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아침에] 신세를 졌어요

오래전 베를린 마라톤에 참가했던 친구들을 뉴욕 플러싱에서 만나기로 했다.     뉴저지에서 버스를 타고 한양 슈퍼마켓 앞에서 내리니 친구들이 기다리고 있다. 반가웠다. 암 투병으로 아팠던 친구는 건강해 보였고 멋쟁이 친구는 여전히 젊음이 넘쳐흘렀고 열심히 일하는 친구는 오늘따라 여유가 있어 보였다.     플러싱 먹자골목을 다니면서 구경도 했다. 음식점에 앉았는데 손님들이 주문한 음식을 로봇이 왔다 갔다 하면서 운반해준다. 로봇이 직원들의 손을 대신했다. 음식도 맛있고 양도 많았다.     뉴저지 식당에서 느끼지 못했던 콩나물도 아삭아삭하고 양념도 느끼하지 않고 생선도 많이 들어있고 생선 자체 맛이 일품이었다. 4명이 먹고 많이 남았다. 내가 가지고 가기로 하고 식대를 계산하려고 하니 벌써 다른 친구가 냈다고 했다.     커피숍에 갔는데 한 친구가 계산대 앞에 서 있으면서 맛있는 빵을 골라오라고 손짓한다. 맛있는 커피를 마시면서 담소하다가 한 친구가 일터로 가야 하는 시간이었다.     나머지 셋은 발 마사지하는 곳으로 향했다. 1시간 발 마사지를 해주는데 어머 좋은 것. 장딴지부터 발가락 하나하나 문지르는데 피로가 확 풀리고 발이 보드랍다. 꺼칠꺼칠했던 발바닥이 어린아이 살결처럼 부드러워졌다.     움츠리고 일어나 기분 좋게 계산대로 다가갔는데 다른 친구가 벌써 계산을 해버렸다. 온종일 즐기면서 한 푼도 내지 않아서 먹먹했다.   신세 지기 싫다. 빚지고 사는 일은 불편하다. 받았으면 돌려줘야 한다. 어려서부터 그랬다. 주는 건 어렵지 않은데 잘 받는 게 어려웠다. 겉으로 티 내지 않아도 이런 마음을 갖고 살았다. 언제나 갚아야 할 일들이 남아있는 사람처럼 살았다.     그래서 무엇이든 공짜로 받으면 불편했다. 공짜여도 눈에 보이지 않는 가격표가 붙어있는 것 같다고 할까. 갚아야 하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면 작은 호의가 호의로 다가오지 않는다. 친구 눈에는 그 모습이 보였던 것 같다. 티가 났느냐고 물어봤더니 다른 친구는 이렇게 말했다. 괜찮아 어차피 하루 이틀 볼 것도 아니고 이번에 못 내면 다음에 내면 되지 뭐.   지금의 세상은 호의 대신 편의를 요구한다. 의도나 숨겨진 목적 없는 호의 대신 목적이 선명한 편의를 제공하게끔 변해가고 있다.     세상살이가 각박할수록 더 그럴 것이다.마음에 여유가 없다면 호의를 받아들이기 어렵다. 불분명한 목적은 마음을 의심하게 한다. 그렇지만 호의를 받아들이기 위해 여유를 가지라는 조언은 가당치 않다. 그게 생각한 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니까. 여유를 가지기란 어렵지만 사안을 바라보는 관점은 바꿔볼 수 있다. 받았다는 사실보다 친절한 마음씨에서 시작되었다는 의도를 기억해 보는 건 가능하다. 중요한 건 친절에서 비롯한 마음이다.   그래서 마음의 출발지만 기억하기로 했다. 일생은 길고 유별나게 굴 필요는 없다. 딱 맞게 떨어지는 관계는 없다. 더 줄 때도 있고 덜 받을 때도 있는 법이다. 주고받는 과정에 익숙해지면 그냥 그 자체로 좋지 않을까.   돌려줄 마음이 빈한해 옹색한 모양새가 부끄러울지라도 가까이 받아들이기를 선택한다.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면 좋은 사람이 되어야 했다. 나는 갚는 일이 싫어서 받아들이지도 못했지만 이제는 오고감에 익숙해져야 한다. 무뎌져 익숙할수록 더 많이 생각해야 한다. 시간은 관계에서 의미 있던 순간들도 희미하게 만드니까.     다음에 친구들을 만나면 꼭 밥을 사야겠다. 헤어지면서 작년에 아카시아 꽃을 넣어 만든 와인을 한 병씩 주면서 무슨 향인지 알아맞혀 보라고 넌지시 숙제를 주었다. 양주희 / 수필가이아침에 신세 멋쟁이 친구 호의가 호의로 신세 지기

