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최대 200만 달러, 30년 상환”…산불 피해자 재난지원 대출

지난 1월 LA지역 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이재민과 사업체는 정부가 제공하는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현재 연방 재난관리청(FEMA)과 중소기업청(SBA)은 퍼시픽 팰리세이즈와 알타데나 지역 산불 피해를 본 주택 소유주, 소상공인, 세입자 등을 대상으로 ‘경제피해 재난대출(Economic Injury Disaster Loan, 이하 EIDL)’ 신청을 받고 있다.     SBA에 따르면 EIDL은 자연재해나 비상사태로 인해 경제적 피해를 본 주민과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대출 프로그램이다.     우선 세입자는 최대 10만 달러, 주택 소유주 최대 50만 달러까지 2.5%대 낮은 이자율로 최대 30년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대출 이자 및 원금 상환은 지원금 대출 후 1년 뒤부터 하면 된다.     소상공인은 최대 200만 달러까지 4% 이자율에 최대 30년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소상공인은 해당 대출금을 부채 상환, 직원 급여, 미지급금, 재해로 인한 소득감소 충당 등에 사용하면 된다.   신청 희망자는 먼저 FEMA 웹사이트(www.fema.gov/disaster/4856)에서 캘리포니아 산불피해 지원 내용을 숙지한 뒤, SBA 웹사이트(sba.gov/disaster)와 재난구호 웹사이트(disasterassistance.gov)에서 신청하면 된다. 전화 문의(SBA: 800-659-2955, FEMA: 800-621-3362)도 가능하다. SBA 측은 대출 신청자 일대일 상담 등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EIDL 신청시 주의 사항 숙지도 중요하다. 신청자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해 거주지 주소를 입력하고 재난구호 지원금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연방정부는 FEMA 재난구호 지원금과 EIDL 허위 신청 등 사기 행각에 대해서는 강력한 처벌 방침을 밝혔다. 연방 검찰은 사기범은 최고 30년 징역형이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한인 업체는 과장 광고로 고객을 유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요구된다. 한 한인은 “EIDL을 신청하면 200만 달러까지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전단을 봤다”면서 “산불피해를 보지 않은 사업주도 혹할 내용이지만 각종 개인정보를 요구해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업체에 전화로 EIDL 신청 가능 여부를 문의하자 해당 업체 관계자는 “알아본 뒤 연락하겠다”며 답변을 피했다.   켈리 장 변호사는 “EIDL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재난사태 등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대출 프로그램”이라며 “대출 자격이 안 되는데 신청을 부추기는 제안은 항상 ‘사기’를 염두에 둬야 한다. 신청자의 민감한 개인정보와 사업체 정보가 유출되면 자칫 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형재 기자재난지원 사업주 대출 신청자 경제피해 재난대출 지원금 대출

2025-03-27

코로나19 후유증 겪는 경제…재난대출 자금 바닥

경제 전반에 ‘코로나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 타격은 여전하지만 가계나 소기업에 지원되는 연방정부 자금이 줄었고, 금리가 오르면서 빚 부담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주가도 연일 하락해 조금이라도 자금을 불려보려 투자했던 이들의 불안감도 커졌다.     9일 연방 중소기업청(SBA)에 따르면, SBA는 지난 6일부터 코로나19 경제피해재난자금대출(EIDL) 증액 요청이나 이전에 거부된 대출 재고요청을 더이상 처리하지 않겠다고 공지했다. SBA는 신청자들에게 별도 이메일을 보내 “프로그램의 자금이 모두 소진됐다”고 통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EIDL 포털은 오는 16일 폐쇄한다. 앞서 SBA는 올해 1월 1일부터 신규 EIDL 신청은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SBA는 팬데믹 사태로 피해가 큰 사업체들을 위해 EIDL 프로그램을 제공해 왔다. 작년엔 급여보호프로그램(PPP)이 만료되자 중소기업 지원이 필요하다며 프로그램을 확대했지만 결국 자금이 소진됐다. 팬데믹 이후 전국에선 390만건 이상(약 3784억 달러) EIDL 대출이 이뤄졌다. 뉴욕주에선 33만9354건(총 376억 달러·4월28일 기준) 대출이 발생해 전국서 두 번째로 대출을 많이 받았다.   식당회복기금(RRF) 등의 추가 지원도 불투명하다. 지난달 7일 연방하원은 총 550억 달러 규모의 식당 및 피해기업 구제법안(HR.3807)을 통과시켰지만 연방상원 통과 여부는 확신하기 어렵다.     비즈니스단체인 ‘독립레스토랑연합’은 “추가 지원이 없다면 식당이나 바의 절반이 향후 6개월 내에 폐업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팬데믹에 늘어난 빚도 부담이다. 뉴욕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카드대출 잔액은 8560억 달러로 3분기 연속 늘었고, 올해 1분기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뱅크레이트닷컴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올 평균 신용카드금리는 18%를 넘어서 부담이 커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금리인상에 주식시장 분위기도 부정적이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653.67포인트(1.99%) 하락했고, S&P 500 지수는 132.10포인트(3.20%) 떨어지며 4000포인트가 붕괴됐다. 올 들어 최저 수준이다.  김은별 기자재난대출 후유증 기준금리 인상 재난대출 자금 코로나 후유증

2022-05-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