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비대위 '카톡방 투표'로 한인회장 탄핵안 통과

‘애틀랜타 한인회 재건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김백규·이하 비대위)’는 지난달 29일 소셜미디어 그룹채팅방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이홍기 한인회장의 탄핵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탄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임시총회 약 2주 전부터 임시총회 소집공고를 냈다. 지난달 31일 비대위가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29일 오후 2시 사전 공지대로 탄핵 투표를 시작했으며, 당시 참석자가 586명이었고, 투표 시작 후 62명이 추가로 참석했다. 이후 투표 중 142명은 애틀랜타 지역 거주자가 아니거나 실명 확인이 안 된다는 이유로 내보내졌다. 투표는 24시간 동안 이어졌다.   비대위는 임시총회 참가 인원 506명 중 찬성표를 누른 사람이 365명, 반대는 0명이었으며, 무효(투표 후 타주 거주자인 것을 확인) 1명, 기권(방에 들어왔지만 투표하지 않은 인원) 140명으로 투표가 종료됐다 발표했다. 따라서 “참석자 3분의 2(337명 이상)가 찬성하며 탄핵이 통과됐다”고 비대위는 밝혔다. 카카오톡 그룹채팅방 투표 특성상 투표한 사람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비대위는 당초 정회원 436명의 탄핵안 서명 및 공증을 완료해 한인회에 서류를 여러 차례 전달하려 했으나, 한인회가 수령을 거부해 다른 방법을 모색했다. 회칙에 따르면 탄핵안은 400명 이상의 공증된 서명을 첨부하고 해임사유를 명시하여 이사장에게 제출해야 하며, 이사장은 탄핵안이 접수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임시총회를 소집해야 한다. 탄핵은 정회원 400명 이상의 출석과 표결에 참여한 회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확정된다.   비대위는 한인회 회칙에 따라 탄핵 절차를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회칙에 의하면 한인회 ‘정회원’은 회비 납부 여부와 관계없으며, 한인회에 “중대한 재정적 손실을 가져왔거나 명예를 심각하게 손상시킨 경우(52조 3항)”이기 때문에 탄핵 사유가 넘쳐난다는 것이다. 윤지아 기자비대위 카톡방 탄핵 투표 투표 시작 애틀랜타한인회 재건

2025-03-31

[살며 생각하며] “좀 쉬세요”

숨으려다 들킨 사람처럼 나는 아들의 물음에 움찔했다. 올해는 성탄 모임을 안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지난여름에 남편의 칠순 잔치를 했을 때, 우리 집이 코로나의 진원지가 되었다. 다음 날, 맨해튼 사는 젊은 애 엄마가 열이 나더니 일가족 넷이 다 아프고, 그다음 날은 브루클린에서 온 가족이 발열이 시작되었다. 친척 카톡방은 돌려가며 뽑기라도 하듯이, 코로나 사태로 한동안 분주했었다. 칠순이라고 조카들에게 선물과 덤으로 포옹까지 받은 남편은 며칠을 드러누워 있어야 했다. 코로나 때문인가? 우리 집에서 몇십 년 해 오던 연례 성탄 파티를 하고 싶지 않은 이유가. 마음 깊은 곳에서 핑계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엄마, 사촌들이 할리데이 파티가 언제냐고 물어봐요. 어떻게 해요?” 아들이 다시 물었다. 오래전 파티를 처음으로 시작할 때, 나보고 하라는 등 떠민 것도 아니었다. 혼자 자라는 아들 옆에 사람이 북적거렸으면 했다. 어른 친척들은 파티를 환영하는 눈치도 아니었다.   대목이라 꽃 배달을 밤 10시까지 한다는 A, 할리데이에는 직원 대신 빨래방을 지켜야 한다는 B, 마지막 순간에 네일을 하는 손님이 밀린다는 C…. 다들 먹고 사는 이유였다.   반찬집 음식이나 디저트를 들고 느지막이 나타나는 친척들이 그저 고맙기만 했다. 내가 총대를 멜 수밖에 없었다. 어느 해 12월은 주메뉴를 프라임 립(prime rib)로 정했다. 아이들은 시뻘건 레어(rare)를, 어른들은 겉은 브라운, 안은 핑크를 선호했다. 고기 한 덩이에 두 가지가 나오도록 미리 연습해 보기도 했다.   어른으로 진입한 아이들은 머릿수를 자랑하는 부족 대회라도 하는 듯했다. 많이 모일수록 좋아했다. 육촌, 팔촌, 사돈의 팔촌까지 세를 늘리더니, 파트너까지 50여 명에 이르렀고, 새 생명이 여기저기서 태어났다. 젊음의 절정에 있는 아이들은 12월이면 빨강, 초록으로 꾸민 올망졸망 아이들을 매달고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이토록 성업 중인 패밀리 비즈니스(?)를, 그것도 내가, 올해 유독 뜨악해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며느리가 눈치를 채고 말한다. “어머니, 음식은 저희가 어레인지 할게요!” “정말?” 나는 미심쩍어하는 아이처럼 다시 물었다. “이제는 좀 쉬세요!”   이렇게 좋을 수가. 바로 그거였다! 내가 듣고 싶은 말이. 몇 년 사이에 나도 모르게 음식 준비가 버거워진 거였다. 말 떨어지기가 무섭게 아이들은 이메일로 메뉴 차트를 돌리며 신나게 파티 준비를 하고 있다. 아, 쓸데없는 기우였다! 좀 더 일찍 넘겨도 될 걸 그랬다.   “올해부터 우리가 하던 준비를 아이들이 한답니다. 30년 후쯤에는 자기들도 넘긴다고요. 우리는 케이크나 하나씩 들고 오래요. 그날 봬요!”   나는 날아갈 듯이 어른 카톡방에 문자를 올렸다. 기대감이 풍선처럼 떠오른다. 김미연 / 수필가살며 생각하며 할리데이 파티 어른 친척들 어른 카톡방