2025-03-16

[삶의 뜨락에서] 신세를 졌어요

오래전 베를린 마라톤에 참가했던 친구들을 플러싱에서 만나기로 했다. 뉴저지에서 버스를 타고 한양 슈퍼마켓 앞에서 내리면 친구들이 기다리고 있다. 반가웠다. 암 투병으로 아팠던 친구는 건강해 보였고 멋쟁이 친구는 여전히 젊음이 넘쳐흘렀고 열심히 일하는 친구는 오늘따라 여유가 있어 보였다. 플러싱 먹자골목을 다니면서 구경도 했다. 음식점에 앉았는데 손님들이 주문한 음식을 로봇이 왔다 갔다 하면서 운반해준다. 로봇이 직원들의 손을 대신했다. 음식도 맛있고 양도 많았다. 뉴저지 식당에서 느끼지 못했던 콩나물도 아삭아삭하고 양념도 느끼하지 않고 생선도 많이 들어있고 생선 자체 맛이 일품이었다. 4명이 먹고 많이 남았다. 내가 가지고 가기로 하고 식대를 계산하려고 하니 벌써 다른 친구가 내 버렸다. 커피숍에 갔는데 한 친구가 계산대 앞에 서 있으면서 맛있는 빵을 골라오라고 손짓한다. 맛있는 커피를 마시면서 담소하다가 한 친구가 일터로 가야 하는 시간이었다. 우리 셋은 발 마사지하는 곳으로 향했다. 1시간 발 마사지를 해주는데 어머 좋은 것. 장딴지부터 발가락 하나하나 문지르는데 피로가 확 풀리고 발이 보드랍다. 꺼칠꺼칠했던 발바닥이 어린아이 살결처럼 부드러워졌다. 움츠리고 일어나 기분 좋게 계산대로 다가갔는데 다른 친구가 벌써 계산을 해버렸다. 온종일 즐기면서 한 푼도 내지 않아서 먹먹했다.   신세 지기 싫다. 빚지고 사는 일은 불편하다. 받았으면 돌려줘야 한다. 어려서부터 그랬다. 주는 건 어렵지 않은데 잘 받는 게 어려웠다. 겉으로 티 내지 않아도 이런 마음을 갖고 살았다. 나는 언제나 갚아야 할 일들이 남아있는 사람처럼 살았다. 그래서 무엇이든 공짜로 받으면 불편했다. 공짜여도 눈에 보이지 않는 가격표가 붙어있는 것 같다고 할까. 갚아야 하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면 작은 호의가 호의로 다가오지 않는다. 친구 눈에는 그 모습이 보였던 것 같다. 티가 났느냐고 물어봤더니 다른 친구는 이렇게 말했다. 괜찮아 어차피 하루 이틀 볼 것도 아니고 이번에 못 내면 다음에 내면 되지 뭐.   지금의 세상은 호의 대신 편의를 요구한다. 의도나 숨겨진 목적 없는 호의 대신 목적이 선명한 편의를 제공하게끔 변해가고 있다. 세상살이가 각박할수록 더 그럴 것이다. 마음에 여유가 없다면 호의를 받아들이기 어렵다. 불분명한 목적은 마음을 의심하게 한다. 그렇지만 호의를 받아들이기 위해 여유를 가지라는 조언은 가당치 않다. 그게 생각한 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니까. 여유를 가지기란 어렵지만 사안을 바라보는 관점은 바꿔볼 수 있다. 받았다는 사실보다 친절한 마음씨에서 시작되었다는 의도를 기억해 보는 건 가능하다. 중요한 건 친절에서 비롯한 마음이다.   나는 그래서 마음의 출발지만 기억하기로 했다. 일생은 길고 유별나게 굴 필요는 없다. 딱 맞게 떨어지는 관계는 없다. 더 줄 때도 있고 덜 받을 때도 있는 법이다. 주고받는 과정에 익숙해지면 그냥 그 자체로 좋지 않을까. 돌려줄 마음이 빈한해 옹색한 모양새가 부끄러울지라도 가까이 받아들이기를 선택한다.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면 좋은 사람이 되어야 했다. 나는 갚는 일이 싫어서 받아들이지도 못했지만 이제는 오고감에 익숙해져야 한다. 무뎌져 익숙할수록 더 많이 생각해야 한다. 시간은 관계에서 의미 있던 순간들도 희미하게 만드니까. 다음에 친구들을 만나면 꼭 밥을 사야겠다. 헤어지면서 작년에 아카시아 꽃을 넣어 만든 와인을 한 병씩 주면서 무슨 향인지 알아맞혀 보라고 넌지시 숙제를 주었다. 양주희 / 수필가삶의 뜨락에서 신세 멋쟁이 친구 호의가 호의로 신세 지기

