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취재 수첩] 이민 교회는 목회의 '종착지'가 될 수 없나

목회자 ‘청빙’인가, 소위 세상에서 말하는 ‘영입’인가.   토렌스 조은교회 김우준(48) 목사가 한국 분당의 지구촌교회 4대 담임목사로 확정돼 이민 교계를 떠난다. 부임한 지 약 8년 만이다. 관련기사 토렌스 조은교회 김우준 목사, 한국 ‘지구촌교회’ 4대 담임 사실 이민 교계에는 경사다. 무려 교인 수만 3만여 명인 영향력 있는 대형 교회가 미주 지역의 한인 목사를 스카우트했으니, 이민 교계가 더 이상 변방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한 것 아닌가.   정작 당사자인 김 목사는 내심 난처한가 보다. 기사를 작성하면서 간단한 소감이라도 한 줄 넣으려고 인터뷰를 요청했는데, 교회 관계자로부터 “교인들이 이별을 앞두고 슬퍼하는 상황”이라면서 거절 의사를 전해 들었다.   이유를 알아보니 김 목사는 청빙이 확정되기 일주일 전(4월 13일)이 되어서야 교인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공지했다. 해당 교회 교인들이 느꼈을 당혹감은 교계에 만연한 ‘게릴라식 청빙’의 단면을 보여주는듯 하다.   청빙이란 단어 자체가 ‘부탁하여 부른다’의 뜻을 담고 있는데, 실제로는 그 의미가 무색하다. 물밑에서는 당사자 간의 합의를 어느 정도 끝내 놓고, 그제야 외형상 형식적인 절차를 밟는다.   지구촌교회는 ‘하나님의 뜻에 따른 목자’를 세우겠다는 원칙에 따라 성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차례 간담회까지 가지며 청빙을 진행했다는데, 정작 부탁을 해야 할 상대 교회에는 그러한 절차를 밟지 않은 게 분명해 보인다. 차라리 청빙 대신 영입이란 단어가 더 적합하다.   이민 교계에서 ‘뜬다’ 싶으면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의 중·대형 교회에서 러브콜을 받는 목회자가 많다. 이러한 추세는 최근 10여 년 사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오정현, 김승욱, 이문장, 홍민기, 진재혁, 손병렬, 림형천, 유진소 등 한국행을 택한 이민 교계 목회자들이 한동안 줄을 이었다. 심지어 김우준 목사가 자리를 옮기게 될 지구촌교회의 경우 전임자인 최성은 목사 역시 워싱턴주 타코마제일침례교회 담임이었다. 이중언어와 다문화에 익숙할 것이라는 기대 심리,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길 원하는 한국 교계의 필요가 빚어낸 현상이다. 이러한 추세가 가속화된다면 한인 이민 교계는 자칫 목회자를 키워내는 ‘인큐베이터’ 역할로 국한될 우려가 있다.     현재 이민 교계의 토양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 언어와 문화적으로 교인 간 세대가 극명하게 나뉘고 있고, 이민 교회라는 특수성, 역할 등은 다문화 배경 속에서 서서히 그 성질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수많은 이민 교회들이 문을 닫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한인 이민 교회 사역에 특화된 1.5세 또는 2세 목회자의 양성, 역할, 중요성 등이 커지는 시대다. 이런 상황에서 두각을 나타낼 만하면 한국 교계로 진출하니, 이민 교계는 마치 ‘상향 이동’을 위한 발판이 되어버린 듯하다.   물론 목회자마다 또는 교회마다 처한 환경이 각기 다르다. 목회자들의 한국행도 하나의 잣대로 부정적으로만 바라볼 수는 없다.   단, 한인 이민 교계는 거쳐 가는 곳이 아닌, 목회의 종착지가 될 수는 없는가. 떠나는 목회자가 한국 교계를 향해 갖는 비전과 달리, 남겨진 ‘현실’은 이민 교회가 짊어져야 할 씁쓸한 몫이다. 강한길 기자취재 수첩 종착지가 이민 이민 교계가 한인 이민 조은교회 김우준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청빙

2025-04-22

[독자 마당] 90 고개를 넘으면서

요즘 연령에 따른 시간 변화의 느낌을 자동차 속도에 비교하기도 한다. 세월이 60대는 60마일, 70대는 70마일, 80대는 80마일, 90대는 90마일로 달린다며 삶의 종착지가 다가옴을 아쉬워한다.     2024년 갑진년 푸른 용의 해가 시작된 시점에 희망의 날개를 펼 준비를 해 본다. 올해가 마지막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거창한 결심은 접어두고 남들에겐 대수롭지 않게 보이겠지만 내게는 중요한 결심을 해보려 한다.     요즘은 백세시대라 죽음은 다른 사람의 문제지 나와는 무관한 일이라 착각하고 살았다. 하지만 삶과 죽음은 결국 분리될 수 없는 것. 나는 30여년 전 사랑하는 남편의 죽음을 겪으며 영원한 것은 없다는 것을 배웠다. 배우자의 죽음을 통해 삶의 매 순간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죽음의 확실성도 알았다.   인생의 종착지에 다가가는 시점에 ‘웰다잉(Well Dying)’ 연습을 빼놓을 순 없다. 인생의 즐거움은 죽음을 아는 순간부터 더욱 절실해지며 삶을 사랑한다면 그만큼 죽음에 대해서도 잘 준비해야 한다. 결코 삶은 무한하지 않으니 말이다.   나는 지금까지 자기중심적 삶을 살았다. 이젠 소유와 자기만족에 매달렸던 삶을 내려놓고 교만의 착각도 버려야겠다. 이웃과 나누며 함께함이 행복하다는 지혜도 터득했다. 앞으론 작은 일에도 감사하면서 남을 원망하기 전 용서하고 하루하루를 사랑하면서 남을 배려하고 나누는 삶을 살아야겠다. 이것이야말로 죽음을 잘 준비하는 자세가 아닌가 싶다. 옛 성인들은 이 세상 떠날 때 모든 번민을 훌훌 벗어버리고 홀가분한 기분으로 떠났다니 얼마나 행복할까 싶다.     하지만 괴테가 파우스트를 완성한 것은 80세가 넘어서였다고 한다. 나도 열정과 의욕까지 잊어선 안 되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인생에서 늦은 때란 없다’고 하니…. 임순·LA독자 마당 고개 종착지가 다가옴 자동차 속도 시간 변화

2024-01-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