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국사진작가협회 워싱턴지부 수상작 전시회

한국사진작가협회 워싱턴지부가 오는 31일(월)부터 협회 갤러리(14631 Lee Hwy #314 Centreville VA )에서 ‘한국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회’를 연다. 전시회에 앞서 열린 개막식에서는 9명의 수상작가를 축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협회는 작년 준회원들의 공모전에 출품을 돕기 위해 이희일 작가를 지도 교수로 정했다.   준회원 9명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지도를 받아 10월부터 성남시 사진 대전을 비롯한 전국 11개 시의 사진 공모전에 출품을 했다. 그 결과 9명 모두 공모전에서 입선했으며, 이중 특선 2편, 동상 1편, 가작 2편 등의 성과를 얻었다. 수상작 전시회에는 9명이 4점씩 출품해 총 36 점이 전시된다.   수상작가는 그레이스 김 박, 그레이스 박, 김진환, 김학구, 루시아 임, 오미령, 유하룡, 정창은, 조숙희씨다. 이들은 한국사진작가협회의 정회원이 될 수 있는 자격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협회는 제15기 사진강좌 수강생을 모집한다. 전시회의 사진은 15기 수강생들을 위하여 4 월12 일까지 그대로 둘 계획이다. 수업은 4월5일부터 8주간 진행되며 수강료는 400달러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사진작가협회 워싱턴지부 한국사진작가협회 워싱턴지부 수상작 전시회 한국사진공모전 수상작

2025-03-30

“워싱토니안들의 아름다운 순간들”

      워싱턴 메트로폴리탄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진작가들이 참여하는 제14회 워싱턴지부 사진전이 오는 23일(토)부터 30일(토)까지 일주일간 버지니아 센터빌에 소재한 한국사진작가협회 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워싱턴지부 회원들이 포착한 소중하고 아름다운 순간들을 담은 작품들이 전시된다. 관람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까지이며, 누구나 방문해 다양한 주제와 시각으로 촬영된 사진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전시는 자연 풍경, 도시의 일상, 그리고 인물 중심의 작품들까지 다채로운 사진 예술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자리로,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진작가들이 참여해 개성 있는 작품 세계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를 주관한 워싱턴지부 관계자는 “이번 사진전은 지역 내에서 활동하는 사진작가들이 그간 갈고 닦아 온 실력을 선보이고, 관람객들 과 예술적 소통을 나누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일상 속 평범한 순간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담아낸 작품들이 관람객들에게 큰 울림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워싱턴지부는 지역 사진 예술 발전과 교류를 위해 매년 정기적으로 사진전을 개최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한국 사진 예술 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워싱토니안 한국사진작가협회 워싱턴지부 한국사진작가협회 갤러리 워싱턴지부 사진전

2024-11-21

[시카고 사람들] 미 중서부 6.25참전 유공자회 박종민 회장

한국 6.25참전 국가 유공자회 미 중서부지회에서 지난 2017년부터 부회장을 맡았다가 올해 총회서 회장을 맡게 된 박종민 회장(87, 사진).   그는 “제가 회원 중 막내입니다. 많은 회원들이 떠나고 나이가 들어 누군가는 일을 해야 하는데, 그저 원로 선배들을 위해 심부름이라도 하겠다는 심정으로 회장직을 넘겨 받았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지난 3년간 노인시설에 있던 많은 회원분들이 돌아가셨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장례식에서 대통령 근조기와 영구용 태극기를 관 위에 덮는 관포식 행사를 치르지 못해 마음이 아팠다”고 덧붙였다.   1950년 6.25전쟁이 발발했을 때 당시 중3이던 그는 길에서 경찰에 강제로 징집 당해 군대에 가게 됐다. 영국군 29여단에 배속됐지만 총을 잡기에는 어려 식당보조, 보급지원 등의 일을 하는 군무원으로 근무했다.   1951년 4월 임진강 남쪽에 주둔하고 있던 그의 소속부대는 한국전쟁 중 영국군의 희생이 가장 컸던 중공군과의 감악산 설마리 전투를 치렀고 그는 전쟁 포로가 됐다.   평안북도 벽동에서 2년6개월간 포로로 지내던 중 1953년 8월 포로교환협정으로 남한으로 돌아오게 됐다.   이후 50세 때인 지난 1985년 10월 가족초청으로 시카고에 이민을 왔다. 시카고 근교 칼루멧 시티에서 1988년부터 세탁소를 운영했다는 그는 “한 눈 팔 시간이 없이 그저 일만 했다”고 회상했다.   한국에서 중소기업을 다닐 때 사진 촬영을 취미로 삼던 그는 1968년 전국사진대회에서 특선을 하면서 자동으로 한국사진작가협회 정회원이 된 경력이 있다. 그러나 빠듯한 이민 생활로 본격적인 작품 활동에 엄두를 못 내고 카메라를 그저 꺼내서 만져보고 다시 챙겨 놓으며 기다리다 야속한 세월을 보냈다.   성정하상 성당에 출석하는 그는 은퇴 후인 지난 2008년에야 한국학교 운영기금 마련을 위한 첫 번째 사진전을, 2015년 한인 문화회관에서 두 번째 개인 사진전을 가졌다.   그는 “시카고는 친근감이 있는 곳으로 사계절이 뚜렷하고 한국과 비슷한 기후가 좋다”고 말했다. 박우성 위원시카고 사람들 유공자회 중서부 박종민 회장 25참전 유공자회 한국사진작가협회 정회원

2022-10-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