2025-03-05

사별한 45년 지기 소설로 기려

연규호 작가가 고 유순희씨(1945~2019)와 나눈 45년 우정을 담은 자전적 소설 ‘잊혀진 명작(도서출판 도훈·큰 사진)’을 최근 출간했다.   연 작가가 대광고등학교, 연세대학교 동창인 고인과의 추억을 기반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나눈 우정에 픽션을 가미한 책이다.   경남 삼천포(현 사천) 출신인 고 유순희씨는 연세대 행정학과에 다니던 1965년 생활고로 휴학하고 군에 입대, 맹호 부대에 자원해 베트남에서 복무했다. 제대 후 베트남에서 인연을 맺은 미군 친구의 도움으로 남가주에 온 유씨는 공장을 다니며 버뱅크의 우드버리 대학을 졸업, LA에서 국제자동차를 설립하고 2003년엔 라하브라에 리맥스 아메리칸 드림이란 부동산 회사를 만드는 등 사업적 성공을 거뒀다.   의사가 된 연 작가는 군의관 복무를 마치고 미국에 와 내과의가 됐다. 한동안 유씨와 연락이 닿지 않던 연 작가는 오하이오 주의 한 도서관에서 한인 신문 광고를 보다가 LA 국제자동차 대표가 된 친구의 이름을 발견했다. 곧바로 유씨와 통화한 연 작가는 이후 가든그로브에 정착해 유씨와 어바인 베델교회에서 성가, 전도 봉사를 함께하는 등 우정을 이어갔다.   62세에 심장 관상동맥 수술을 받고 은퇴한 유씨는 70세가 된 2015년 연세대 행정학과에 50년 만에 복학했다. 〈본지 2017년 7월 21일 OC면〉 연세대의 유명 인사가 된 유씨는 2018년 꿈에 그리던 학사모를 썼다. 유씨는 졸업 3년 뒤 한국에 있던 중 심장병으로 타계, 현충원에 잠들었다.   연 작가는 “내 한쪽 팔과도 같았던 순희가 연세대 복학 후 손으로 쓴 760쪽 분량의 자서전 자료를 내게 줬다. 이를 바탕으로 순희와 나눈 우정과 삶을 4년 넘게 소설로 엮었다. 많은 부분에서 다른 이에게 귀감이 됐던 친구의 이야기를 남기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잊혀진 명작에서 고 유순희씨는 손현철, 연 작가는 강석호란 인물로 등장한다.   연세대 18대 총장을 지낸 김용학 교수는 잊혀진 명작에 대해 “단순한 소설이 아니라 인생의 굴곡진 여정과 끈끈한 우정의 결실”이라며 “작고한 친구가 남기고 간 소중한 기억들이 연 작가의 절절한 그리움을 통해 자전적 소설로 세상에 드러난 것”이라고 평했다.   은퇴 후 창작 활동에 매진하며 다수의 장, 단편 소설을 출간한 연 작가는 미주소설가협회 회장을 지냈으며 미주한국문학아카데미, 펜 USA,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잊혀진 명작은 한국의 교보문고 등에서 판매 중이다. 국내 구입 문의는 연 작가(714-887-4213)에게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사별 지기 미주소설가협회 회장 자전적 소설 단편 소설

