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가주정부 주택보험<페어 플랜> 너마저…산불 피해 '늑장 보상' 고통

가주 정부가 지원하는 ‘페어 플랜(Fair Plan)’에 가입한 LA 산불 피해자들에게 이런 저런 이유로 보험금 지급이 지체되면서 주민들이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페어 플랜은 기존 상용 보험을 구입하기 힘든 경우 주택, 상업 건물, 지진 보험 등에서 기본적인 커버리지를 보장하는 주정부 주도의 보험 플랜이다.     지난해 LA 팰리세이즈 산불로 집을 잃은 한 여성은 보험사에 전화를 걸었다가 자신의 보험이 이미 해지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보험사 측은 화재 직후 혼란 속에서 월 보험료 납부가 누락됐다는 이유를 들었다.     강하게 이의를 제기한 끝에 그는 ‘페어 플랜’으로부터 소유 주택이 화재 발생 당시 보험에 가입돼 있었다는 결론을 받아냈고, 112만5000달러 보장액의 절반인 56만2500달러를 선지급받기로 했다. 하지만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추적 번호 없이 보낸 수표가 우편에서 분실된 것이다. 소비자 보호 단체와 주택 소유자들은 ‘페어 플랜’의 보험금 지연, 서비스 부실, 연기 피해 보상 거부 등 다양한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본래 ‘페어 플랜’은 민간 보험사들이 위험 부담이 크다며 거절한 지역 주민을 위한 최후의 보험제도로 설계됐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스테이트팜 등 주요 보험사들이 산불 위험을 이유로 대규모 계약 해지에 나서면서, 페어 플랜의 가입자는 불과 3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고, 손해배상 노출액은 세 배로 확대됐다.   2024년 9월 기준, LA 산불 피해 지역에서 약 5만 가구 이상이 페어 플랜에 의존하고 있다.   페어 플랜의 가장 큰 문제는 연기 및 독성물질 피해에 대한 보상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점이다.     법률 대리인 딜런 셰이퍼는 “페어 플랜은 타 보험사보다 훨씬 엄격하게, 가시적인 변색이나 변형 등 ‘영구적 손상’만을 보상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팰리세이즈에 거주하는 일부 피해자들은 납·비소·크롬·바륨 등 독성물질 오염 검사비 및 정화비용 전액을 본인이 부담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 가입자는 “연기 피해는 자가 청소하라”는 조언을 받기도 했다. 선셋 메사 거주자인 밥 홀로한은 내부 연기 피해 복구 견적만 7만5000~11만5000달러에 달했지만, 보험사에서는 일부 항목만을 보상해준다고 통보했다. 그는 “전화도 안 받고, 이메일도 답이 없다”며 “화재보다 보험이 더 힘들다”고 호소했다.     보상 한도도 문제다. 페어 플랜은 주택 재건, 생활비, 가재도구 보상을 포함해 최대 300만 달러까지만 보장한다. 하지만 팰리세이즈 등 고급 주택가의 피해자들은 이 금액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반응이다.   화재로 주택을 잃은 주얼즈 판은 “이전 스테이트팜 보험이 1400만 달러까지 보장했지만, 페어 플랜에서는 가재도구 피해에 고작 15만3000달러만 받았다”며 “살던 집 근처의 고가 임대 주택 비용조차 감당이 안 된다”고 전했다.   심지어 그가 받은 99만7500달러 수표도 우편에서 분실돼, 재발급까지 9주 이상 걸렸다.   소비자 옹호 단체 ‘유나이티드 폴리시홀더스’의 에이미 바흐 대표는 “‘최후의 보험’이 이제는 사실상 ‘대부분을 책임지는 보험’이 되어버렸다”며 “시스템 자체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까지 확장돼 있다”고 지적했다.   주 보험국은 최근 지침을 통해 “연기 피해에 대한 보험금 거부는 반드시 현장 조사를 거친 후에만 가능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재난에 이은 또다른 재난”이라고 페어 플랜을 꼬집고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가주정부 주택보험 페어 플랜 보험사 측은 민간 보험사들

2025-04-02

[401(k) 벤치마킹 가이드] 비교·점검 통해 은퇴 플랜 적정성 개선

기업이 제공하는 401(k) 연금 플랜은 직원들의 노후 자산 형성을 돕는 중요한 복지 제도의 하나다. 하지만 경쟁력 있는 플랜을 유지하려면 수수료, 투자 성과, 직원 참여율, 고용주 기여도 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 401(k) 플랜 벤치마킹이 필요하다. 비효율적인 비용을 절감하고 투자 옵션을 최적화하며 직원 참여도를 높이는 등 플랜 운영 전반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수료   우선 수수료를 점검해야 한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수수료에 대한 벤치마킹이 보다 중요한 이유는 과도한 수수료가 직원들의 장기적인 퇴직 자산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은 투자 수수료, 기록 관리 수수료, 자문 수수료, 그리고 거래 수수료 등을 업계 평균과 비교해야 한다. DOL Form 5500 데이터나 벤치마킹 전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수수료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 여러 서비스 제공업체의 경쟁 입찰을 통해 최적의 조건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때 유명하고 큰 플랫폼 회사라고 해서 항상 가격 경쟁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신규, 기존 플랜 여부나 플랜 자산의 규모, 직원 수, 펜션 플랜과 함께 운영되는 ‘콤보’ 여부 등에 따라 적정 수수료 구조를 가져갈 수 있도록 전문 자문사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   ▶투자 라인업과 성적   401(k) 플랜에서 제공하는 투자 옵션은 시장 대비 경쟁력 있는 수익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펀드의 수익률을 S&P 500, 러셀 2000, MSCI World 등과 같은 시장 지수와 비교하고, 운용비(Expense Ratio), 리스크 대비수익률(샤프 비율, 알파, 표준편차) 등을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물론, 업주가 이를 직접 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이 역시 펀드 라인업을 구성하고 모니터하는 역할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투자자문사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직원 참여도   직원의 높은 참여율은 성공적인 연금 플랜의 핵심 지표 중 하나이다. 기업은 전체 직원 중 플랜에 가입한 비율, 평균 연금 납부율, 대출 및 인출률, 그리고 Roth 및 세전(Pre-Tax) 기여 비율 등을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다.     피델리티, 밴가드 등의 보고서나 여타 유관 기관의 설문조사 등을 활용하여 업계 평균과 비교하고, 연령대나 직급별로 참여율이 낮은 그룹을 분석하여 전략을 개선할 수 있다. 직원 참여도가 낮다면 해당 플랜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다.   ▶고용주 매칭 및 적립 기여도   모든 항목은 서로 연결돼 있다. 경쟁력 있는 매칭 프로그램은 직원 유지율과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당연히 직원 참여도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급여 및 추가 납입에 대한 매칭 등의 매칭 공식, 총 고용주 적립 기여도(매칭과 이익 배분), 그리고 베스팅(Vesting) 일정 등을 분석해야 한다.     업계 평균과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회사의 상황에 따라 효율성이 떨어지는 구조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플랜의 설계 및 기능   자동 가입(Auto-enrollment)과 자동 증액(Auto-escalation) 기능이 도입되었는지, 투자 옵션이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 재무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지 등을 평가해야 한다.     앞서 언급된 개별 항목들이 다 연결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직원들의 재정 건강을 향상하고 플랜 참여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종 업계 및 기업 규모별로 비교하고, JP모건의 벤치마킹 도구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규제 및 준수   401(k) 플랜이 ERISA(직원퇴직소득보장법) 책임을 준수하고 있는지, Form 5500 제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 차별금지 테스트(Nondiscrimination Testing)를 통과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정기적인 감사 및 법률 전문가(ERISA 변호사 또는 컨설턴트)의 검토를 통해 법적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펀드 라인업 구성, 이들의 비용과 성적에 대한 모니터링, 플랜의 디자인과 기능에 대한 시기적절한 공지, 직원들을 위한 플랜 및 투자 교육 등도 실은 플랜에 대한 업주의 책임과 직결되는 항목들이다.     하지만 이런 부분에 대해 필요한 만큼의 관심을 두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서비스 제공업체와 플랜 운영   마지막으로 서비스 제공업체 및 플랜 운영(Service Provider and Plan Administration) 벤치마킹도 고려해야 한다. 기록 관리 및 TPA(Third Party Administrator) 서비스의 품질, 자문 서비스의 신뢰성, 그리고 기술 및 모바일 접근성 등 역시 평가 대상이다.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위에 언급한 부분에 대한 플랜의 현주소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이 부분은 비용이나 투자 라인업 구성, 업주 및 직원 서비스 등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회사의 상황에 따라 다른 서비스 제공업체가 더 맞는 파트너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   401(k) 플랜 벤치마킹은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직원들에게 최적의 투자 옵션과 혜택을 제공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수료 절감, 투자 성과 평가, 직원 참여율 분석, 고용주 적립 기여율 비교, 규제 준수 점검 등을 통해 기업의 연금 플랜이 업계 평균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다.     특히 이를 통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직원 만족도를 높이며, 장기적으로 기업의 인재 유지 전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켄 최 아피스 자산관리 대표 [email protected](k) 벤치마킹 가이드 적정성 플랜 플랜 벤치마킹 플랜 자산 투자 수수료

