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Metis, 탈중앙화 AI 미래 위한 ‘LazAI’ 상세 계획 및 생태계 전략 전격 공개

        선도적인 이더리움 레이어 2 플랫폼 메티스(Metis)가 단순한 블록체인 구축을 넘어, 탈중앙화 인공지능(AI) 시대를 위한 포괄적인 생태계 전략과 핵심 프로젝트 ‘LazAI’의 상세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METIS 토큰의 Kraken 거래소 상장 및 활발한 글로벌 활동으로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메티스는 이번 발표를 통해 Web3 AI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메티스가 주력하는 탈중앙화 AI 생태계의 핵심인 LazAI는 블록체인 기술과 AI 기술의 혁신적인 융합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전례 없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azAI는 Alith와 C.Alith라는 두 가지 핵심 제품을 통해 구체화된다. Alith는 개발자들이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구축하고 블록체인 환경에 AI 모델을 간단히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C.Alith는 이를 더욱 확장하여 복잡한 AI 운영을 블록체인 위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확장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LazAI는 AI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술의 원활한 통합을 통해, 사용자가 분산된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투명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LazAI는 사용자 요구에 맞춰 블록체인 환경과 AI 서비스를 모두 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함께 제공되는 개발자 친화적인 SDK와 툴킷은 블록체인 개발 경험이 부족한 일반 개발자들도 손쉽게 원하는 탈중앙화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췄다.   기술적인 혁신과 더불어, LazAI는 인간 중심의 탈중앙화 거버넌스(Human-aligned Decentralized Governance) 모델 구축을 통해 단순한 기술 플랫폼 이상의 가치를 추구한다. 메티스 생태계 전반의 투명성과 인간 중심 기술 철학을 바탕으로,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거버넌스를 통해 AI 기술의 윤리적 활용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러한 LazAI의 비전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기술적 기반도 함께 공개됐다. 메티스는 4월 중순, Metis SDK를 오픈소스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 SDK는 비탈릭 부테린이 제시한 “성능과 탈중앙화는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함께 달성될 수 있다”는 철학을 실제로 구현한 기술로, 개발자들이 필요에 따라 최적화된 블록체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메티스는 Hyperion 듀얼 체인(Dual Chain) 전략을 통해 미래의 AI 인프라를 준비하고 있으며, 2025년 4~5월 테스트넷 출시, 2025년 8월 메인넷 출시라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메티스는 LazAI가 메티스의 기술력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Web3 환경에서 AI 기술의 실질적인 표준이자 선도적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 확신하며, 이를 위해 글로벌 Web3 개발자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메티스 관계자는 "LazAI와 탈중앙화 AI 생태계의 성공은 기술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와 개발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에 달려있다"며, "투명하고 지속 가능한 AI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모든 참여자를 환영한다"고 강조했다.    최지원 기자탈중앙화 metis 생태계 전략 탈중앙화 거버넌스 탈중앙화 인공지능

2025-04-14

엔버월드, 중앙일보 '2022년 올해의 우수브랜드 대상' 블록체인 커뮤니티 부문 수상

 NFT 마켓플레이스 '엔버마켓(Nvir Market)'과 가상합성자산 디파이(DeFi) 플랫폼을 운영하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운영기업 엔버월드가 중앙일보 '2022년 올해의 우수브랜드 대상'에서 블록체인 커뮤니티 부문을 수상하였다고 밝혔다.   엔버월드(NvirWorld)는 공식 커뮤니티를 통해 유저들과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운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유저와의 소통을 위해 1,080석 규모의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된 '2023 NvirWorld Summit'에서는 그동안 엔버월드(NvirWorld)에 대한 유저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신규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행사로 진행되어 참석자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번 SUMMIT에서는 국내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수익구조로 설계된 P2E 게임 '슈가 플레이버(Sugar Flavor)'와 FTX 거래소 사태처럼 거래소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1일 1자산 증명 탈중앙화거래소인 '이노덱스(INNODEX)'를 공개하고 참석자들에 한하여 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참여권을 증정하였다.     엔버월드(NvirWorld)의 P2E 게임 '슈가 플레이버(Sugar Flavor)'는 신개념 NFT 수익 체계를 정립하고 더 나아가 한국(국내) 서비스에도 문제가 없는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한 게임으로 이날 공개된  NFT가 연계되어 'NPS(Nvir Play Store)'를 통해 단계별 NFT 아이템 및 캐릭터 이용을 활성화 시키는 새로운 장을 구성하였다. 'NPS(Nvir Play Store)'는 엔버월드 프로젝트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게임 프로젝트들도 동일한 혜택을 누리게 할 것이라 발표했다.   더해 1일 1자산 증명 탈중앙화거래소인 '이노덱스(INNODEX)'는 중앙화 거래소(CEX)와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장점을 모아 1일 1회 동기화를 통해 자산을 증명하고 엔버월드의 기술을 통해 다수의 거래에도 동기화 시 1회만 가스비가 발생하도록 하여 코인 시장에 대한 불안감을 잠식시키고 거래를 활성화할 것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엔버월드(NvirWorld)는 올해 4분기에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이며, 기존에 운영 중인 플랫폼은 물론 신규 프로젝트들까지 모두 엔버월드(NvirWorld) 메인넷 상에 생태계를 구성해 나갈 예정이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우수브랜드 중앙일보 블록체인 커뮤니티 탈중앙화 거래소 커뮤니티 부문

2023-01-02

후오비 연구소,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트론 USDD 안정성 입증.