2024-06-27

[우리말 바루기] ‘초승달’, ‘초생달’

‘초승달은 잰 며느리가 본다’는 속담이 있다. 초승달은 떴다가 금방 지기 때문에 부지런한 며느리만이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슬기롭고 민첩한 사람만이 미세한 것을 살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초승달’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루부터 며칠 동안 뜨는 달을 가리키는 낱말이다. 그런데 ‘초승달’을 ‘초생달’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적지 않다.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어찌 보면 그달의 시작 지점에서 생기는 달이므로 ‘초생(初生)+달(月)’의 구조로 ‘초생달’ 표기가 맞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초승달’이 맞는 말이다. 여기에서 ‘초승’은 음력으로 그달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 동안을 뜻하는 말이다. ‘초승’은 ‘초생(初生)’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이처럼 ‘생(生)’이 다른 글자와 결합하는 경우 음이 ‘승’으로 바뀌고 바뀐 형태인 ‘승’으로 적을 때가 있다.   사극을 보면 “내 그대와 금생엔 인연이 아니었지만 저승에선 꼭 부부의 인연을 맺겠소” 등과 같은 대사가 나오기도 하는데, 여기에서 등장하는 ‘금생’과 ‘저승’이 이런 예다.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을 뜻하는 ‘금생(今生)’에선 ‘생’으로 쓰이지만,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사는 세상을 의미하는 ‘저승’의 경우 바뀐 음인 ‘승’으로 사용된다. 우리말 바루기 초승달 초생달 그달 초하루 시작 지점 지기 때문

2023-04-17

[우리말 바루기] ‘초승달’, ‘초생달’

‘초승달은 잰 며느리가 본다’는 속담이 있다. 초승달은 떴다가 금방 지기 때문에 부지런한 며느리만이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슬기롭고 민첩한 사람만이 미세한 것을 살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초승달’은 음력으로 매월 초하루부터 며칠 동안 뜨는 달을 가리키는 낱말이다. 그런데 ‘초승달’을 ‘초생달’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적지 않다.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어찌 보면 그달의 시작 지점에서 생기는 달이므로 ‘초생(初生)+달(月)’의 구조로 ‘초생달’ 표기가 맞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초승달’이 맞는 말이다. 여기에서 ‘초승’은 음력으로 그달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 동안을 뜻하는 말이다. ‘초승’은 ‘초생(初生)’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이처럼 ‘생(生)’이 다른 글자와 결합하는 경우 음이 ‘승’으로 바뀌고 바뀐 형태인 ‘승’으로 적을 때가 있다.   사극을 보면 “내 그대와 금생엔 인연이 아니었지만 저승에선 꼭 부부의 인연을 맺겠소” 등과 같은 대사가 나오기도 하는데, 여기에서 등장하는 ‘금생’과 ‘저승’이 이런 예다. 지금 살고 있는 세상을 뜻하는 ‘금생(今生)’에선 ‘생’으로 쓰이지만,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사는 세상을 의미하는 ‘저승’의 경우 바뀐 음인 ‘승’으로 사용된다.우리말 바루기 초승달 초생달 그달 초하루 시작 지점 지기 때문

2022-11-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