 가면 듄스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안내문이 있다. 인디애나 듄스가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그 안내문을 유심히 살핀 적이 있었는데 그 안내문에도 미시간 호수의 형성이 빙하로 인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광대한 모래 언덕은 예전에는 호수에 잠긴 부분이었으며 수위가 낮아지고 바람과 조류 등의 영향으로 모래 언덕이 더욱 커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제기된 주장은 오대호와 빙하의 관계 대신 케이프 베르데 핫스팟(Cape Verde Hotspot)이 거대한 호수를 만들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시기는 빙하기 보다 훨씬 긴 약 2억년에서 3억년 전이다. 이를 받아들이면 지금보다 오대호의 역사가 훨씬 더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주장은 지구 내부 깊은 곳에 위치한 케이프 베르데 핫스팟이 상승하면서 지층에 낮은 지형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후 빙하가 더욱 깊게 깎아내며 현재의 호수를 형성했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케이프 베르데 핫스팟은 현재 대서양에 위치하고 있는 섬들을 만든 화산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화산 활동으로 다수의 섬들을 만들었는데 2억년 전에는 이 핫스팟이 현재의 오대호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는 현재의 대륙과 대양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의 팡게아라는 거대 대륙이 존재했었는데 그 때 발생한 화산 활동으로 오대호의 기반이 만들어졌고 이후 한참 뒤인 1만년 전에야 빙하가 나타났고 오대호가 현재의 모습이 됐다는 새로운 주장이다.
시카고는 미시간 호수와 떼어 놓고는 그 근원과 역사를 제대로 설명할 수가 없다. 애초 시카고라는 도시가 만들어지고 유럽 이민자들에게 알려지게 된 것도 미시간 호수와 미시시피강을 연결성을 살피려는 노력으로 인해 가능했기 때문이다. 현재의 아름다운 다운타운 스카이라인도 멀찍이 떨어져 미시간 호수에서 바라볼 때가 가장 아름답다. 직선거리상 차로 40분 거리인 인대애냐 듄스에서 바라보는 시카고 다운타운은 미시간 호수 위에 떠있는 가상의 도시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시카고 주민들과 떼어놓을 수 없는 미시간 호수와 오대호가 아직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은 탄생의 신비를 갖고 있었다는 사실이 새삼 놀랍기만 하다. 오대호는 면적으로 보면 세계에서 가장 크고 담수량으로 보면 바이칼 호에 이어 두번째다. 오대호가 담고 있는 민물은 전 세계 민물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로렌스강을 따라 대서양과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미시시피강과 연결되는, 현재도 수송과 레저 수단으로 애용되는 주요 수로다. (편집국)
Nathan Park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