2022-12-09

[살며 생각하며] “좀 쉬세요”

숨으려다 들킨 사람처럼 나는 아들의 물음에 움찔했다. 올해는 성탄 모임을 안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지난여름에 남편의 칠순 잔치를 했을 때, 우리 집이 코로나의 진원지가 되었다. 다음 날, 맨해튼 사는 젊은 애 엄마가 열이 나더니 일가족 넷이 다 아프고, 그다음 날은 브루클린에서 온 가족이 발열이 시작되었다. 친척 카톡방은 돌려가며 뽑기라도 하듯이, 코로나 사태로 한동안 분주했었다. 칠순이라고 조카들에게 선물과 덤으로 포옹까지 받은 남편은 며칠을 드러누워 있어야 했다. 코로나 때문인가? 우리 집에서 몇십 년 해 오던 연례 성탄 파티를 하고 싶지 않은 이유가. 마음 깊은 곳에서 핑계가 아니냐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엄마, 사촌들이 할리데이 파티가 언제냐고 물어봐요. 어떻게 해요?” 아들이 다시 물었다. 오래전 파티를 처음으로 시작할 때, 나보고 하라는 등 떠민 것도 아니었다. 혼자 자라는 아들 옆에 사람이 북적거렸으면 했다. 어른 친척들은 파티를 환영하는 눈치도 아니었다.   대목이라 꽃 배달을 밤 10시까지 한다는 A, 할리데이에는 직원 대신 빨래방을 지켜야 한다는 B, 마지막 순간에 네일을 하는 손님이 밀린다는 C…. 다들 먹고 사는 이유였다.   반찬집 음식이나 디저트를 들고 느지막이 나타나는 친척들이 그저 고맙기만 했다. 내가 총대를 멜 수밖에 없었다. 어느 해 12월은 주메뉴를 프라임 립(prime rib)로 정했다. 아이들은 시뻘건 레어(rare)를, 어른들은 겉은 브라운, 안은 핑크를 선호했다. 고기 한 덩이에 두 가지가 나오도록 미리 연습해 보기도 했다.   어른으로 진입한 아이들은 머릿수를 자랑하는 부족 대회라도 하는 듯했다. 많이 모일수록 좋아했다. 육촌, 팔촌, 사돈의 팔촌까지 세를 늘리더니, 파트너까지 50여 명에 이르렀고, 새 생명이 여기저기서 태어났다. 젊음의 절정에 있는 아이들은 12월이면 빨강, 초록으로 꾸민 올망졸망 아이들을 매달고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이토록 성업 중인 패밀리 비즈니스(?)를, 그것도 내가, 올해 유독 뜨악해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며느리가 눈치를 채고 말한다. “어머니, 음식은 저희가 어레인지 할게요!” “정말?” 나는 미심쩍어하는 아이처럼 다시 물었다. “이제는 좀 쉬세요!”   이렇게 좋을 수가. 바로 그거였다! 내가 듣고 싶은 말이. 몇 년 사이에 나도 모르게 음식 준비가 버거워진 거였다. 말 떨어지기가 무섭게 아이들은 이메일로 메뉴 차트를 돌리며 신나게 파티 준비를 하고 있다. 아, 쓸데없는 기우였다! 좀 더 일찍 넘겨도 될 걸 그랬다.   “올해부터 우리가 하던 준비를 아이들이 한답니다. 30년 후쯤에는 자기들도 넘긴다고요. 우리는 케이크나 하나씩 들고 오래요. 그날 봬요!”   나는 날아갈 듯이 어른 카톡방에 문자를 올렸다. 기대감이 풍선처럼 떠오른다. 김미연 / 수필가살며 생각하며 할리데이 파티 어른 친척들 어른 카톡방

