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종교와 트렌드] 절대 권력과 절대 신앙

거리의 철학자로 알려진 에릭 호퍼(Eric Hoffer·1902~1983)는 미국의 철학자다.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않았지만 깊이 있는 통찰력의 저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책들을 읽다 보면, 그 통찰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주로 부두 노동자와 같은 육체노동자로 살아가면서, 독학으로 철학, 역사, 문학을 공부했다.
 
뉴욕 브롱스에서 태어난 에릭 호퍼는 LA 지역에서도 일정 기간 활동한 이력이 있다. 그는 젊은 시절 서부를 떠돌며 여러 도시를 전전했고,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는 LA를 포함한 캘리포니아 곳곳에서 일용직 노동자로 일했다. 특히 LA 항만 지역에서 부두노동자로도 일한 경력이 있다. 호퍼는 개인의 자율성과 자유의지를 강조했으며, 이념이나 집단에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태도를 비판했다.
 
에릭 호퍼는 ‘맹신자들(The True Believer)’이라는 저서를 통해 대중운동에 쉽게 휘말리는 인간 심리를 날카롭게 분석했다. 그는 한 가지 공통점을 지적한다. 히틀러의 나치즘, 스탈린의 전체주의, 종교적 광신주의 등 모두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능력을 포기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호퍼가 경고한 ‘맹신자’의 모습은 단순한 열정이 아니다. 그것은 비판 없이 따르고, 자기 의지를 상실하며, 외부 권위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태도이다. 문제는 이러한 심리가 신앙의 영역에도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성도들 중 일부는 하나님의 말씀보다는 목회자의 말, 집단의 분위기, 전통적 습관에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를 그런 방식으로 부르지 않았다. 하나님은 인간을 ‘생각하는 존재’로 지으셨고,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끊임없이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라고 묻는다(마 16:15). 이는 각자의 신앙 고백을, 자기 판단과 책임 속에서 하라는 뜻이다.
 
이 말씀은 맹신이 아닌, 깊은 인식과 자발적 결단에서 나오는 믿음을 보여준다. 주체적인 신앙이란, 질문하고, 고민하고, 말씀을 붙잡고 씨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믿음은 단순한 정보 습득이나 규범의 수용이 아니라, 인격적 만남이며 삶 전체를 통째로 맡기는 깊은 결단이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 8:32)고 하신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많은 사람들이 진리를 알면서도 여전히 신앙 안에서 불안하고 억눌리는 감정을 경험한다. 진리 안에서 자유하지 못하고, 누군가가 정해 준 ‘틀’ 안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주체적인 신앙을 가진 사람은, 비난받더라도 질문한다.
 
오늘날 성도는 더 이상, 생각하지 않는 신앙, 성경을 스스로 읽지 않는 신앙, 공동체 속에서 편안함만 찾는 신앙에서 벗어나야 한다. 모든 성도는, 하나님 앞에 홀로 설 수 있는 신앙인이 되어야 한다. 내가 믿는 바를 스스로 설명할 수 있고, 흔들리는 세상에서도 ‘나는 누구이고, 왜 이 길을 가는가’를 분명히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email protected]

이종찬 / J&B푸드컨설팅 대표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