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마당] 자랑스러운 한인 후세들

한인 이민 역사도 오래되었다. 자녀 교육을 위해 고국을 떠난 1세들은 먼 미국까지 와서 몸이 부서져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일했다. 그 결과 1.5세와 2세들이 어느 민족보다도 교육을 많이 받았다. 1세와는 달리 그들은 전문직을 가졌고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친구의 자식이 잘됐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나는 그들과 같은 힘든 이민 생활을 거쳤기에 내 자식 일인 양 가슴이 뭉클해진다. 한인이라는 생각에 마구 자랑하고 싶다. 내가 이렇게 자랑하고 싶은데 그 부모야 오죽하겠는가! 커다란 징이라도 두드리면서 큰소리 내어 자랑해도 된다.     아주 오래전, 내가 퀸즈 어느 성당에서 라인 댄스를 춘다는 중앙일보에 난 내 글을 읽고 독자가 찾아와 함께 춤을 춘 적이 있다. 그녀는 무용을 전공했다. 키가 크고 인물이 훤칠했다. 나는 그녀의 외모에 약간 주눅이 들었지만, 소탈한 그녀 성격으로 친구가 되었다. 우리는 북클럽에 조인했고 지금까지도 좋은 만남을 이어오고 있다.     그녀의 딸 아그네스 김(Agnes Kim)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그렘린: 모그와이의 비밀(Gremlins: Secrets of the Mogwai)로 제3회 어린이 및 가족 창작 예술 에미상에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캐스팅상을 받았다. 이 시상식은 2025년 3월 15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텔레비전 시티 스튜디오에서 열렸다. 이 작품은 인기 있는 그렘린 프랜차이즈의 프리퀄로, 많은 팬에게 사랑받고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애니메이션에서 캐스팅상은 목소리 연기자들을 잘 선정하고 조합한 공로를 인정받는 상이므로, 기여가 높이 평가된다.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에 온 동기 중 회화 전공자는 월트 디즈니에서 만화를 그렸고 조각 전공자는 치공 쪽 일하며 이민 생활 기반을 다졌다. 독창성이 요구되는 예술 분야인 애니메이션으로 에미상을 받은 친구 딸이라서 무척 자랑스럽다.     나는 이민 생활 어려움 속에서 자란 아이들이 잘됐다고 부모들이 소식을 전할 때마다 만성 체증이 확 뚫리는 쾌감을 느낀다. 이민자 부모들은 누구나 똑같은 어려움을 뼈저리게 겪었기 때문이다. 먼 타국에서 언어에 늘 주눅이 들어 힘겹게 살면서 자식을 그만큼 키웠다는 것은 물론 아이들도 노력했지만, 부모의 뼈 깎는 노력 없이는 힘들다. 우리는 누구의 자식이든 잘 되면 한국인으로 함께 아주 큰 소리로 자랑하고 또 자랑합시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한인 후세 한인 후세들 한인 이민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2025-04-03

"후세들 역사·문화 교육의 산실로 활용해야"

미주 한인사회 독립운동의 거점이자 상징인 흥사단 옛 본부 건물(3421-3423 S. Catalina St., LA)이 차세대 및 시니어까지 아우르는 열린 공간으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한국 국가보훈부의 의뢰로 지난해 한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단소 활용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코리안 헤리티지 연구소는 11일 “한국과 미국에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미래 세대를 위한 역사 교육과 문화교류의 장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고 발표했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주 지역 참여자의 40%가 미래 세대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으며 35%는 미주 지역 독립운동 사적지로 조사, 연구 및 관리, 운영하는 거점으로 사용돼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나머지 25%는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류의 장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한국에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도 비슷했다. 한국의 경우 미래세대를 위한 장소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38%, 미주 독립운동 사적지 연구 및 관리 장소가 36%, 지역사회를 위한 장소가 25%로 나왔다.   또한 LA시 거주 한인사회의 활성화에 대한 의견에 미주와 한국 모두 흥사단 단소를 한국의 역사, 문화학습과 체험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40%로 가장 높았다.   이 밖에 주 이용층에 대한 설문에서도 LA시 한인 동포가 사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29%), 관광객 또는 여행객(22%), LA시민(17%) 순으로 조사됐다.     이날 대한인국민회관에서 열린 단소 활용방안 의견수렴회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모였다. 대면과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 날 의견수렴회에는 현장에만 60여명, 온라인에는 50여명의 청소년들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대다수의 참석자는 한인 2~3세대와 현지 학생들을 위한 역사 체험공간이나 문화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또한 개관했을 때 부족한 주차장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반면 LA흥사단과 광복회 일부 관계자는 “흥사단 단소는 단소의 후예들이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이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날 의견수렴회를 진행한 코리안헤리티지연구소의 정순영 선임연구원은 “현장과 온라인을 통해 들은 의견은 빠짐없이 모두 한국 보훈부에 전달된다”며 “모든 의견을 취합해 정부가 활용방안에 맞는 리모델링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유산재단(Korean American Legacy Foundation)의 임종현 고문은 “다양한 단체와 연령대들이 활용하도록 공간을 유연하게 설계하게 될 것 같다”며 “설계는 아무래도 LA나 미주 지역 업체를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장연화 기자후세 역사 단소 활용방안 역사 문화학습 역사 교육과

2024-01-12

"후세들 역사·문화 교육의 산실로 활용해야"

미주 한인사회 독립운동의 거점이자 상징인 흥사단 옛 본부 건물(3421-3423 S. Catalina St., LA)이 차세대 및 시니어까지 아우르는 열린 공간으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한국 국가보훈부의 의뢰로 지난해 한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단소 활용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코리안 헤리티지 연구소는 11일 “한국과 미국에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미래 세대를 위한 역사 교육과 문화교류의 장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고 발표했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주 지역 참여자의 40%가 미래 세대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으며 35%는 미주 지역 독립운동 사적지로 조사, 연구 및 관리, 운영하는 거점으로 사용돼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나머지 25%는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교류의 장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한국에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도 비슷했다. 한국의 경우 미래세대를 위한 장소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38%, 미주 독립운동 사적지 연구 및 관리 장소가 36%, 지역사회를 위한 장소가 25%로 나왔다.   또한 LA시 거주 한인사회의 활성화에 대한 의견에 미주와 한국 모두 흥사단 단소를 한국의 역사, 문화학습과 체험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40%로 가장 높았다.   이 밖에 주 이용층에 대한 설문에서도 LA시 한인 동포가 사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29%), 관광객 또는 여행객(22%), LA시민(17%) 순으로 조사됐다.     이날 대한인국민회관에서 열린 단소 활용방안 의견수렴회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모였다. 대면과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 날 의견수렴회에는 현장에만 60여명, 온라인에는 50여명의 청소년들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대다수의 참석자는 한인 2~3세대와 현지 학생들을 위한 역사 체험공간이나 문화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또한 개관했을 때 부족한 주차장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반면 LA흥사단과 광복회 일부 관계자는 “흥사단 단소는 단소의 후예들이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이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날 의견수렴회를 진행한 코리안헤리티지연구소의 정순영 선임연구원은 “현장과 온라인을 통해 들은 의견은 빠짐없이 모두 한국 보훈부에 전달된다”며 “모든 의견을 취합해 정부가 활용방안에 맞는 리모델링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유산재단(Korean American Legacy Foundation)의 임종현 고문은 “다양한 단체와 연령대들이 활용하도록 공간을 유연하게 설계하게 될 것 같다”며 “설계는 아무래도 LA나 미주 지역 업체를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장연화 기자후세 역사 단소 활용방안 역사 문화학습 역사 교육과

2024-01-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