2025-03-04

사업주라면 꼭 알아야 할 SEP IRA [ASK미국 보험-주보윤 재정보험전문가]

▶문= 저는 직원이 몇 명 없는 작은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사업주입니다. 직원들에게도 혜택을 주면서 제 은퇴 자금도 준비하고 싶습니다. 너무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부담 없이 불입할 수 있는 은퇴 계좌가 있을까요? 또, 불입한 돈을 어디에 투자해야 안전하면서도 좋은 수익을 낼 수 있을까요?     ▶답= 직원을 고용한 사업주라면 은퇴 플랜을 고민할 수밖에 없습니다. 직원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본인의 은퇴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SEP IRA입니다. SEP IRA는 401(k)나 다른 은퇴 플랜보다 설립이 간단하고 관리가 쉬우며, 세금 공제 혜택도 크기 때문에 직원 수가 적은 소규모 사업장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이 플랜은 개인 사업자(Sole Proprietor), 파트너십, 법인(LLC, S-Corp) 등 다양한 사업 구조에서 활용 가능하며, 불입 한도는 직원보수의 최대 25% 또는 2024년 기준 $69000중 적은 금액까지 가능합니다. 단 개인 사업자의 경우 Schedule C의 Net Earning을 기준으로 불입하게 됩니다.   또한, 사업주가 설정하고 운영하며, 직원들도 자동으로 포함되는 구조입니다. SEP IRA의 중요한 특징은 사업주가 직원들에게 동일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사업주가 본인 소득의 10%를 SEP IRA에 불입하면 직원들도 각자 급여의 10%를 같은 비율로 불입받게 됩니다. 다만, 직원들은 본인이 추가적으로 불입할 수 없으며, 불입 의무는 사업주에게 있습니다. 또한 불입여부는 사업주가 매년 결정할 수 있어 조정이 가능합니다.   사업주에게 SEP IRA의 가장 큰 장점은 세금 공제 혜택입니다. 본인을 위해 불입한 금액은 개인 세금 신고 시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직원들에게 불입해 주는 금액도 사업 비용으로 처리되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직원들은 직접 세금 공제를 받지는 않지만, 회사가 제공하는 은퇴 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SEP IRA를 활용할 때 단순히 불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금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장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특히 안정적인 은퇴 준비를 원한다면 Fixed Indexed Annuity(FIA, 고정 지수 연금)와 같은 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고정 지수연금은 시장 상승의 이점을 누리면서도 하락 시 원금이 보장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변동성 걱정 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금 유예(Tax-Deferred) 효과가 있어 IRA 안에서 운용할 경우 세금 부담 없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은퇴 후에는 평생 소득 옵션을 추가해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많은 사업주들이 은퇴 준비를 뒤로 미루다가 시간이 지나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SEP IRA를 활용하면 소득세 절감과 함께 체계적인 은퇴 자금 마련이 가능하며, Fixed Indexed Annuity와 같은 안전한 투자 옵션을 통해 은퇴 후에도 지속적인 소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은퇴 플랜을 찾기 위해서는 전문가와의 상담이 중요합니다. SEP IRA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은퇴 준비를 시작해 보시길 바랍니다.     ▶문의:(213)663-3152 주보윤 재정보험 전문가미국 재정보험전문가 은퇴 플랜 불입 한도 불입 의무

2025-03-04

학자금 부채 탕감 'SAVE 플랜' 무산

연방항소법원이 조 바이든 전 행정부의 연방 학자금 대출탕감 프로그램 ‘SAVE(Saving on a Valuable Education)’ 플랜을 결국 무산시키는 판결을 내렸다.     18일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연방 제8순회항소법원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SAVE 플랜을 차단하라는 판결을 내리며 공화당 주도 7개 주정부의 손을 들어줬다.     SAVE 플랜은 바이든 행정부가 앞서 내놨던 학자금 대출탕감 정책에 연방대법원이 2023년 위헌 판결을 내린 이후, 바이든 행정부가 새롭게 내놓은 소득기반 학자금 대출 상환 프로그램이다. ▶학자금 대출 원금이 1만2000달러 이하이며, 최소 10년간(기존에는 20~25년) 대출을 갚은 경우 빚을 자동 탕감한다는 내용과 ▶대출자의 월 소득 10%를 초과하는 대출 상환금을 5%로 낮춰주는 내용 등이 담겼다.     이에 공화당 주도 7개 주정부는 “SAVE 플랜은 교육부의 법적 권한을 초과한 것”이라며 이를 중단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스티븐 그라스 연방판사는 판결문에서 “대출자들의 대출금을 대부분 탕감해준다는 SAVE 플랜은 교육부 장관의 권한을 훨씬 뛰어넘은 것”이라고 언급했다.     소송을 제기한 앤드류 베일리 미주리주 검찰총장은 엑스 계정을 통해 “비록 바이든 전 대통령은 퇴임했지만, 이 선례는 대통령이 노동하는 국민들에게 다른 사람의 대학 빚을 갚도록 강요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엄청난 승리”라고 했다. 윤지혜 기자학자금 부채 학자금 대출탕감 save 플랜 학자금 부채

2025-02-19

[보험 상식] 401(k) 가이드

최근 중소기업들 사이에서 은퇴연금 플랜 도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이익분배제도(Profit Sharing Plan)를 시작으로 401(k)까지 확장하는 전략적 접근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기업과 직원 모두에게 윈윈이 될 수 있는 방안이다.   기업이 성장하고 직원들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많은 기업이 이익분배제도(Profit Sharing Plan)에 401(k) 요소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하게 된다. 이는 단순한 제도 변경이 아닌, 직원들에게는 추가적인 은퇴 혜택을 제공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세금 혜택과 함께 우수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     401(k)를 추가함으로써 직원들은 자신의 은퇴 플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급여에서 세전 공제되는 Traditional 401(k)나 세후 공제되는 Roth 401(k) 중 선택할 수 있어, 개인의 재무 상황에 맞는 세금 전략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고려사항이 있다. 가장 핵심은 Form 5500 Filing과 관련된 부분이다. 기존 이익분배제도(Profit Sharing Plan)가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401(k) 플랜을 도입할 때, 재정전문가와 Custodian 간의 원활한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재정전문가는 기존 플랜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Custodian과 공유해야 하며, Custodian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플랜 번호 지정과 관련된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Custodian이 기존 플랜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한 채 새로운 플랜 번호를 지정하게 되면, Form 5500 Filing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이익분배제도(Profit Sharing Plan)를 운영 중인 기업이 401(k) 플랜을 도입하고자 할 경우, 올바른 접근 방식은 ▶기존 이익분배제도(Profit Sharing Plan) 플랜 번호 유지 ▶Plan Document 수정해 401(k) 조항 추가하는 형태로 진행 ▶단일 Form 5500으로 통합 보고할 수 있도록 관리 등이다.     이익분배제도(Profit Sharing Plan)와 401(k)의 결합은 중소기업의 성장과 직원들의 은퇴 준비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다. 다만, 이러한 플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행정적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재정전문가와의 사전 상담이 필요하다.     ▶문의: (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CCFS, CLTC·Financial Advisor 아메리츠 파이낸셜보험 상식 가이드 이익분배 profit sharing 기존 이익분배제도 은퇴 플랜

2025-01-15

메디칼(Medi-Cal)에서 커버드 캘리포니아로 자동 전환 [ASK미국 건강보험-마크 정 엠제이보험 대표]

