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열린광장] 광야를 채우는 첫사랑의 기억

김효남 HCMA 채플린 본부 디렉터

김효남 HCMA 채플린 본부 디렉터

어쩌면 인간은 사랑 이야기에 질릴 법도 하다. 문학, 음악, 예술, 영화는 물론이고, 주변의 감동적인 사랑의 순간들까지, 우리는 이미 충분히 많은 사랑 이야기를 접해왔다. 누구나 가슴속에 사랑 노래 한두 곡쯤, 잊지 못할 사랑 이야기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여전히 모든 영역에서 끊임없이 사랑 이야기를 갈망하며 귀 기울이는 것일까.  
 
그 이유 중 하나는 명확하다. 삶의 근원적인 힘이 되어주는, 그 어떤 것으로도 대체 불가능한 사랑을 아직 온전히 경험하지 못한 인간의 깊은 갈증과 아픔 때문일 것이다.
 
특히 현대 사회의 환경은 인류에게 더욱 절실하게 진정한 사랑과 희망의 증표를 찾도록 요구한다. 임상목회학의 관점에서 볼 때, 현대인은 에른스트 베커의 “죽음 부정의 시대”나 빅터 프랭클의 “의미를 찾아나선 인간”에서 제시된 무거운 주제들과 다시금 마주하고 있다.  
 
피할 수 없는 질병과 죽음을 외면하거나 은폐하려 하고, 내면의 공허함의 이유를 애써 외면하며, 노년을 성숙과 삶의 결실의 계절이 아닌 돌봄과 의존의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연하기 때문이다. 이는 미디어가 묘사하는 노년의 모습에서도 노화 과정과 노인에 대한 편견을 구분하지 못하는 이미지로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현대인은 고독과 아픔 속에서 소진되지 못한 삶을 안타까워하기보다는, 내면 깊숙이 자리한 영혼의 목마름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며 더 큰 의미를 찾아 나서야 한다.
 
인류는 어김없이 새로운 사순절을 맞이하여 40일간의 거룩하고 헌신적인 사랑에 대한 묵상의 여정을 시작했다. 학생, 직장인, 질병과 싸우는 환자, 새로운 인생을 맞이한 은퇴자, 타지에서 헌신하는 이, 그리고 남모르는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이 40일간의 묵상 여정에 동행하자.
 
동시에, 올해의 사순절 여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감사히 여기며 시작하자. 또 다른 사순절은 우리가 원한다고 해서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묵상의 시간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선물이다. 이 기간을 통해 우리는 역사적인 첫 부활절 새벽의 기쁨과 소망을 더욱 깊이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 이러한 특별한 시간이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하다.
 
성경은 그 소망의 언약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위하여 화목제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니라. 사랑하는 자들아 하나님이 이같이 우리를 사랑하셨은즉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니라.”
 
만약 누군가가 우리 대신 갚아야 할 빚을 “전액 완불”해 주었다면, 우리는 그날부터 시작된 새로운 삶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현대라는 광야에서 길을 잃을 때, 우리에게 먼저 베풀어주신 그 거룩한 “먼저 사랑”에 의지하며, 이전보다 더욱 풍성한 은혜가 우리 마음속에 가득 채워지는 사순절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김효남 / HCMA 원목협회 디렉터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