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3일만에 오는 국산 우유와 90일된 수입산 멸균우유의 신선도 차이 고려해야

먼 바다 건너 배 타고 온 90일된 수입산 멸균우유와 옆동네서 차로 3일만에 온 국산 우유, 무엇이 더 신선할까? 대표적인 신선식품으로 꼽히는 우유, 소비자들은 어떤 기준으로 우유를 선택할까? 최근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가 발표한 ‘2024년 우유·유제품 소비행태조사’ 결과를 보면 이 질문에 답을 찾을 수 있다.
 
[사진제공 : 우유자조금]

[사진제공 : 우유자조금]

전국 만 14세 이상 69세 미만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 따르면, 수입산 멸균우유 음용 경험자 (50.5%) 중 37.3%가 '소비기한이 너무 길어 안전성이 의심된다'고 응답했다. 또한 27.6%는 '국산 우유에 비해 신선하지 않다'고 답해 국산 우유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드러냈다. 이는 소비자들이 ‘신선도’와 ‘안전성’을 중요하게 고려해 국산 우유 및 유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지난해 12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실시한 ‘2024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의 〈식생활 행태 및 식품정책〉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100점 만점에 80.9점으로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즉 국내산 식품에 대한 신뢰도와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가격 경쟁력과 보관의 편리함을 앞세운 수입산 멸균우유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사실이 바로 우유가 가진 본연의 가치인 ‘신선함’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여전히 우유 구입 시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정보 1순위로 ‘신선도’를 꼽는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국산 우유의 신선함이, 수입산 멸균우유와 무엇이 다를지 궁금할 수 밖에 없다.
 
우선 국내에서 생산되는 우유는 착유 후 빠르게 냉각돼 외부에 노출하지 않은 상태로 살균과 균질화 처리만 거쳐 2~3일 내 유통된다. 특히 목장에서 생산된 우유가 집유, 살균, 검사,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냉장 유통 시스템인 ‘콜드체인’을 적용하여 철저하게 관리되므로 소비자는 갓 짠 우유의 신선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또 유통기한은 11~14일로 짧아 신선도 관리가 필수적인 식품이다.
 
실제로 우유는 식품 가공 단계에 따라 분류되는 식품분류체계, 노바(NOVA) 시스템에서 '최소 가공 또는 자연식품'으로 분류되며, 이는 식품 가공 군 중 1군으로 대표적인 신선식품에 해당한다.
 
수입산 멸균우유는 유통기한이 보통 1년으로 매우 길게 설정돼 있고 생산된 완제품이 국내에 들어오는데 최소 한 달 이상이 소요된다. 즉, 생산부터 소비자의 손에 닿기까지 세 달 정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신선함은 기대할 수 없다는 평가다.
 
실제 국내 온라인(네이버 및 각종 소셜커머스)에서 판매 중인 수입산 멸균우유(1L) 5종(믈레코비타, 갓밀크, 밀키스마, 올덴버거, 오스트렐리아스)의 잔여 유통기한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제조 후 3~4개월 경과된 제품이었으며 올덴버거의 경우 제조 후 평균 5개월 된 제품을 판매하고 있었다. 믈레코비타의 경우 최소 2개월(약 9주)된 제품, 오스트렐리아스는 3개월 3주 제품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국산 우유의 이러한 신선도는 품질과 직결된다. 우유의 원재료가 되는 원유의 품질은 체세포수와 세균수로 결정되는데, 두 가지 모두 수치가 적을수록 고품질이라고 할 수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발표한 '2024년도 상반기 원유검사 결과'에 따르면 체세포 수 1등급 비율은 71.88%다. 이는 2023년 71.13%인 전년 대비 0.75% 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세균 수 1등급 비율은 무려 99.62%를 기록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원유 위생 등급 기준에 따르면 세균 수 1A 등급은 1ml당 3만 개 미만, 체세포 수 1등급은 20만개 미만을 충족해야 한다. 이는 낙농선진국 덴마크와 동일한 수준이며 여타의 해외 낙농선진국 보다도 엄격한 기준을 따르고 있다.  
  

최지원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