▶문= 메디칼을 받고 있는 중간에 소득이 늘어 더 이상 메디칼을 받을 자격이 안되는 경우, 이를 메디칼 오피스에 바로 신고해야 하는지 아니면 세금보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답= 소득 변경이 생기는 이유는 일시적으로 소득이 늘어난 경우가 있고 실직 후에 일정 기간 동안 소득이 없다가 새로이 직장을 찾게 되어 지속적으로 소득이 늘어난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일시적으로 소득이 늘어난 경우에는 상황이 좀 애매할 수는 있지만 메디칼의 경우 소득 변동에 대하여 즉시 보고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이에 따를 것을 권해드립니다.     즉시 보고를 안 했다고 해서 당장 문제가 될 것은 없지만, 자격상실의 이유가 명백한데도 불구하고 메디칼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병원 입원이나 수술 등을 통해 큰 비용이 발생했다면 추후 부정수급에 대하여 환수조치나 법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러므로, 메디칼 오피스에 전화나 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소득 변경 신고를 하시고 자격 여부 심사결정에 따르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소득 변경 신고로 인해 메디칼이 취소되었더라도 세금 보고 후에 메디칼 자격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자격을 다시 회복할 수도 있습니다.   메디칼이 취소되게 되면 자동적으로 커버드 캘리포니아 플랜으로 전환되며 보험료에 대한 보조도 자동으로 받게 됩니다. 가입일자는 메디칼이 취소되는 달의 다음 달 1일입니다. 예를 들어 6월 30일 자로 메디칼이 끊기게 되면 다음 달인 7얼 1일 자로 커버드 캘리포니아로 자동 가입이 되는 것입니다. 이는 2023년에 제정된 상원 의원 법안인 SB 260에 의한 것인데, 메디칼 수혜자가 소득 변동이나 다른 사유로 자격을 잃었을 경우 보험 공백을 방지하고 별도의 신청 절차나 복잡한 행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커버드 캘리포니아로 가입을 도와주기 위해 마련된 법안입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소득이 적은 분들에게 특별혜택을 제공하는 실버 플랜으로 전환되며, 만일 가족 중에 이미 커버드 캘리포니아를 통하여 보험을 가입하고 있다면 가족과 동일한 플랜으로 등록이 됩니다. 가입자는 자동으로 등록된 플랜을 그대로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다른 플랜으로 변경하거나 취소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가입 일로부터 60일 이내에 해야 하며 또한 자동 책정된 플랜보험료는 그 달 말일까지 납부하셔야 보험이 계속 유지되게 됩니다.         실버 플랜은 94플랜, 87플랜, 73 플랜, 70 플랜으로 구분되는데, 메디칼을 받고 있었을 때의 소득과 비교하여 현재의 소득이 큰 차이가 없다면 실버 플랜 중에서도 가장 좋은 실버 94플랜 가입이 가능하며 이때 보험료는 매월 $100미만의 낮은 보험료로 온 가족이 가입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메디칼이 취소되었다고 해서 걱정하지 마시고 커버드 캘리포니아 공인 에이전트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323)272-3388 마크 정 엠제이보험 대표미국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 플랜 자동 전환 메디칼 자격

2025-01-07

[재정칼럼] 2024년 재정계획 마무리

연말 모임과 행사로 바쁜 12월이다. 2024년을 마감하며 저축을 극대화하고 세금 납부를 최소화하는 재정 계획을 알아보자. 은퇴 계좌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아직 남아있다. 직장에서는 12월 31일까지 그리고 IRA 또는 Roth IRA에는 2024년 4월 세금 보고할 때까지 투자할 수 있다. IRA에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은 해당 연도의 근로 소득이나 국세청이 책정한 한도를 초과할 수 없다.   은퇴를 위한 투자제도(IRA)는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나 수입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다. 50세 미만은 매년 7000달러 그리고 50세 이상은 8000달러씩 할 수 있다. 수익률 7%만 계산해서 7000달러씩 25년 하면 약 44만 달러, 30년 66만 달러, 그리고 35년은 거의 96만 달러 이상이 된다. 부부가 함께하면 당연히 2배가 되므로 백만장자 이상이 된다. IRA에 투자할 한도가 일 년 수입에 따라야 하는 규칙이 있지만 IRA와 직장 은퇴 플랜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직장인에게 제공하는 401(k), 403(b), 457, TSP 등과 같은 은퇴 플랜을 제대로 이용하면 절세하며 큰 은퇴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2024년 기준으로 2만3000달러까지 세금 유예 혜택을 받으며 투자할 수 있다. 연봉 10만 달러에서 2만3000달러를 투자하면 7만7000달러에 대해서만 세금 보고를 한다. 나이가 50세 이상이면 추가로 7500달러를 더 투자할 수 있으므로 최대 금액 3만500달러까지 세금 공제와 투자 수익 유예를 받으며 투자할 수 있는 것이다.   아이들 키우며 생활하려면 은퇴 플랜의 최대 금액을 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매년 1%씩 자동으로 더 투자할 수 있도록 구성(Set-up)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아이들 학자금 마련은 부모에게 큰 부담이다. 529 플랜에 투자해서 불어난 수익에 대한 세금이 유예되며, 그 돈이 수혜자의 교육 자금으로 사용될 경우 세금이 면제(Tax Free)된다. 교육 자금이란 방세, 식사비, 책값, 학교 등록금 및 교육에 연관된 모든 비용을 포함한다. 매년 증여세 신고서를 보고하지 않고도 수혜자당 최대 1만8000달러를 기부할 수 있다. 이 뜻은 부부가 수혜자당 3만6000달러씩 투자할 수 있다. 돈 많은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손주들에게 학자금 마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학부모는 학비 보조를 많이 받기 위해서 529 플랜에 투자하는 것을 망설인다. 529에 투자된 돈은 학생 돈으로 간주하지 않고 부모 돈으로 계산하며 학비 보조금을 책정할 때 529에 있는 총액에서는 5.64%만을 학생 부담금으로 계산한다.   가입자가 사는 주에서 투자하면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미시간(MI)주의 경우 결혼한 부부가 529 플랜에 1만 달러를 투자하면 세금 공제 4.25%, 즉 4250달러를 공제받기에 이것이 바로 수익으로 이어진다.   529에 더 큰 금액을 기부하고 싶다면, 해당 기간 수혜자에게 다른 증여(Gift)가 없다면 최대 5년 치(개인 9만 달러, 커플 18만 달러)를 한꺼번에 기부할 수 있는 ‘수퍼펀드(Superfund)’도 가능하다.   은퇴한 후 일정한 나이가 되면 그동안 세금이 유예(Tax-deferred)되었던 모든 은퇴 계좌에서 정해진 액수의 돈을 찾아야만 한다. 이것을 RMD(Required Minimum Distributions)라고 말한다. RMD 금액은 모든 은퇴 계좌(전년도 12월 31일) 금액을 합하여 계산한다. 정부에서는 노년을 위해 투자한 돈에 대해서 세금혜택을 주었으므로 73세부터는 돈을 찾아서 사망하기 전까지 세금을 내라는 뜻이다. 이런 이유로 나이를 먹어 감에 따라서 찾아야 하는 금액이 증가한다.   RMD를 인출하지 않으면 벌금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서 찾아야 하는 RMD에서 1만 달러를 적게 인출하면 벌금이 25% 적용하여 2500달러가 벌금이 된다. 찾아야 하는 액수에서 적게 찾았음을 인지하여 잘못을 바로 고치면 벌금을 10%까지 줄일 수도 있다.   정부가 투자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을 제한한다는 것은 분명 재정적인 혜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기회를 일반인은 최대로 이용해야 한다. 노후대책이 늦었다고 한탄만 할 것이 아니라 한 해를 보내기 전 은퇴 계좌 투자를 최대 이용하고, 벌금이 부과되는 RMD 인출을 잊지 말고, 아이들 학자금 마련하는 올 마지막 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재정칼럼 재정계획 마무리 투자 수익 은퇴 플랜 세금 유예

