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안정성·재계약률 높은 조달 사업 도전해야"

경기 둔화에 상호관세 여파가 겹치며 LA경제 침체 우려가 나온 가운데 정부 조달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아태계 커뮤니티의 다양한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비영리단체 PACE(Pacific Asian Consortium in Employment)에 따르면 연방정부 조달 시장 규모는 지난 2022년 기준 6조1300억 달러다.     시장 규모가 크지만 한인 기업 참여율은 0.2%로 낮다.       정다애(사진) PACE 조달지원 프로그램 디렉터는 “LA시가 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을 위해 지난해 10월 프로큐어LA  프로그램을 론칭했다”며 “정부 조달 사업은 항상 예산이 있어 안정적이고 장기 계약에 재계약 기회도 높다”고 조언했다.     정부 조달 사업 단계는 ▶시장조사 ▶주요 인증 프로그램 및 혜택 이해 ▶회사 프로필 준비 ▶입찰 공공 제안서 제출 및 평가 ▶공급 계약 이행 순으로 진행된다.     정 디렉터는 “적합한 기관과 부서 파악, 경쟁업체 분석을 하는 시장 조사가 정말 중요하다”며 “정부기관 부서가 어떤 일을 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내 제품과 서비스가 어디서 필요한지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등록 절차는 연방, 주 정부, 시 등 정부별 벤더 포털 사이트에서 회사 등록 및 자격 인증을 하면 된다.     정 디렉터는 “특히 중소기업 인증을 통해 연방 및 주 정부 조달 기회에 우선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며 “같은 조건의 입찰에서도 인증받은 기업에는 여러 가지 혜택이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 프로필을 준비해 입찰 공고 마감일에 맞춰 제출하면 타임라인을 알려준다. 입찰 결과 발표 후 경쟁 업체들의 입찰액 등을 투명하게 밝혀 입찰에서 탈락해도 어필할 수 있다.     정 디렉터는 “정부 조달 사업 입찰은 연방정부, 주 정부, 시 정부 모두 등록하기는 힘들고 기다리는 시간도 길다”며 “제품과 서비스 물량, 배달 가능 지역 등을 고려해 회사에 맞는 시나 카운티를 공략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다.     또 “계약 완전 이행 후 30~90일 내 대금을 받기 때문에 기존 사업에 별도로 정부 조달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며 “처음으로 정부조달 사업에 참여하는 소규모 기업은 프라임 벤더에서 간접 조달 업체로 시작하는 것도 좋다”고 덧붙였다.     내년부터 LA에서 대형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행사가 연이어 개최되면서 이 부문 조달 사업에 대한 한인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주요 대형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행사는 ▶2026년 2월 15일 NBA 올스타전 ▶2026년 6월 1일, 12일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과 FIFA 월드컵 ▶2027년 2월 수퍼보울  ▶2028년 7월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 등이다.     정 디렉터는  “정부 조달 사업과 다르게 프라임 벤더를 먼저 선정하고 간접 조달 업체가 일하는 경우가 많다”며 “캐더링 및 이벤트 기획 등 한인 기업이 참여할 기회가 많다”고 밝혔다.     그는 “PACE에 정부조달 관련 전문 정보가 많고 무료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정부조달 사업을 원하는 한인 기업의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캐런 배스 LA시장이 경제 및 고용개발국(EWDD)과 협력해 출범한 프로큐어LA(ProcureLA) 프로그램은 소규모 사업체의 성공적인 계약 체결을 지원하는 무료 서비스로 PACE에서 운영한다. LA시 정부 조달 사업 관련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ProcureLA.com)에서 찾을 수 있다. 이은영 기자재계약률 안정성 연방정부 조달 pace 조달지원 정부별 벤더

