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생산에서 패키징, 물류까지...'팔방미인' 한인 기업 '챔버스 트룹 그룹' 뜬다

조립·패키징·운송 등 전방위 원스톱 서비스 내달 제2공장 가동...3년내 5공장까지 확장   조지아주와 맞닿은 앨라배마주 밸리 시에 위치한 챔버스 트룹 그룹(CTG)의 공장 건물은 한때 방직공장이 있던 곳이었다. 100년간 번성했던 방직공장 마을이 황폐화된 건 1980년대. 2018년 CTG가 2400만달러를 투자해 창고·운수회사를 세우면서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이 되살아났다.   그로부터 7년이 지난 지금, CTG의 성장 과정은 미국 제조업의 시대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간 CTG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로 성장했고, 방산업 진출도 노리고 있다.   CTG는 임직원 140명 규모로 지난해 38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생산·조립·패키징·운송 등의 분야에서 5개 계열사를 산하에 두고 있다. 주요 생산 제품은 범퍼빔, 히터 덕트(배관), 워셔액 탱크 등이다. 필러류 내장재 조립도 맡고 있는데 현재 부품 생산량이 늘면서 7만 스퀘어피트(sqft) 규모의 제2공장을 다음달 가동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총 35에이커에 달하는 부지를 활용해 향후 3년 안에 5공장까지 확장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전현우 대표는 "목화섬유 산업이 파키스탄 등지로 빠져나가면서 생활권이 사라진 곳이었지만 CTG 진출 이후 상권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동네 주민들이 직접 찾아와 감사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샤멋(Shawmut Mill) 마을로 불리던 이곳은 방직공장을 중심으로 학교, 교회 등이 들어선 앨라배마 최초의 계획도시 중 하나였으나 공장이 폐쇄되면서 많은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다른 도시로 이주했다.   트럼프 2기 들어 기업들이 직면한 가장 큰 불확실성은 공급망에 집중돼 있다. 글로벌 전후방 협력사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의 경우 재고를 제때 확보하는 것은 수익성과 직결된다. 권혁중 부사장은 CTG의 강점으로 "한국에 항공과 해상 운송이 가능한 현지법인(아스트로글로벌)을 두고 있어 한미 양국간 물류가 원활하고, 대형 창고를 활용해 재고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CTG는 밸리 시 외에도 오펠라이카, 몽고메리 지역에 물류센터를 두고 있는데 자동차 1차 협력업체 7개사가 이곳을 이용한다. 하루 평균 40피트 표준 컨테이너 8~20대를 소화한다. 조만간 사바나에 제3자 물류사업(3PL)을 확장할 계획도 있다. 3PL은 수송, 보관, 재고관리 등의 위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전 대표는 "제조-물류 계열사간 시너지 효과와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고관세 환경을 돌파할 기업 여력이 충분하다고 본다"고 자신했다.   CTG의 다음 관심사는 방산이다. 조지아 콜럼버스의 육군 종합군사기지인 포트 베닝과도 가까워 군수물자 공급이 유리하다고 본 것이다. 전 대표는 "미중갈등이 심해지며 방위산업에서 중국산 물자가 빠지면 새로운 활로가 트일 것으로 본다"며 "군수 협력을 통해 우방이라는 인식이 강화되면 경제 협상에서도 유리해 장기적으로 이익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팔방미인형 조지아 방직공장 마을 양국 물류 한때 방직공장

2025-04-18

팔방미인이 유리할까, 한 분야를 잘 하는게 유리할까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명문대 입시에서 팔방미인이 유리할까, 한 분야에 특화된 학생이 유리할까?     ▶답= 정답부터 말하자면 적당히 팔방미인도 되어야 하고, 한 분야를 뛰어나게 잘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통 팔방미인이라고 하면 여러 분야를 두루 잘 하는 학생을 뜻한다. 하지만 이런 학생은 어느 한 분야를 아주 깊이 있게 파고들지는 않는다.    수 십 년 동안 엘리트 대학에 진학하려면 팔방미인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이 존재했다. 하지만 탑 스쿨 합격률이 한자리 숫자로 떨어지는 등 입학 경쟁이 치열해지고 대학들이 지원자로부터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기가 불가능한 시대가 되면서 팔방미인형 학생이 아직도 입시에서 통하는지 궁금해하는 학생 및 부모들이 많다.     잘 알다시피 뛰어난 성적과 시험 점수, 강한 과외활동과 에세이 만으로는 탑 스쿨 합격이 보장되지 않는다. 지금은 많은 탑 대학들이 ‘훅’(hook)을 기대한다. 훅이란 특정 지원자를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하는 특별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전국적으로 이름을 날리는 스포츠 스타라든지, 세계적인 명성이 있는 피아노 대회에서 우승을 했다든지, 코딩 천재라든지, 남들이 도저히 흉내 낼 수 있는 ‘특별함’을 갖추었으면 훅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학생들은 훅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을 것이다.     대학들은 훅이 있는 학생들과 팔방미인형 학생들을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훅을 가진 학생들끼리, 팔방미인형 학생들끼리 합격하기 위해 경쟁한다고 보면 된다. 훅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대이긴 하지만 여러 분야를 두루 잘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명문대 합격증을 손에 넣기 위해서는 훅이 있는 학생들도 뛰어난 성적, 시험 점수, 에세이, 추천서 등이 갖춰져야 한다. STEM 전공을 희망해도 글쓰기, 리딩 등의 분야에서도 수준급 실력을 보여야 입시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어떻게 보면 팔방미인이면서도 훅 하나쯤은 있어야 가장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명문대들은 지원자에게 영어, 수학 등 핵심과목을 4년간 수강할 것을 요구한다. 대입 원서를 쓸 때는 모든 섹션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어느 한 부분만 돋보이게 해서는 안 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이 있듯 팔방미인이면서도 훅을 갖춘 학생이 되도록 노력해 보자.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미국 유리 팔방미인형 학생들 명문대 합격증 입시 경쟁력

2025-04-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