2024-12-26

[보험 상식] 생명보험의 보수와 진보

생명보험은 진보와 보수의 측면을 모두 갖고 있다. 일단 가족의 안전과 미래를 보장하는 측면에서 보수적이다.     하지만 배리어블(Variable) 플랜처럼 공격적인 저축형 보험들은 진보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생명보험은 가족과 재산을 위한 안전장치가 가장 기본적인 역할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적 재정계획이다.     최근 인기가 높은 인덱스 유니버셜 생명보험은 보수적 측면과 진보적 측면을 고루 갖춘 플랜이라는 것이 필자의 시각이다.     이 플랜은 우량주 우선투자를 원칙으로 S&P 500와 같은 우량펀드에 공동투자하고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는 것을 없애는 대신 플러스 수익에 대한 상한선(Cap)을 둬서 안정적인 성장을 보장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서 한국에서는 ‘변액보험’이라고 부르는 배리어블 생명보험은 고객이 매달 납부하는 보험금에서 일정 보험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뮤추얼 펀드에 투자해 수익을 보는 플랜이다. 고객은 보험에 가입할 당시 어떤 펀드에 몇 퍼센트씩 투자할 것인가를 정하게 되는 데 일반적으로 5개 안팎의 펀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주식시장이 호황일 경우엔 배리어블 생명보험은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요즘과 같은 주식시장에서 뮤추얼 펀드 밸류의 등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배리어블 플랜은 예측 불가능한 측면이 너무 많다는 점이 지적된다.   실제로 올해 초 코로나 사태로 주가 하락이 이어졌을 때 배리어블 플랜 가입자들은 자신의 어카운트에 쌓인 현금 밸류가 많게는 30~40%씩 떨어지는 경험을 했다.     물론 이후의 증시회복세로 손해는 상당 부분 복구됐고 현재도 순조로운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코로나 국면에서 증시의 향방을 정확히 예측하기란 무척 어려운 일임이 틀림없다.   특히 보험 에이전트가 높은 예상 수익률을 바탕으로 무리하게 보험료를 낮춰 판매한 배리어블 생명보험의 경우에는 차후에 가입자가 원래 보험료보다 훨씬 높은 보험료를 내야 하는 사태까지도 발생하고 있다.   배리어블 이전에 선보였던 일반 유니버설 생명보험은 5% 안팎의 이자를 지급하는 플랜이다. 이후 배리어블 생명보험이 10% 이상의 수익률이 가능하다며 고객들을 끌어모았다.     지난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까지 이어졌던 이른바 블루칩 주식들의 몰락에 이어 불과 6~7년 만에 찾아온 증시폭락에 이르기까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서 배리어블 생명보험을 통해 예상대로의 수익률을 올린 가입자는 지난 10년 동안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수익률이 유니버설 플랜보다 나은 인덱스 유니버설 생명보험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 플랜은 투자 원금이 보장되는 특징이 있어서 손해를 방지할 수 있는 데다가 예상 수익률도 7% 안팎으로 일반 유니버설 플랜보다 높아 배리어블 플랜의 대체 주자로 자리 잡고 있다.     ▶문의:(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생명보험 진보 유니버설 플랜 플랜 가입자들 예상 수익률

2024-12-25

[펜션 없이 펜션 만들기] 투자·저축 은퇴자산 연금화 서둘러야

연금(이하 펜션) 플랜은 기업들이 직원 은퇴 이후 지속적인 은퇴소득을 만들어주는 플랜이다. 전통적인 펜션 플랜은 기업이 준비, 운용하고 모든 리스크를 떠안는 구조다.     투자 리스크와 예상 지급금을 추산, 모니터하는 과제 등을 기업이 책임졌다. 지금은 이런 전통적 펜션 플랜은 사실상 사라졌다. 지난 80년대 초만 해도 민영기업 부문의 직장인 60%가 펜션을 갖고 있었다. 지난 2020년 기준 이 숫자는 3%로 축소됐다.     과거에는 펜션과 개인의 저축, 그리고 정부의 소셜연금이 은퇴플랜의 세 축이었다. 지금은 여기서 펜션이 없어지고 개인의 저축과 정부의 소셜연금만 있는 상태다. 은퇴 플랜 지형의 현재는 그래서 401(k), IRA 등 개인의 투자와 저축 비중이 커진 상태다. 이들 플랜은 자산증식과 리스크에 대한 책임을 개인이 가져가는 구조다. 그리고 이는 펜션과 같은 기능을 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많다. 보장성이 없기 때문이다.     ▶저축수단     개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은퇴저축 수단은 먼저 소득 공제를 받는 은퇴계좌를 생각할 수 있다. 401(k), IRA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다음은 저축성 생명보험을 활용할 수도 있다. 개인의 경우 보험료에 대해서는 소득공제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장점은 나중에 세금없이 인출해 쓸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이다.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면 방법은 더 많다. 스몰 비즈니스들이 오히려 펜션 플랜을 많이 활용하는 추세다. 하지만 예전 기업들이 운영하던 펜션 목적은 아닌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 비즈니스 업주들 사이 펜션 플랜 활용도가 높은 이유는 세제 혜택 때문이다.     펜션을 활용하면 업주의 은퇴저축 금액을 늘리고, 그만큼 세금공제 규모도 키울 수 있다. 수십만 달러를 펜션에 넣고 이를 사업소득에서 정상적인 비즈니스 지출로 공제할 수 있다. 대신 직원들을 위해 401(k)나 profit sharing 플랜, 펜션 플랜 안에서 일정 부분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대부분 사업체가 어떤 형태로든 직원을 위한 은퇴 플랜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의무가 됐다. 이런 의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어차피 정부 프로그램에 가입하거나 401(k) 등 직장 은퇴 플랜을 제공해야 한다.     업주 입장에서는 이때 동시에 펜션 플랜도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래야 비용대비 혜택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중소 비즈니스들의 펜션은 최종적으로 IRA로 변경하는 것이 중장기적인 계획이다.     ▶‘합성’ 펜션   전통적인 의미의 펜션은 이제 사라지고 없지만, 개인이 직접 자기만의 펜션 플랜을 만들 수 있는 옵션이 있다. 언급한 것처럼 401(k)나 IRA, 비즈니스 펜션 등을 통해 투자·저축한 은퇴자산이 있다면 이를 펜션화하는 방법이다. 비즈니스 펜션도 결국 IRA로 전환 후 이런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들 은퇴계좌나 기타 투자계좌 등에 있는 자금은 그대로 두면 시장 리스크에 다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얼마씩, 얼마나 오래 인출해 사용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이를 보장된 정기적 소득원으로 만드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먼저 정부의 소셜 연금은 최대한 수령을 늦추는 것이 유리하다. 최대 금액을 받기 위해서다. 그리고 필요한 생활비 용도의 소득 규모를 볼 때 모자란 부분이 있다면 필요한 금액만큼 보장받을 수 있는 개인연금 상품을 활용한다.     이는 정부의 소셜 연금과 마찬가지로 평생 정해진 보장소득을 만들어 줄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월 8000달러의 생활비가 필요하다면 예상되는 소셜 연금 3000달러를 뺀 나머지 금액 월 5000달러를 보장받을 수 있는 연금상품에 그동안 모아둔 은퇴자산 일부를 적립하는 것이다.     나머지 자산은 주식과 채권 등을 활용한 분산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지속적인 증식을 꾀할 수 있다.   ▶‘합성’ 펜션 위한 연금 유형   401(k)나 IRA 등에 있는 자금은 개인연금으로 옮긴 후 평생보장 연금 형태로 수령하게 되는 데 이때 활용할 수 있는 연금 유형은 다양하다. 하지만 보장성 연금 수령이 주목적인 만큼 이에 부합하는 최적의 상품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자신에게 유리한 상품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인출 시기, 나이, 필요한 소득 규모, 리스크 수용 능력 등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가장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은 가능한 미리 준비하는 것이다.     시중의 대부분 개인연금이 주는 보장성 펜션 혜택은 기다릴수록 커지기 때문이다. 은퇴 시기를 65세로 생각하는가, 70세로 생각하는가 등에 따라 55세~60세 사이 준비를 하는 것이 수령액 차원에서 볼 때 가장 유리할 수 있다.   은퇴계좌가 아닌 일반 투자계좌를 통해 투자·저축해 왔다면 이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수령액 기준으로 접근할 수도 있고 세제상 유리한 방법을 우선 기준으로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은퇴계좌를 통해 증식한 자금은 인출금 전액이 일반소득으로 간주한다.     세제상 그 자체로는 특별한 혜택이 없다. 하지만 일반 투자계좌 자금은 연금으로 들어갔다 나올 때 이후 자금이 불어난 경우 인출금 전체가 아닌 일부에만 소득세가 적용되는 방식으로 인출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 경우에 따라 이 부분이 선호되는 상황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리스크 관리   나만의 펜션을 만드는 연금 활용은 리스크를 해당 연금을 제공하는 보험금융사로 이전하는 것이다. 개인이 지고 갈 은퇴소득원 관리 리스크를 과거 펜션과 같이 제삼자가 지는 구조로 바꾸는 효과를 가진다. 투자성적과 관계없이 계약 때문에 약속된 연금을 수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추가적 자금증식 효과를 위해 별도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거나 보장 연금을 받으면서도 자산운용이 가능한 연금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어떤 연금과 어떤 형태의 ‘합성’이 내 상황에 적절하고 유리할지 검토해보고 은퇴생활 걱정을 덜어줄 나만의 펜션을 준비해보자.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email protected]펜션 없이 펜션 만들기 연금 은퇴자산 펜션 플랜 은퇴저축 금액 저축수단 개인들

2024-12-10

메디케어와 메디칼을 가지고 있는 경우 플랜 선택 옵션 [ASK미국 건강보험-마크 정 엠제이보험 대표]