2025-04-10

"시정부 대상 비즈니스에 도전하세요"…LA상의 '밋더시티' 개최

LA지역 한인 소상공인들과 LA시 정부 간 비즈니스 가교를 위해 LA한인상공회의소(회장 김봉현, 이하 LA상의)가 시정부 조달 부서들과 함께 밋더시티(Meet the City) 행사를 연다.   LA상의 측은 이번 행사로 시청 및 시 정부 대상 사업을 모색하는 한인 소상공인들에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사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행사에 참여하는 시청 조달 부서는 계약인증 관할부서, 조달 절차 관리부서, 공공사업부, 공항 관할 부서 등이다.     밋더시티는 이들과 참석자들의 만남을 주선하고 절차 및 서류 준비 등 정보 전달과 컨설팅, 계약 성사 기회도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참석자들은 판매 제품 관련 각 부서 담당자와 일대일 맞춤형 상담 시간도 제공된다.   LA상의 측은 “단순한 정보 공유 및 만남의 기회뿐만 아니라 시 정부 관계자와 팔로우업, 비즈니스 상담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승호 밋더시티 준비위원장은 “시청에 볼펜 하나를 팔려고 해도 시 조달 부서를 거쳐야 한다”며 “이번 행사로 다양한 분야의 한인 상공인이 시를 상대로 비즈니스 판로를 개척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행사는 내달 8일 오전 9시부터 11시 30분까지 LA시청(200 N Spring St.) 톰브래들리홀에서 진행된다. 한인 소상공인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단, 참석인원은 약 100명으로 제한됐기 때문에 사전 등록은 필수다. 신청 시 제공할 서비스 물품 정보도 함께 등록하면 LA상의 측에서 가장 적합한 부서 관계자를 매칭할 예정이다.   주차는 LA시청 주차장에서 무료로 할 수 있다. 등록 후 참석자에게 전달되는 플라이어를 주차장 입구에서 제시하면 된다.   김봉현 회장은 “LA지역 한인 경제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행사가 될 것”이라며 “한인 상공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문의: (213)480-1115, [email protected] 우훈식 기자비즈니스 시정부 비즈니스 상담 시정부 조달 비즈니스 판로

2023-10-25

르피에드둔산PFV, 5200억원 PF 조달 마무리…‘르피에드’ 조성

 대전 둔산동 홈플러스 부지 개발을 위한 52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조달이 완료돼 관련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르피에드둔산PFV는 NH투자증권 외 8개 기관이 총 5200억원 가량의 대규모 자금을 출자했다고 밝혔다. 특히 5200억원의 PF는 올해 신규 사업장 중 최대 규모로 알려졌으며, 7월 이후에는 1000억원 이상의 PF도 전무한 상황이라고 관계자가 전했다.   대전 최고 입지에 들어서 사업성이 우수하고, ‘르피에드(LE PIED)’ 브랜드를 내건 상품으로 나와 ‘성공 분양’이 예고돼 유동성 위기에도 수천억원의 자금 마련이 가능했다는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르피에드둔산PFV 관계자는 “금융시장이 완전히 경색되면서 PF가 올스톱 된 가운데 둔산동 홈플러스 사업 부지 개발 PF조달이 성공했다는 것은 입지부터 상품성까지 면밀히 점검한 결과 사업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입증된 것”이라며 “즉 시장 위기와 무관하게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은 곳은 투자금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의미 있는 사례”라고 말했다.   이번 PF가 성사되면서 대전 둔산동 홈플러스 부지는 연면적 약 25만㎡, 지하 8층~지상 47층, 전용면적 119·169㎡, 총 832실 규모의 최고급 주거형 오피스텔로 탈바꿈한다. 시공은 대우건설이 맡았고, 분양은 내년 상반기 계획중이다.   특히 이번 PF 성공의 핵심 요인인 둔산동에 자리한 입지가 단연 돋보인다. 둔산동은 대전을 대표하는 부촌이자 선망의 지역으로 전문직, 고위 공무원, 교수 등이 다수 거주하며 탄탄한 네트워크를 형성한 곳이다. 특히 홈플러스 둔산점 부지는 둔산동에서도 최고의 부지로 손꼽힌다.   또한 한밭초를 비롯해 초·중·고 명문학군이 밀집한 둔산1동에 속하며, 스타강사와 유명 입시학원이 몰린 둔산동 학원가도 가깝다. 교통부터 공원, 편의시설 등 주택시장에서 강조되는 핵심 인프라가 모두 인접한 점도 강점이다.   반면 최근 15년 동안 50가구 이상의 제대로 된 주택 공급이 없었으며, 재건축도 최소 10년 이상의 긴 기간이 소요되고, 사업성과 이해관계에 따른 변수가 많아 당장 공급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둔산동이라는 지역 수준에 걸맞은 주거상품에 대한 수요가 탄탄한 곳이다.   동시에 르피에드 브랜드에 걸맞은 독보적 설계가 적용돼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진정한 랜드마크가 들어설 예정이다. 르피에드는 고소득 가구가 증가하는 시장 상황을 반영한 최고급 주거상품 브랜드로 알려져 있다. 서울 송파구 문정동, 서초구 서초동 등 주거 선호도가 높은 곳에서 연이어 성공적으로 공급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고, 청담동 프리마호텔 부지에서도 공급이 계획되어 있다.   랜드마크에 걸맞은 상품성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47층의 둔산권역 최고 높이라는 상징성과 정부대전청사 등 일대를 오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선호도 높은 중대형 평면으로 설계돼 여유로운 생활이 가능하고, 1천평 이상의 커뮤니티에 대규모 판매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라 단지 내에서 ‘원스톱’ 생활 편의를 즐길 수 있다.   르피에드둔산PFV 관계자는 “서울, 부산의 경우 각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주거 시설이 있지만, 대전의 경우 바로 떠오르는 상징적인 단지가 없었다”라며 “르피에드둔산을 지역에서 전에 없던 독보적 상품성으로 공급해 대전과 충청권을 넘어 전국에서 각인될 수 있는 진정한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마무리 조달 대전 둔산동 둔산동 학원가 자금 조달

