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뀐 CDPAP<간병인 지정 프로그램> 너무 어려워 이용 포기”
뉴욕주, CDPAP 중개기관 700개→1개로 축소
한국어 지원 서비스 없어 정보 부족현상 시달려
잘못된 정보에 결국 500불 내고 일반 간병인 전환
#. 또 다른 한인 김모 씨는 제도가 바뀐다는 소식을 듣고, 뉴욕주정부가 공식 승인한 중개업체로 직접 옮겨보려 하고 있지만 막막하다. 회원으로 등록된 홈케어에 물어보니 “원한다면 뉴욕주 공식 업체로 옮기시라”는 답변만 돌아왔기 때문이다. 그는 “대체 어떻게 옮기라는 건지, 주정부 업체에 전화하니 받지도 않는데 답답하다”고 말했다.
뉴욕주정부가 ‘간병인 지정 프로그램’(Consumer Directed Personal Assistance Program·CDPAP)을 투명하게 운영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바꿨지만, 한인들은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기존엔 한인 밀집지역 플러싱 홈케어 업체를 비롯해 700여개 업체가 ‘재정 중재자’(Fiscal Intermediaries·FI) 역할을 했지만, 이제 주정부가 승인한 ‘퍼블릭 파트너십스’(Public Partnerships, LLC·PPL)를 통해서만 등록해야 하기 때문이다. 뉴욕주 전체 가족 간병인 고객을 한 업체가 관리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커지자 PPL 등록을 도울 수 있는 지역 파트너 42곳도 선정했지만, 막상 한인들이 편히 방문할 수 있는 업체는 한 곳도 선정되지 못했다. 중국계 홈케어 업체가 제공하는 한국어 통역 서비스 등에 의존해야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올 초부터 전환 작업을 시작한 후 25만명 이상이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지만, 한인을 비롯한 이민자들은 사각지대에 빠져 있는 것이다.
한 순간에 기존 고객을 잃을 위기인 한인 홈케어 업체들은 아예 고객들에게 ‘일반 간병인 제도’로 바꾸라고 조언해 왔다. 플러싱의 한 홈케어 관계자는 “CDPAP을 그대로 이용하려면 PPL로 가셔야 하는데, 많은 한인이 번거로운 PPL 등록 대신 본인을 간병인으로 등록하기 위해 자격증을 땄다”고 말했다. 일부 데이케어나 홈케어에선 설명이 너무 어려워지자 “이제 CDPAP 제도는 없어졌다”며 잘못된 정보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막상 주정부가 선정한 PPL에 직접 CDPAP 등록을 하기도 매우 까다롭다. 이 업체는 “CDPAP이 사라지는 것은 절대 아니며, 직접 등록하면 그대로 가족이 간병한 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며 홍보하고 있지만, 언어적 장벽이 있는 한인들은 등록에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PPL에선 영어와 아랍어·중국어·스페인어·이탈리아어·크리올어·방글라데시어 등을 제공하는 전화번호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지만, 한국어는 별도 상담 라인도 만들어져 있지 않다. 대표 영어 회선도 전화 연결은 하늘의 별따기다.
현재 주정부는 PPL 업체의 CDPAP 등록 홍보가 부족하다는 비난이 이어지자 새 프로그램 등록 마감일을 기존 4월 1일에서 30일로 연장했다. 주정부가 선정한 업체(PPL)에서 CDPAP 등록은 웹사이트( pplfirst.com)에서 가능하다. PPL 등록을 도와줄 수 있는 기관( pplfirst.com/cdpap-facilitators)에 연락하거나, 전화(833-247-5346)로도 등록할 수 있다.
김은별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