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한미박물관 세대교체가 답이다

크리스토퍼 이 건축가·다큐영화감독
박물관 사업 초기에는 한인 사회의 염원이 담긴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그동안 수차례의 설계 변경과 비용 증가로 인한 혼선, 부족한 자금 조달, 그리고 리더십 부재가 지속적으로 발목을 잡았다.
지금까지 2000만 달러가 모였지만, 전체 건립 비용을 충당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팬데믹으로 인해 모금 활동이 위축되었고, 주요 기부자의 사망도 자금 확보에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시 정부와의 협의 난항까지 더해지면서 사업은 끝없이 지연되었다. 두 차례의 시민 공청회와 연방국세청(IRS) 고발 이후 박물관 홈페이지가 다시 활성화되는 변화가 있었지만, 실질적인 진전은 거의 없고, 같은 인물들만 반복해 등장할 뿐이다.
그러나 한미박물관 건립이 실패하는 더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 30년 전 사업이 시작될 때부터 세대교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그 과정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시 세대교체를 외쳤던 1.5세들은 이제 50대, 60대가 되어 은퇴를 앞두고 있다. 다행히 다른 여러 한인 단체에서는 세대교체가 이루어졌고, 한미박물관 이사진들도 이를 고려하고 있다고 듣고 나선 다행이다 싶었다.
하지만 말 뿐이었다. 30년 전 이 사업을 주도했던 세대는 이제 80대, 90대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인들의 욕심과 함께 자리를 지키며 변화를 가로막고 있다. 책임을 회피하고 남 탓만 하는 사이 사업은 정체된 시간 속에 갇혀 있다. 공청회를 열어 요구한 질문에 돌아온 답들이 그저 그들이 살아있는지 확인하는데 그치고 있는 것 같아 창피하고 허무하다.
30년 전만 해도 컴퓨터 386과 486을 사용하던 시대였다. 그 후 급속한 기술 발전을 거쳐 10여 년 전부터 온라인 도서관이 등장했고, 옛 사진들은 720p 화질로 디지털 아카이브로 보관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그 역시 낡은 시스템이 되어 AI 기술을 활용해 4K 화질로 복원이 가능하고, 정적인 사진들로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이런 급속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요즘, 왜 기성세대들은 486 시대의 사고방식을 고집하고 있나.
이제는 변화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세대들을 내세워야 한다. 박물관 사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돈과 시민들의 관심이 없어서가 아니라, 변하지 않은 낡은 구조 때문이다. 기록하는 세대보다는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세대가 주도해야 이 시대에 맞는 박물관과 시민 공간이 만들어진다.
박물관은 단순한 전시 공간이 아니다.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며, 우리의 역사가 다양한 세대와 다민족 사회 속에서 소통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한미박물관은 반드시 건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리더십 개편과 적극적인 소통이 절실하다. 이제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한인 사회는 관심을 가져야 하고, 운영진은 투명한 소통을 해야 한다. 문을 열고 한인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한미박물관 건립은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 된다.
크리스토퍼 이 / 건축가·다큐영화감독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