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 소비자 경제 기대심리 급락세
지난해 10월 대선 전 대비 38%↓…13년래 최저치
트럼프 정책 불안 증폭에 전국 신뢰지수도 바닥
LA데일리뉴스는 민간 경제연구기관 콘퍼런스보드의 3월 소비자신뢰지수 발표를 인용해 가주의 기대지수(Expectations Index)는 63포인트를 조금 넘는 수준으로 전달 대비 15% 하락했다고 지난 28일 보도했다.
이는 2012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10월 대선을 앞두고 기록한 수치 대비 38% 낮으며, 2007년 이후 평균치보다 26% 낮다.
기대지수는 향후 6개월의 경기, 소득, 고용 전망을 반영하는 지표로 가주 소비자들의 향후 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체 측은 최근 지표 하락은 올해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이후 발표된 정책들의 불확실성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연방정부 지출 삭감, 대규모 추방정책, 무역 관련 조치 등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움직임들이 경제 전망에 대한 소비자 불안을 증폭시켰다는 것이다.
한편 현재 경제 상황을 평가하는 현황지수(Present Situation Index)는 14% 상승하며 1년 내 최고치로 올랐다. 이 지수는 현재 고용 및 비즈니스 여건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반영하며, 장기 평균보다 33% 높은 수준이다. 대선 이후 기준으로는 6% 하락했다.
기대지수와 현황지수를 종합한 가주의 3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전월과 비교하면 큰 변동은 보이지 않았다. 다만 지난해 10월 대비로는 19% 하락하며 4년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선이 치러지는 시기에 가주의 소비자들은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쏟아내는 정책에 크게 실망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국 소비자신뢰지수는 3월 기준 92.9포인트로, 전월보다 7.2포인트 하락했다. 현황지수는 3.6포인트 떨어진 134.5, 기대지수는 9.6포인트 감소한 65.2를 기록했다.
전국 기대지수도 가주의 기대지수처럼 1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80포인트가 경기 침체 신호로 간주되는 것을 고려하면 전국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바닥’을 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콘퍼런스보드의 글로벌 지표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테파니 기샤르는 “기대지수 하락이 전반적인 소비자신뢰지수 약세를 주도했다”며 “앞으로의 고용 전망에 대한 신뢰가 12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고, 최근까지 유지되던 미래 소득에 대한 낙관도 크게 약화했다”고 분석했다.
기대지수의 하락은 55세 이상 소비자층에서 두드러졌으며, 35~55세 연령대에서도 하락세가 나타났다. 반면 35세 미만 소비자들은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있어 전체 지수는 소폭 상승했다. 소득별로는 연간 12만5000달러 이상 고소득 가구를 제외하고 모든 소득 계층에서 소비자신뢰지수가 하락했다.
조원희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