블록체인 연구기관 후오비 연구소가 12월 8일  ‘2022-2023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 파노라마 및 동향’ 연간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를 통해 후오비 연구소는 트론 USDD는 독특한 발행 방식과 안전한 상환 메커니즘으로 인해 올해 불황을 견딜 수 있는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밝혔다.     후오비 블록체인 응용 연구소(이하 ‘후오비 연구소’)는 2016년 4월에 설립되었으며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새로운 발전을 탐구하는 데에 전념하고 있다. 후오비 연구소는 산업 동향, 신흥 기술, 혁신적인 애플리케이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을 다룬다. 연간 블록체인 산업 연구 보고서는 실무자, 투자자 및 암호화 사용자에게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동향과 전문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후오비 연구소는 지난 5월 루나 폭락 사태 이후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이 하락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당시 유통되었던 상위 5개 스테이블 코인의 시장 가치는 약 90% 하락했다. 대조적으로 올해 5월에 발행된 스테이블코인 USDD는 발행량을 거의 두 배로 늘리며 강력한 시장 인지도를 입증했다.   트론 USDD의 보안성과 안정성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과 과잉 담보 스테이블 코인의 특성을 결합한 발행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다. 이 메커니즘은 TRON DAO Reverse(TDR) 화이트리스트에 있는 기관은 완전히 저당된 TRX(알고리즘 안정 통화) 형태로 USDD를 발행할 수 있다. 동시에 TDR은 TRX, BTC, USDC를 포함한 모기지 자산의 200%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화이트리스트 기관만이 USDD를 폐기하고 TRX로 교환할 권리가 있기 때문에, USDD가 디페킹 위험에 처한 경우 미래의 재정적 기회를 차단하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는다.   글로벌 시장에서USDD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법정 통화로서 많은 기관에서 지원되며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보고서에 의하면 USDD는 Huobi, Poloniex, Kucoin, Bybit, Gate 등의  중앙화 거래소와Sun.io, ellipsis 등 DeFi프로토콜 지원을 획득 했다. 이는 비트코인 이후 세계에서 법적 디지털 통화 자격을 부여받은 두 번째 암호화폐다.     USDD의 총 발행량은 7억 2,500만 개를 넘어섰고, 총 약정 금액은 14억 달러를 넘어섰다. 현재 USDD 모기지 자산은 14040.6 BTC, 392,588,333 USDC, 4 USDT 및 10,911,996,486 TRX를 포함하고 있다. 모기지 자산은 제3자에 의해 엄격하게 감사되고 분산된 조직에서 관리되며. 담보 비율은 200% 이상을 유지했다. USDD의 변동성은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며, 일부 기관이 악의적으로 매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트론 관계자는 “충분한 담보 자산, 안정적인 메커니즘, 다양한 시나리오 실현 및 유연한 자산 관리 전략 채택으로 USDD의 시장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시켜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히며, “USDD의 고정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장 기관과 협려하여 자금 흐름을 엄격하고 투명하게 관리하겠다.”고 전했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스테이블코인 탈중앙화 후오비 연구소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코인 usdd

2022-12-09

알페이코인(ALP), 글로벌 거래소 상장 추진

차세대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인 알페이(ALPAY)는 국내외 다양한 중앙화 거래소 상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알페이(ALPAY) 프로젝트는 알페이(ALPAY)를 설립 후 다양한 사업분야의 글로벌 기술·운영 ·마케팅전문가들과 함께 결제시스템 및 플랫폼 기술개발, 유통, 제조 및 프렌차이즈 사업 등의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알페이는 지갑 및 결제 어플리케이션 테스트를 통해 앱 사용자의 증가 및 결제 가맹점을 대폭 확보하여 카자흐스탄 시장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플랫폼의 실사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카자흐스탄에서 주목받고 월렛 및 금융 서비스 제공을 통해 폭발적인 관심을 모았다. 그 직후 알페이토큰(ALP) 가격은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번 국내 상장으로 알페이토큰(ALP)의 글로벌라이제이션 이라는 목표에 더욱 빠르게 달성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알페이토큰(ALP)은 올해 중앙화 거래소(CEX) 뿐만 아니라 탈중앙화 거래소(DEX)에도 꾸준히 상장하여 알페이토큰(ALP) 알리기에 주력하며 유동성 증대에 노력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알페이(ALPAY)는 카자흐스탄 기업뿐만 아니라, 중국의 PG사들과의 기술 협업을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앙아시아 기업 및 소매유통점의 제휴사를 빠르게 확대하며 시장 지배력을 넓히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알페이(ALPAY)는 카자흐스탄 기업뿐만 아니라, 중국의 PG사들과의 기술 협업을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앙아시아 기업 및 소매유통점의 제휴사를 빠르게 확대하며 시장 지배력을 넓히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국내 대형 거래소뿐만 아니라 다수의 해외 글로벌 거래소 상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동시에 기업 컨설팅과 상장 계약과 일종을 협의중인 국내외 거래소들 과의 성공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알페이코 글로벌 탈중앙화 거래소 국내외 거래소들 글로벌라이제이션 이라

2022-09-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