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생각하며] ‘나그네에게 봄이 오는가’
북클럽에서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에 대해서 읽었다. 늘 회자하는 피카소처럼 슈베르트도 이름만 알고 있었다. 낭만주의 시인 뮐러의 시를 읽고 감동한 슈베르트가 곡을 붙였다고 한다. 겨울 나그네는 24개의 시로 이루어진 가곡이다. 책의 무게감을 느끼며 처음에는 집중하기 힘들었다. 자꾸만 창가로 눈이 갔다. 회색 하늘 밑에 말라비틀어진 잔가지들이 보인다. 봄이 오기 전, 황량한 모습이다. 겨울 나그네 첫 번째 곡을 틀었다.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첫 곡의 제목이 밤 인사다. 왜 시작부터 밤 인사인가? 밤에 어디 떠나는가? 퉁퉁퉁퉁, 피아노 음이 저음으로 내려간다. 나그네의 발자국이 터벅터벅 꺼질 듯이 무겁다. 음악이 내 감성을 자극했는지, 나는 1820년대 추운 북유럽을 배회하는 나그네가 되어본다. 나는 밤 인사의 가사를 따라간다. 음악은 애잔하고 비통하다.‘이방인으로 왔다가 이방인으로 떠나네… 그대의 어머니는 결혼도 언급했지만…’
가사는 뮐러가 쓴 시다. 시가 그렇듯이 자세한 서사는 피하고 있다. 나는 숨은 이야기를 상상해 보았다. 나폴레옹이 침략 전쟁을 시작할 무렵이다. 당시 독일은 통일 전이었기에 존재감이 없는 미미한 나라였다. 프랑스의 팽창을 보면서 독일인은 시대를 비관했다. 젊은 남자들이 봇짐 하나 지고 무작정 떠도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다. 길 가다가 지치면, 연줄로 아는 귀족의 집에 들렀을지도 모른다.
무뚝뚝한 늙은 남편만 보던 귀족 부인들은 아름다운 청년이 식탁에서 괴테 운운하며, 세상 이야기를 해 주니 살맛이 났을 것이다. 머무는 동안 딸의 가정교사를 해달라고 부탁한다. 이렇게 해서 지체 높은 아가씨와의 로맨스가 시작되지만, 해피 엔딩은 아닐 것 같다. 왜냐하면 어릴 때부터 혼담을 약속한 이웃 마을 귀족 자제가 있기 때문이다. 아가씨는 가문을 위해서 애틋한 이별을 한다. 가정교사는 아가씨가 깊이 잠든 밤에 문소리 내지 않고 떠난다. ‘안녕 내 사랑…’으로 노래가 끝난다.
당시에 정처 없이 헤매는 사람들은 또 있었다. 독일은 러시아를 치러 가는 나폴레옹에게 길을 내주어야만 했다. 전쟁에서 퇴각하면서, 군인들은 낙오자가 되었다. 군대를 버리고 도망치는 탈영병도 있었다. 말을 잃어버린 기병이 추운 겨울에 산속을 헤매고 있다. 바싹 마른 침엽수 사이를 찢어진 망토를 두르고 절뚝거리며 걷는다. 그루터기에 앉아 있던 까마귀가 그의 검은 코트 자락을 맴돈다. 까마귀는 흉조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갈 곳이 없는 그에게는 자멸의 길만 남은 것 같다. 제15곡 까마귀라는 제목이다.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으니 연가곡에 얽힌 배경이 조금 이해가 되었다. 유럽은 다시 왕정으로 복귀했고, 국민을 쥐잡듯하는 경찰국가가 등장했다. 왕으로 등극한 정치가가 사람의 숨통을 조여오니, 사람들은 시대에 순응하면서 살 수밖에 없었다. 이 시대를 비더마이어 시대라고 부른다. 비더마이어는 ‘멍청한 마이어 아저씨’라는 의미라고 한다. 사람들은 방으로 숨어들어서 피아노를 한 대 놓고 가수를 초청하여 이런 애절한 가곡을 들었다. 살롱 문화가 유행할 무렵이다. 힘없는 사람들이 나라를 대항하여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잘못하면 잡혀가는 세상인데. 애인을 그리워하는 노래 같지만 시대를 비관하는 현실 풍자가 숨어있다.
31세로 애잔한 생을 마감하기 직전까지 슈베르트는 혼신을 다하여 겨울 나그네를 작곡했다. 슈베르트라는 이름에 무덤덤했던 나는 책과 음악에 빠져들었다. 200년 전 천재 음악가와 만나서 대화라도 나눈 듯하다. 지금 동시대 낭만주의 화가, 카스파 프리드리히 데이비드의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그가 그린 ‘숲속의 추격병’이란 그림이 있다. 황량한 산을 고독한 남자가 떠도는 그림이다. 겨울 나그네에게는 봄이 올 것 같지 않지만, 나는 내친김에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회를 보러 가야겠다. 봄의 기운이 외출을 부추긴다.
김미연 / 수필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