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늘면 소득세 없앨수도…대기업들 곧 美투자 발표"(종합)
뜻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할 기업들을 구체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으나 한국 기업이 포함될지 주목된다. 조지아주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줄줄이 둥지를 틀어 미국 내 신흥 자동차 생산 거점으로 꼽히며, 한국에서는 현재 현대차와 기아차,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SK온, SKC, 한화큐셀 등이 진출해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에 입각해 멕시코 내 생산 기지를 통한 무관세 대미 수출을 해온 제3국 기업들에 '경고' 메시지도 냈다. 트럼프는 "그들은 우리의 디트로이트(미국의 자동차 생산 중심지)를 죽이고 있었는데, 이제는 완전히 반대 상황이 됐다"며 멕시코를 통한 우회 대미 수출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게 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는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언급이었다. 그는 또 캐나다를 겨냥, "그들은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목재, 석유, 가스 등에 대해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며 "그들은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어느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 국가든 간에 '달러 파괴'(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 붕괴를 의미)를 거론만 해도 (그 나라에) 150%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우리는 그린란드를 지켜보고 있으며, 파나마 운하를 반환 받아야 한다"고 재차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흑인 역사의 달(2월)' 리셉션에서 참석자들에게 농담기를 섞은 어조로 "내가 다시 출마해야 하나"라며 "논쟁이 있다"고 말했다. 헌법 개정을 요하는 대통령직 3선 도전에 대해 또 한차례 미묘한 언급을 한 것이었다.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미국 대통령은 재선까지만 할 수 있기 때문에 2017∼2021년 집권 1기에 이어 재선 임기를 지난달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헌법이 개정되지 않는 한 2028년 대선에 출마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참석자들이 "4년 더"를 외치며 화답하자 기분이 좋은 듯 웃음을 보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집회에서 "대통령직 수행은 내 생애 최대 영광이 될 것"이라며 "한번이 아니라 두 번, 또는 세 번이나 네 번"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흑인 역사의 달 행사에는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와, 흑인 민권 운동의 상징인 마틴 루서 킹 주니어 목사의 질녀인 알베다 킹 등이 초청됐다. [email protected] (끝) 신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