▶문= 저는 메디케어와 메디칼을 둘 다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HMO나 PPO 플랜으로 바꾸는 게 맞는지 아니면 그대로 오리지널 메디케어와 메디칼을 가지고 있는 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옵션이 있나요?     ▶답= 메디케어와 메디칼을 동시에 가지고 계신 분들은 여러 가지 선택을 하실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메디케어와 메디칼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모든 병원에서 다 받아준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메디칼을 받지 않는 특정 전문의에게는 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파트 C 플랜 즉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으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이때 디스넵 플랜이라고 해서 메디케어와 메디칼을 둘 다 가지고 있는 분들을 위해 특별히 디자인한 플랜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즉, UCLA나 세인트 쥬트 세인트 죠셉 같은 병원에 특화된 플랜을 선택하거나 치과나 한방 안경 그로서리 혜택과 같은 엑스트라 혜택을 받기 위해 메디케어만 가진 분들이 들어가는 상품을 선택하실 수도 있습니다.     단, 주의하실 점은 올해에는 3개월에 한 번씩 자유롭게 메디케어 어드벤티지 플랜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2025년부터는 1개월에 한 번씩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되 특정 플랜끼리만 옮기실 수 있도록 제한을 둔다는 점을 명심하셔서 신중하게 결정하셔야 합니다.     세 번째는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들 중에는 보험료를 일부 지불하지만  플랜 혜택이나 병원 선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플랜들이 있는데, 이 경우 보험료 전액을 납부하지 않고 할인된 보험료를 지불하게 되므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엘에이 거주자가 UCLA 병원과 전문의를 이용하기 위해  UCLA 프레스티지 플랜을 선택할 경우 원래 월보험료가 39달러인데 할인된 금액인 9달러 30센트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UHC에서 새로 나온 UCLA 병원을 갈 수 있는 037 HMO 플랜의 경우에 원래 보험료는 49달러이지만 19달러 30센트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어떤 다양한 플랜들에 혜택이 있는지는 Medicare.gov에 들어가셔서 본인의 우편번호를 넣으신 후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본인의 LIS(Low Income Subsidy)의 레벨이 1부터 3까지 중에 어디에 해당되는지 에이전트와 확인하셔서 정부에서 제공하는 처방약보조프로그램인 엑스트라헬프(Extra Help)의 자격이 되는지 반드시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2025년에는 연방가난지수 150%이하 즉, 싱글인 경우 22590 달러 부부의 경우 30660 달러이하인 경우에는 신청이 가능한데 시니어는 소득계산방식이 다르므로 전문가와 상의하셔야합니다.        ▶문의:(323)272-3388 마크 정 엠제이보험 대표미국 메디케어 플랜 선택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메디케어 어드벤티지

2024-12-03

[보험 상식] 오바마 케어의 소득과 혜택

3년 전 어느 날 배가 너무 아파서 응급실에 들어갔더니 맹장염이라고 해서 수술을 받고 나온 한인 P 씨는 3만6000달러의 병원 청구서를 받고 망연자실한 기억이 있다.     당시 의료보험이 없었던 P씨는 병원 측과 실랑이 끝에 간신히 수천 달러를 깎았지만, 나머지 돈은 아직도 갚아가고 있다.   P 씨의 이야기는 오바마케어가 시작되기 전 의료보험이 없었던 한인들에게는 누구나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전 국민 의료보험이 시작된 지금 많은 이들이 의료보험을 갖고 있어 이런 위험은 피할 수 있게 됐다.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일어나 엄청난 의료비를 부담하거나 큰 빚을 지게 되는 위험성을 생각하면 자동차 보험처럼 의료보험도 꼭 필요한 혜택이다.     오바마케어는 크게 브론즈와 실버, 골드, 플래티넘 등으로 나뉘는 데 특별히 저소득층을 위한 인핸스드(Enhanced) 실버 73과 87, 94 플랜 등이 있어 정확히는 7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2024년도의 경우 브론즈 플랜은 개인 디덕터블(연 본인 공제금액)이 6300달러에 닥터 방문 시 내는 코페이가 3번까지 60달러이고 일반 처방약은 17달러를 내고 사면 된다.     실버플랜은 디덕터블이 5400달러에 의사 코페이가 50달러, 약값은 19달러이며, 골드는 디덕터블이 없고 의사 코페이 35달러, 약값은 15달러, 플래티넘은 역시 디덕터블이 없고 의사 코페이가 15달러, 약값이 7달러로 이뤄져 있다.   인핸스드 플랜은 실버 94가 디덕터블이 없고 의사 코페이 5달러, 약값은 3달러이고, 실버 87은 디덕터블이 없고 의사 코페이 15달러, 약값은 5달러를 내야 한다. 실버 73은 디덕터블이 없고 코페이 35달러, 일반 처방약 15달러이다.   이처럼 오바마 케어 가입자들은 브론즈부터 플래티넘까지의 플랜 가운데 한 가지 카테고리를 고르고 이 안에서 다시 HMO 혹은 PPO 플랜을 고를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인핸스드 실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소득인 경우는 대부분 실버를 선택하는 편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3인 가족 경우, 연 소득이 3만4307달러부터 3만7290달러까지는 인핸스드 실버 94 플랜에 해당하고 4만9720달러까지는 인핸스드 실버87에 가입할 수 있다.     5만2952달러까지는 인핸스드 실버73에 가입이 가능하지만, 이 소득 이상의 가구는 인핸스드 실버 소득 상한선을 벗어나기 때문에 브론즈와 실버, 골드, 플래티넘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보험료 보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한도 수입은 3인 가족의 경우 9만9440달러인데 이를 넘으면 보험료를 보조받지 못하므로 오바마 케어 플랜이 아닌 일반 의료보험에 가입해도 아무런 차이가 없다. 여기서 기준 소득은 과세 전 소득(Adjusted Gross Income)인데 이는 총 소득(Gross Income)에서 공제할 부분을 뺀 금액으로 일반적인 개인 세금보고서의 37번 또는 21번 항목에 해당한다.   지난해의 경우, 에이전트를 통하지 않고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가입한 많은 분이 보험 사용이나 갱신에 도움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본인을 대행할 보험 전문 에이전트를 지정하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문의:(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오바마 케어 실버 소득 케어 플랜 케어 가입자들

2024-11-27

메디케어 12월7일까지 변경 가능

메디케어에 등록된 시니어들이 자신의 플랜이나 보장 범위를 바꿀 수 있는 연례 공개 등록 기간(OEP, Open Enrollment Period)이 지난 10월 1일부터 12월 7일까지 진행 중이다. 메디케어는 이 기간에 바꾼 변경에 따라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시작된다. 가입자는 다음과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     ▶오리지널 메디케어(파트A+파트B)에서 메디케어 어드밴티지플랜(파트C)로 전환이 가능하다.   ▶기존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파트C)에서 다른 회사 플랜으로 전환하거나 기존 플랜을 취소해 오리지널 메디케어로 돌아갈 수 있다. 또는 처방약 플랜(파트D)을 추가 또는 취소할 수 있다.   ▶오리지널 메디케어에 가입돼 있어도 메디케어 처방약 플랜에 가입할 수 있으며 기존 처방약 플랜에서 다른 플랜으로 변경도 가능하다. 연방 정부의 무료 의료보험인 메디케어에 민간 보험회사가 참여하는 파트C는 오리지널 메디 케어에 만족하지 못하는 가입자들을 위해서 시작된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이다.   오리지널 메디케어는 서비스별 요금제 플랜으로 메디케어 파트 A는 입원할 때 필요한 병원 보험이고 메디케어 파트 B는 일반적인 치료에 필요한 의료 보험이다. 가입자는 본인부담금(deductible)을 지불한 후 메디케어는 승인된 금액 중 메디케어의 몫을 지불하고 가입자는 코인슈런스(Coinsurance) 및 본인 부담금을 통해 가입자의 몫을 지불한다. 처방약 보장을 받으려면 오리지널 메디케어(파트 A 및 B)인 경우 파트D를 가입하고 추가 보험료를 내야 한다.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 즉 파트C는 메디케어와 계약을 맺은 민간 보험 회사가 제공하는 플랜으로 파트 A 및 B 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혜택을 포함하며 또한 일반적으로 처방약 보장이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안과, 치과 및 기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디케어 플랜 선택   플랜을 선택하기 위해 누구와 상의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즉, 라이선스를 소지한 보험 에이전트나 브로커 또는 보험 회사를 결정하는게 좋다. 무료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받으려면 주 건강 보험 지원 프로그램에 문의해도 된다. 사이트주소는 shiptahelpcenter.org이다.   또한 메디케어 권리 센터 전국 헬프라인은 1-800-333-4114번으로 연락할 수 있다.   아울러 가장 적합한 건강 관리 플랜을 선택할 때 양로 보건센터와 같은 지역 사회의 잠재적인 정보 및 지원 소스로 고려할 수 있다.     오리지널 메디케어의 보험료는 플랜을 관리하는 회사와 관계없이 변경되지 않지만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 파트D, 메디갭플랜의 보험료는 구매하는 회사와 주에 따라서 다르게 결정한다.  장병희 기자메디케어 변경 메디케어 어드밴티지플랜 메디케어 플랜 메디케어 파트

