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팔방미인이 유리할까, 한 분야를 잘 하는게 유리할까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명문대 입시에서 팔방미인이 유리할까, 한 분야에 특화된 학생이 유리할까?
 
 
▶답= 정답부터 말하자면 적당히 팔방미인도 되어야 하고, 한 분야를 뛰어나게 잘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통 팔방미인이라고 하면 여러 분야를 두루 잘 하는 학생을 뜻한다. 하지만 이런 학생은 어느 한 분야를 아주 깊이 있게 파고들지는 않는다. 
 
수 십 년 동안 엘리트 대학에 진학하려면 팔방미인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이 존재했다. 하지만 탑 스쿨 합격률이 한자리 숫자로 떨어지는 등 입학 경쟁이 치열해지고 대학들이 지원자로부터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기가 불가능한 시대가 되면서 팔방미인형 학생이 아직도 입시에서 통하는지 궁금해하는 학생 및 부모들이 많다.  
 
잘 알다시피 뛰어난 성적과 시험 점수, 강한 과외활동과 에세이 만으로는 탑 스쿨 합격이 보장되지 않는다. 지금은 많은 탑 대학들이 ‘훅’(hook)을 기대한다. 훅이란 특정 지원자를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하는 특별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전국적으로 이름을 날리는 스포츠 스타라든지, 세계적인 명성이 있는 피아노 대회에서 우승을 했다든지, 코딩 천재라든지, 남들이 도저히 흉내 낼 수 있는 ‘특별함’을 갖추었으면 훅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학생들은 훅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을 것이다.  
 
대학들은 훅이 있는 학생들과 팔방미인형 학생들을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훅을 가진 학생들끼리, 팔방미인형 학생들끼리 합격하기 위해 경쟁한다고 보면 된다. 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대이긴 하지만 여러 분야를 두루 잘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명문대 합격증을 손에 넣기 위해서는 훅이 있는 학생들도 뛰어난 성적, 시험 점수, 에세이, 추천서 등이 갖춰져야 한다. STEM 전공을 희망해도 글쓰기, 리딩 등의 분야에서도 수준급 실력을 보여야 입시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어떻게 보면 팔방미인이면서도 훅 하나쯤은 있어야 가장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명문대들은 지원자에게 영어, 수학 등 핵심과목을 4년간 수강할 것을 요구한다. 대입 원서를 쓸 때는 모든 섹션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어느 한 부분만 돋보이게 해서는 안 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이 있듯 팔방미인이면서도 훅을 갖춘 학생이 되도록 노력해 보자.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