2022-12-07

[열린 광장] 동기부여의 중요성

누군가에게 필요한 사람이라면 행복하게 살까? 뭔가 도움을 줄 수 있다면 흔쾌히 나설 수 있을까? 돈이 생기는 일이 아니더라도 이미 내게 장착된 재능을 활용해서 맞춤형 위로를 남에게 줄 수 있다면 마다할 이유 없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화풀이 상대로 샌드백 패듯이 두들겨 팰 사람이 필요하다 해서 그런 상대로 살아 줄 수는 없다. 자식이 필요하다고 씨받이로, 또는 화가 많은 사람의 욕받이로 남의 필요를 채워주는 헌신 봉사의 형태는 기쁘게 사는 게 아니다.     행하면 내가 행복하고 상대방도 즐겁고 환하게 위로를 받는다는 종목을 최근 알게 됐다. 멀리 사는 중학교 동창이 흘리는 말로 추천한 소일거리다. 그러면서 요즘 즐겨 듣는 책 읽어주는 사람들의 유튜브를 소개한다. ‘여러 사람을 다 들어보아도 예전에 새벽 선교 방송을 하던 네 목소리처럼 마음에 평안을 주는 목소리가 없다’는 의견이다. 기분 좋은 칭찬이다.   어휴, 이 나이에 어떻게 내가 그런걸? 유튜버가 되는 길이 간단하단다. 젊은 사람의 도움을 잠깐 받아 시작한다면 아주 많은 사람에게 위로를 주고, 기쁨을 줄 수 있으니 당장 시작해 보란다. 하늘이 주신 달란트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 해보라는 조언이다.   용기가 생겨 조심스레 단체 카톡방에 시 한 편씩 낭독해서 올려본다. 괜스레 잘난 척하는 건 아닌가 조심스럽다. 일반적 반응은 시큰둥 별 관심 없다. 선후배들이 모인 합창단 단톡방에선 호떡집에 불난 듯 왁자지껄 뜨거운 호응이다. 자주 올리라는 부탁과 함께 아끼지 않는 칭찬 세례가 나를 들뜨게 한다.   그중 한 후배는 개인적으로 부탁을 드리겠단다. 주위에 홀로 외롭게 사시는 분들에게 퍼 나르고 싶다고 양해를 구한다.   내게 용기를 갖도록 박수 보내는 지원군이다. 자신감 챙기고 꾸준히 해볼까 망설이는 중이다. 정말 누군가에게 위로가 된다는 걸까? 믿고 열심히 해보자는 생각도 잠깐. 자신이 없다.   막상 실천하려니 녹음기기나 배경 준비나 뭔가 내 능력으로는 감당 안 되는 것들이 있는 것 같다. 이럴 때, 손주 녀석이라도 하나쯤 곁에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저런 핑계를 끌어내며 본격적 작업은 보류 상태다. 간혹 누가 올린 시 한 편 나꿔 채서 휴대폰으로 녹음하곤 다시 카톡방에 조심스레 올려놓는다.   새로 시작한 기타동아리 카톡방에 아직 대면해 만나지 못한 회원이 시 한 편을 올렸기에 조심스레 낭독분을 올려봤다. 바로 반응하면서 여기저기 퍼 나르겠다고 양해를 구하신다. 신난다. 이렇게 해서 나도 뭔가 위로를 줄 수 있는, 쓸모있는 인간이라 생각하니 뛸 듯이 기쁘다. 위로를 주는 일에 작은 부분이라도 감당할 수 있어 감사함이 넘친다. 고개 들어 바라본 하늘이 유난히 파랗다. 박기제 / 통관사열린 광장 동기부여 중요성 맞춤형 위로 기타동아리 카톡방 단체 카톡방

2022-08-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