2024-11-17

한인 은퇴 궁금증 한자리에서 푼다…16일 본지 시니어 은퇴 박람회

미주 한인들의 풍요로운 노후생활을 위해 한미메디컬그룹(KAMG)과 함께하는 제1회 중앙일보 시니어 은퇴 박람회가 오는 16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남가주 새누리교회(964 S Berendo St.)에서 개최된다. 무료입장으로 진행되는 이번 박람회는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세미나, 1:1 상담 부스, 푸짐한 경품 추첨 등으로 구성 돼 있다. 박람회에서 시니어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 상담 기회, 경품을 살펴봤다.     ▶세미나   은퇴 관련 유용한 필수 정보를 제공하는 세미나가 준비돼 있다. 신시스에서는 은퇴 자금과 자산 및 상속에 대한 종합검진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한다. SH파이낸셜은 본인 소유 부동산 가치를 산정하고 연금으로 받아 안정적 노후자금 마련이 가능한 리버스 모기지에 대해, 블루앵커 재정보험은 국내 최신 은퇴 트렌드에 맞는 연금상품에 대해 세미나를 마련해 은퇴재정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건강보험 관련 세미나도 있다. 유나이티드헬스케어는 헬스케어 플랜 선택을 위한 주의사항을, 앤덤블루크로스는 건강보험 혜택을 위한 재정 지원에 관해서 설명할 예정이다. 그 외에도 한인 시니어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양로호텔 무료입주를 위한 자격조건과 신청방법 등의 소개도 함께한다.     ▶상담부스   은퇴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풀 수 있는 1:1 상담 부스도 마련된다. 은퇴연금과 보험 등에 관한 상담을 위해서 자산관리 전문 기업 아메리츠를 비롯해 세계 최대 보험 브로커 회사인 허브시티보험, 생명보험부터 메디케어와 연금 등 은퇴 플랜이 가능한 한솔보험, 메디케어 전문회사 AGA보험, 본인에게 맞는 플랜을 선택할 수 있는 스캔헬스케어 등이 상담 부스를 운영한다.     이에 더해 보험부터 의료서비스까지 다양한 지원이 가능한 이웃케어, 편안한 노후생활이 가능한 양호호텔시설 전문 밸리실버타운도 부스에서 시니어들을 맞이한다.     LA카운티정신건강국과 LA시 검사실에서도 참가해 정신건강 관리법과 시니어 대상 사기 예방법 등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박람회를 함께하는 KAMG 제공의 특별 이벤트도 있다. 내과, 일반외과, 노인과 등의 KAMG소속 전문의가 참석해 기본 증상에 대한 무료 진료를 진행한다.     ▶경품 행사   참석자 전원을 대상으로 농심 제품을 제공한다. 추첨을 통해 에어프레미아 한국 왕복항공권을 비롯해 삼성 LED TV, 여행 가방, 건강식품, H마트 상품권 등 총액 약 2만 달러에 달하는 풍성한 경품을 증정한다.     이번 행사에 대한 문의는 전화(213-368-2556)로 하면 된다. 조원희 기자연금 은퇴 한인 시니어들 은퇴 플랜 은퇴 자금

2024-11-07

“메디케어 가입 및 플랜 변경, 전문가에게 도움 받으세요”

 2025년 메디케어 가입 및 플랜 변경 기간이 10월15일 시작해 12월7일까지 진행됨에 따라 메디케어에 처음 가입하거나 기존의 플랜을 변경해야 하는 한인들의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특히 2025년 메디케어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큰 변화가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플랜을 선택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K2보험(대표 케이 김)은 지난 2일(토) 오후 3시 루이스빌 소재 K2보험 사무실에서 메디케어 세미나를 열고 2025년 메디케어 신규 가입 및 플랜을 변경할 때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을 설명했다. 강사로 나선 K2보험의 케이 김(Kay Kim) 대표는 보험 에이전트를 통해 메디케어에 가입하나 스스로 가입하나 별도의 비용은 들지 않는다며 전문가의 도움을 꼭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케이 김 대표는 “메디케어의 플랜이 복잡하기 때문에 단지 영어에 능숙하다고 해서 플랜을 속속들이 다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보험 에이전트를 통해서 가입했다 하더라도 그 모든 에이전트가 플랜을 자세히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를 통해 메디케어 플랜을 일괄적으로 점검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케이 김 대표는 “65세에 메디케어에 가입할 때 알아야 할 내용이 너무 많고 메디케어가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혼자서 하기가 너무 어렵다”며 “꼭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걸 추천한다”고 말했다. 케이 김 대표는 특히 약보험(Part D)의 경우 혼자서 메디케어에 가입하는 한인들 중 나중에 벌금을 물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케이 김 대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메디케어에 가입하는 한인들 중에는 약보험이 별도로 있는 줄 모르고 가입을 안하는 경우가 있다”며 “하지만 나중에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기가 돼서 약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월 42달러씩 벌금을 물게된다”고 설명했다. 케이 김 대표에 따르면 65세 생일 때 이미 소셜연금을 받고 있는 경우 자동으로 메디케어에 등록이 되며, 생일 3개월 전에 메디케어 카드를 받게 된다. 하지만 65세 생일 때 소셜연금을 받고 있지 않는 경우 메디케어에 가입하려면 별도의 절차가 필요하다. 메디케어에 가입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다. 첫 번째는 웹사이트(ssa.gov)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화 사회보장국(1-800-772-1213)에 문의해 전화로 인터뷰를 신청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바로 신청이 어렵고, 통역을 통해 인터뷰를 할 수 있다. 연중 항상 플랜 가입 및 변경이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 65세가 되어 처음 메디케어 혜택을 받는 경우 ▲ 직장 그룹보험에서 탈퇴한 경우 ▲ 이사를 한 경우 ▲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를 동시 갖고 있는 경우다. 케이 김 대표는 특히 이날 세미나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로 인한 변화들에 대해 설명했다. 케이 김 대표에 따르면 2022년 8월16일에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제정이 됐는데 메디케어 수혜자를 포함한 많은 취약 계층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 메디케어의 경우 의약품 비용 감축 및 처방약 보험료 안정이 인플레이션 감축법의 목표라고 케이 김 대표는 설명했다. 메디케어 가입 및 플랜 변경에 관한 보다 세부적인 사항은 케이 김 대표(214.490.7830)에게 직접 문의하면 된다.   〈토니 채 기자〉메디케어 전문가 메디케어 플랜 메디케어 가입 메디케어 혜택