2022-11-29

"소액 거래부터 시작 신뢰감 쌓아야"…공공조달시장 웨비나

“연방 정부 구매관의 크레딧 카드부터 공략하라.”   25일 LA 총영사관과 아·태계 비영리단체인 PACE가 공동 개최한 ‘미 공공조달시장 진출을 위한 온라인 세미나’의 마지막 세번째 강연에서 정부조달협회(KoBE)의 매튜 이 회장은 계약 수주 노하우를 공개했다.     그는 “연방 정부의 각 부처도 크레딧 카드를 사용하는데 전체 구매액의 70%가 여기서 나온다”며 “구매관이 직권으로 쓸 수 있는 한도는 3000달러 미만이고 국방부는 1만 달러 미만”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 본인도 32년 전 처음 조달사업을 시작하며 법무부에 프린터 케이블 100달러 정도를 납품하고 카드로 결제를 받았다. 그는 “구매관과 서로 부담 없이 첫 거래를 트는데 좋은 방법으로 여기서 시작해 나중에는 300만~400만 달러 계약을 맺었다”며 “절차를 간소화한 25만 달러 미만 구매(Simplified Acquisition Threshold)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구매관은 직접 소개 받는게 가장 좋지만 불가능하면 해당 기관의 웹사이트 등에서 중소·소외기업담당실(Office of Small and Disadvantaged Business)을 찾으면 된다.     그렇다고 모든 부처를 목표로 하는 것은 무리이고 계약 수주 실현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3개 정도로 축약해서 도전하는 것이 좋다. 그는 “각 부처마다 매년 정해진 소수계 및 소외계층 기업의 구매 할당량이 있기 때문에 구매관들도 적격 파트너를 찾는데 열심이다”며 “기업 정보와 과거 실적 등을 1~2페이지로 압축적으로 담은 회사 소개서(Capability Statement)는 미리 준비해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회장은 “공무원에는 25달러 이상 식사나 선물 제공이 금지된다”며 “그렇다고 위축될 필요는 없고 그들의 오픈 마인드와 수용력을 믿고 질문하고 정보도 달라고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달시장에 등록은 조달청(GSA)의 다수공급자계약제도인 MAS(Multiple Award Schedule)와 연방정부 조달 통합관리시스템 벤더 등록 툴인 SAM(System for Award Management) 등이 기본이다. 구매관과 조달기업이 모이는 마켓플레이스로 부처별 구매관들이 게시하는 정보 요구(RFI: Request for information) 노티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업도 회신할 수 있는데 성격이 맞다면 본인 회사의 매력을 어필해서 실제 계약으로 발전시킬 수도 있다.   이 회장은 “조달 사업을 하는 한인 사업가들의 궁극의 목표는 중소기업청(SBA)의 ‘8(a)’ 인증 획득”이라며 “소수계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으로 독점계약 최대 450만 달러, 의류 등 제조업은 700만 달러까지 한번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류정일 기자공공조달시장 신뢰감 공공조달시장 진출 정부 구매관 연방정부 조달

2022-05-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