2024-11-07

[보험 상식] 내년 은퇴연금 조정안

2025년에는 근로자들이 세전(Pre-Tax)으로 적립할 수 있는 직장 은퇴연금의 최대한도가 인상된다.     지난 11월 1일 IRS는 2025년 401(k)와 개인은퇴계좌(IRA)의 기여 한도에 대한 조정안을 발표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401(k)의 연간 기여 한도가 2024년 2만3000달러에서 2만3500달러로 상향 조정된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다른 은퇴연금의 변화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자.   특히 2025년에는 중장년층에게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다. 60세에서 63세 사이의 근로자들에게는 ‘슈퍼 캐치업 기여’ 제도가 도입된다.     Secure 2.0 연방 은퇴법에 따라 이 연령대의 근로자들은 기존의 캐치업 한도인 7500달러 외 무려 1만1250달러까지 추가 저축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다만 이 혜택은 해당 연령대를 놓치면 다시 기본 캐치업 기여 한도로 돌아가므로, 이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미리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50세 이상의 모든 근로자는 기본 기여 한도 외에 여전히 7500달러 추가 캐치업 기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은퇴 저축을 효과적으로 늘릴 기회를 계속 받고 있다.   개인은퇴계좌(IRA) 경우 2025년에도 기본 기여 한도는 7000달러, 50세 이상을 위한 캐치업 기여 한도는 1000달러로 유지된다. 그러나 소득 기준이 상향 조정되어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직장 은퇴 플랜에 가입된 개인 신고자의 전통적 IRA 공제 가능 소득 구간이 7만9000달러에서 8만9000달러로 확대된다. 부부 공동 신고의 경우, IRA에 기여하는 배우자가 직장 은퇴 플랜에 가입되어 있다면 2025년 공제 가능 소득 구간이 12만6000달러에서 14만6000달러로 늘어난다.   Roth IRA를 선호하는 이들에게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 개인 및 가구주의 경우, 소득 기준 구간이 15만 달러에서 16만5000달러로 늘어났고, 부부 공동 신고의 경우에도 소득 구간이 23만6000달러에서 24만6000달러로 확대됐다. 따라서 이전에는 소득이 높아 Roth IRA에 기여할 수 없었던 사람들이 새롭게 기여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또한 중저소득 근로자들을 위한 세이브스 크레딧(Saver's Credit)도 개선된다. 2025년부터는 부부 공동 신고 시 소득 한도가 7만9000달러, 가구주는 5만9250달러, 개인 신고자는 3만9500달러로 높아져 더 많은 이들이 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2023년 통계에 따르면, 직장인 중 단 14%만이 은퇴 플랜에 최대한도로 저축했으며, 50세 이상 중에서도 15%만이 캐치업 기여를 활용했다. 이는 많은 사람이 은퇴 저축의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들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몇 가지 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슈퍼 캐치업 기여'는 모든 고용주가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므로, 자신의 회사 플랜을 꼼꼼히 확인해봐야 한다. 기업이 401(k) 플랜을 설정할 때 이 기능을 채택하지 않았다면, 해당 나이에 도달하더라도 이 옵션을 활용할 수 없다. 또한, 401(k)와 IRA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저축 전략을 세우는 일이다. 단순히 한도가 늘어났다고 해서 무작정 저축액을 늘리기보다는, 자신의 소득과 지출 상황, 은퇴 목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세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현재 생활에 무리가 없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매년 변화하는 은퇴 저축 제도를 꾸준히 체크하고, 그에 맞춰 저축 전략을 조정해 나가는 것도 잊지 말자. 지금 당장은 먼 미래의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이러한 꾸준한 관심과 준비가 모여 편안한 노후를 만든다는 점을 기억하자.   특히 젊은 세대들은 은퇴가 아직 멀게만 느껴질 수 있지만, 복리 효과를 고려하면 일찍 시작할수록 더 적은 금액으로도 충분한 은퇴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2025년의 새로운 변화는 모든 연령대의 근로자들에게 더 나은 은퇴 준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지금부터 체계적인 은퇴 설계를 시작해보기를 바라고, 필요하다면 파이낸셜 어드바이저의 도움을 받도록 하자.   ▶문의:(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CCFS, CLTC·Financial Advisor, 아메리츠 파이낸셜보험 상식 연금 내년 은퇴 저축 은퇴 플랜 직장 은퇴

2024-11-06

“메디케어 가입 및 플랜 변경, 전문가에게 도움 받으세요”

 2025년 메디케어 가입 및 플랜 변경 기간이 10월15일 시작해 12월7일까지 진행됨에 따라 메디케어에 처음 가입하거나 기존의 플랜을 변경해야 하는 한인들의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특히 2025년 메디케어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큰 변화가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플랜을 선택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K2보험(대표 케이 김)은 지난 2일(토) 오후 3시 루이스빌 소재 K2보험 사무실에서 메디케어 세미나를 열고 2025년 메디케어 신규 가입 및 플랜을 변경할 때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을 설명했다. 강사로 나선 K2보험의 케이 김(Kay Kim) 대표는 보험 에이전트를 통해 메디케어에 가입하나 스스로 가입하나 별도의 비용은 들지 않는다며 전문가의 도움을 꼭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케이 김 대표는 “메디케어의 플랜이 복잡하기 때문에 단지 영어에 능숙하다고 해서 플랜을 속속들이 다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보험 에이전트를 통해서 가입했다 하더라도 그 모든 에이전트가 플랜을 자세히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를 통해 메디케어 플랜을 일괄적으로 점검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케이 김 대표는 “65세에 메디케어에 가입할 때 알아야 할 내용이 너무 많고 메디케어가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혼자서 하기가 너무 어렵다”며 “꼭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걸 추천한다”고 말했다. 케이 김 대표는 특히 약보험(Part D)의 경우 혼자서 메디케어에 가입하는 한인들 중 나중에 벌금을 물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케이 김 대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메디케어에 가입하는 한인들 중에는 약보험이 별도로 있는 줄 모르고 가입을 안하는 경우가 있다”며 “하지만 나중에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기가 돼서 약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월 42달러씩 벌금을 물게된다”고 설명했다. 케이 김 대표에 따르면 65세 생일 때 이미 소셜연금을 받고 있는 경우 자동으로 메디케어에 등록이 되며, 생일 3개월 전에 메디케어 카드를 받게 된다. 하지만 65세 생일 때 소셜연금을 받고 있지 않는 경우 메디케어에 가입하려면 별도의 절차가 필요하다. 메디케어에 가입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다. 첫번째는 웹사이트(ssa.gov)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전화 사회보장국(1-800-772-1213)에 문의해 전화로 인터뷰를 신청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바로 신청이 어렵고, 통역을 통해 인터뷰를 할 수 있다. 연중 항상 플랜 가입 및 변경이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 65세가 되어 처음 메디케어 혜택을 받는 경우 ▲ 직장 그룹보험에서 탈퇴한 경우 ▲ 이사를 한 경우 ▲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를 동시 갖고 있는 경우다. 케이 김 대표는 특히 이날 세미나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로 인한 변화들에 대해 설명했다. 케이 김 대표에 따르면 2022년 8월16일에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제정이 됐는데 메디케어 수혜자를 포함한 많은 취약 계층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 메디케어의 경우 의약품 비용 감축 및 처방약 보험료 안정이 인플레이션 감축법의 목표라고 케이 김 대표는 설명했다. 메디케어 가입 및 플랜 변경에 관한 보다 세부적인 사항은 케이 김 대표(214.490.7830)에게 직접 문의하면 된다.     〈토니 채 기자〉메디케어 전문가 메디케어 플랜 메디케어 가입 메디케어 혜택

2024-11-05

임페리얼 헬스플랜 한인 대상 홍보

메디케어 연례 가입 기간(10월 15일~12월 7일)을 맞아 임페리얼 헬스 플랜이 한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홍보를 시작했다.     임페리얼 인슈어런스 컴퍼니와 임페리얼 헬스 플랜은 6개 주, 71개 카운티에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및 시장형 플랜을 제공하며, 고객들의 건강한 삶을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임페리얼 다이내믹 플랜은 연간 치과 비용 최대 4000달러를 지원하며, 연간 본인 부담 상한선이 297달러로 설정돼 있다. 또한 100회의 교통 서비스와 연간 500달러의 안과 보조금 혜택도 제공한다. 매달 파트 B 보험료에서 최대 60달러 할인이 가능하며, 월 보험료는 무료다. 이 외에도 입원비, MRI, CT-스캔 등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돼 있어 시니어 고객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브라이언 배리 임페리얼 헬스 플랜 부사장은 “한인 시니어들이 최대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페리얼 헬스 플랜은 당뇨병, 만성 심부전, 심혈관 질환을 가진 시니어들을 위한 ‘시니어 밸류(Senior Value)’ 플랜도 마련했다. 이 플랜은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며, 다양한 건강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선택지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배리 부사장은 2008년부터 한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메디케어 플랜을 마케팅해왔다. 그는 “이번에도 한인 시니어들에게 적합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커뮤니티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남가주 최대 규모의 메디케어 보험 FMO인 ‘실버시티(대표 브라이언 정)’와 10년째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윤재 기자임페리얼 헬스 임페리얼 헬스 헬스 플랜 임페리얼 인슈어런스

2024-11-03

[보험 상식] 기업 연말 401(k) 관리

연말이 다가오면 기업들은 한 해의 사업을 마무리하고 새해를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이 시기에 종종 간과되기 쉬운 것이 바로 회사의 은퇴연금플랜, 401(k) 관리다. 이는 매우 중요한 업무로, 특히 연말에 반드시 챙겨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 있다. 오늘 그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401(k) 가입자에 공지 발송   Safe Harbor 플랜이나 자동 등록 기능(Automatic Enrollment)이 있는 401(k) 플랜은 매년 가입자들에게 공지를 보내야 한다. 이 공지에는 플랜의 주요 내용과 참가자의 권리가 포함된다. 보통 플랜 연도 종료 30~90일 전에 보내야 한다. 제때 보내지 않으면 규정 위반이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2. 플랜 문서 Amendment 하기   올해 401(k) 플랜에 중요한 변경(예: 매칭 비율 변경, 새 기능 추가)이 있었다면, 이를 플랜 문서에 반영해야 한다. IRS는 이런 변경사항을 연말(보통 12월 31일)까지 문서에 업데이트하라고 요구한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IRS 조사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모든 변경사항을 꼼꼼히 기록하고 문서를 정확히 갱신해야 한다.   3. 몰수 계정 자금 사용하기     직원이 퇴사할 때 귀속(vest)되지 않은 금액은 플랜의 몰수 계정(Forfeiture Account)으로 들어간다. 이 돈은 일반적으로 몰수가 발생한 플랜 연도 말이나 그 다음 해 말까지 사용해야 한다. 이 자금으로 플랜 비용을 지불하거나 고용주 기여금을 상쇄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계좌의 돈을 제 때 사용하지 않으면 플랜이 IRS 규정을 위반해 법적 문제에 직면하거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4. Nondiscrimination Test 결과 확인   401(k) 플랜에서 고액 연봉자와 일반 직원 간의 저축률 격차가 너무 크면 문제가 생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ADP(Actual Deferral Percentage) 테스트다. 2023년에 이런 불균형(ADP 테스트로 확인됨)이 발견되면, 회사는 2024년 말까지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금 혜택을 잃거나 벌금을 물 수 있다.     5. 필수 최소 분배 추적   필수 최소 분배(RMD)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플랜이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가입자들은 받아야 했을 금액의 50%에 해당하는 소비세를 부담해야 한다. 제3자 관리자나 플랜 제공업체에 연락하여 2023년에 RMD를 받아야 하는 모든 참가자가 이를 수령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6. 내년 위한 준비 시작     연간 플랜 검토 일정을 잡고, 내년 초 비차별 금지 테스트와 보고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1월 1일 자 신규 등록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     특히 1월 1일은 많은 401(k) 플랜의 일반적인 자격 시작일이므로, 지금부터 등록 자료를 발송하고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직원들이 정보를 검토하고 질문할 시간을 가질 수 있어, 1월 1일이 되었을 때 더 자신 있게 플랜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연말은 플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점검하기에 좋은 시기다. 플랜의 참여율, 평균 기여율, 투자 성과 등을 검토하고, 필요하다면 내년도 개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율이 낮다면 자동 등록 기능(Automation Enrollment)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고, 기여율이 낮다면 매칭 정책을 조정하거나 금융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50세 이상의 직원들에게는 추가 기여(catch-up contribution) 기회를 상기시켜 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연말에 은퇴연금플랜을 꼼꼼히 챙기면 규정 준수 위험을 줄이고, 직원들의 은퇴 준비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궁극적으로는 회사의 인재 유치 및 유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체계적인 접근과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차근차근 진행한다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업무다. 이를 통해 회사와 직원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건강한 은퇴연금플랜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문의:(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 / CCFS, CLTC·Financial Advisor, 아메리츠 파이낸셜보험 상식 연말 설명회 은퇴 플랜 플랜 문서 플랜 제공업체

2024-10-23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UHC, 메디케어 혜택 개선

미국 최대 규모의 건강보험 회사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 헬스케어가 2025년 메디케어 가입 및 변경 기간(AEP)을 맞아 주요 혜택을 확대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2025년을 위한 메디케어의 연례 가입 기간은 10월 15일에 시작해 12월 7일에 종료된다. 이 기간 동안 가입된 메디케어 플랜은 2025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유나이티드 헬스케어는 “현재 2025년 메디케어의 주요 변경 사항을 분석하여 많은 분들이 2025년에 가장 적합한 메디케어 플랜을 이해하고 선택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다”며 “고객들을 위해 세 가지 사항을 변경했는데, 이들 변경 사항은 모든 독립형 메디케어 처방약 플랜과 처방약 혜택이 포함된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에 영향을 미치기에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유나이티드 헬스케어의 첫 번째 변경 사항은 혜택 공백(Coverage Gap)을 없앤 것이다.   이로써 파트 D 처방약 혜택은 앞으로 ▶연간 회원부담액(deductible) 단계: 플랜에 처방약 회원부담액이 있는 경우, 회원은 이 금액에 도달할 때까지 약 비용 전액을 지불해야 할 책임이 있다 ▶최초 혜택 단계(Initial coverage stage): 최초 혜택 단계에서 회원은 코페이(co-pays) 또는 공동부담액(coinsurance)을 지불해야 한다 ▶위기 상황 혜택 단계(Catastrophic coverage stage): 회원과 회원의 담당기관이 메디케어 혜택이 제공되는 약품에 대해 총 2000달러(회원부담액에 대한 금액 포함)를 지불한 후, 회원은 위기 상황 혜택 단계로 바로 이동하여, 플랜 연도의 나머지 기간 메디케어 혜택이 제공되는 파트 D 약품에 대해 0달러를 지불하게 된다.   두 번째는 파트 D 처방약의 최대 회원 지출액이 더 낮아진다.     2024년에 모든 메디케어 회원의 경우 보험 회사와 관계없이 파트 D 최대 회원 지출액은 8000달러였다.   그러나 2025년의 최대 회원 지출액이 그 어느 때보다 낮아졌는데, 회원과 회원의 담당기관이 총 2000달러를 지불한 후,  회원은 플랜 연도의 나머지 기간 메디케어 혜택이 제공되는 파트 D 처방약에 대해 코페이먼트 또는 공동부담액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세 번째는 새로운 처방약 지불 플랜(Medicare Prescription Payment Plan)이다.   메디케어 처방약 지불 플랜은 새롭게 선택하실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약국에서 처방약을 받을 때 모든 회원 지출액 비용을 한 번에 지불하는 대신, 플랜 연도 동안 월별 청구서로 이러한 지불을 분산할 수 있다.   한편 메디케어 및 연례 가입기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어 전화번호(877-718-3682)로 문의하거나, 뉴욕·뉴저지 아시안 정보 센터(136-02 Roosevelt Avenue, Flushing, NY 11354/ 350 Broad Avenue, Palisades Park, NJ 07650)를 방문하면 친절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유나이티드 헬스케어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메디케어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메디케어 한국어 상담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새 처방약 플랜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파트 D

2024-10-16

2025년 메디케어 플랜의 변경에 따른 유의사항 [ASK미국 건강보험-마크 정 엠제이보험 대표]

▶문= 내년에 메디케어 플랜이 많이 바뀐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 2025년 메디케어 변경과 관련해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2022년 8월에 제정된 IRA(Inflation Reduction Act) 법에 의하여 약 보험을 재정비하게 되었고 내년부터 커버리지 갭 즉, 도넛 홀이라는 것이 없어졌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올해까지는 보험 가입자가 연간 처방전 약 총비용이 5030달러에 도달할 때까지 디덕터블 및 공동 부담금을 부담하게 되고 이후에는 커버리지 갭에 들어가면 실제 본인 최대 부담금액이 8000달러에 도달할 때까지 처방전 약 비용의 25%를 부담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내년부터는 이 커버리지 갭이 없어지고 본인 최대 부담금액이 2000달러로 대폭 줄어들게 되어 그동안 지병으로 인해 비싼 처방 전약을 구입해야 했던 분들에게는 매우 좋은 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메디케어와 메디칼을 가지고 있던 분들이 듀얼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DSNP)을 가지고 있는 경우, 올해까지는 마지막 4/4분기를 제외하고 매 분기 한 번씩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으로 변경할 수 있었으며, LIS(Low Income Subsidy)를 가지고 있는 분들은 오리지널 메디케어와 파트 D 처방전 약 플랜으로의 변경 또는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으로의 변경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매달 바꿀 수는 있지만 DSNP는 DSNP로의 변경만 가능하게 되어 만일 연간 등록 기간에 치과, 안경, 한방 등의 엑스트라 혜택이 좋은 DSNP 플랜이 아닌 일반 플랜으로 변경한 후에 다시 DSNP 플랜으로 변경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연간 가입 기간에 신중하게 검토한 후에 결정하셔야 됩니다.   세번째는  내년에 없어지는 플랜이 많으므로 주의하셔야합니다. 어떤 플랜은 이름이 바뀌면서 자동으로 다른 이름의 플랜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특별한 조치없이 자동적으로 플랜이 변경됩니다. 그렇지만 플랜자체가 없어지는 경우에는 같은 보험사를 유지하더라도 반드시 다른 플랜으로 변경을 하셔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동으로 12월 31일자로 플랜이 취소되어 오리지널메디케어로 돌아가게되므로 20%정도의 본인부담금이 생기고 처방전약도 커버가안되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또한 플랜자체가 없어지지는  않더라도 혜택이 줄어드는 플랜이 많으므로 잘 검토하셔서 손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문의:(323)272-3388 마크 정 엠제이보험 대표미국 메디케어 메디케어 플랜 메디케어 변경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2024-10-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