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입시과정에서 꼭 필요한 재정보조 리서치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대학을 다니는데 드는 총비용이 매년 인상되고 있다. 주요 대학들의 재정보조 프로그램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     ▶답= 대부분 미국인들이 대학 교육의 중요성을 부인하진 않지만 천정부지로 치솟는 교육비용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한 가지 다행스러운 점은 많은 탑 대학들이 과거보다 더 강력한 재정보조 패키지를 자격을 갖춘 학생들에게 제공한다는 것이다.     JP 모건 애셋 매니지먼트 조사에 따르면 1983년 이후 대학 학비(tuition)는 매년 평균 5.6% 상승해왔다. 2024~2025학년도 현재 학비, 수수료, 룸&보드를 모두 포함해 미국 내 4년제 사립대를 다니는데 필요한 총비용은 연 평균 5만8600달러로 조사됐다. 4년제 공립대의 경우 연 평균 2만4920달러가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학 비용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대학들의 재정보조 프로그램은 페이스를 맞추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미국 가정은 대학 총비용의 평균 48% 정도를 부담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10년 전보다 부모가 부담하는 금액이 10%포인트 증가했다.   연방정부가 저소득층에게 주는 무상 학자금 보조인 펠그랜트(Pell Grant) 자격을 확대했지만 해마다 오르는 대학 비용 조달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매년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학부과정을 다니면서 큰 빚을 지게 되지 않을까 걱정한다. 이 와중에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대출금이 1조6000억달러에 달하는 연방정부 학생융자 포트폴리오를 연방교육부(DOE)에서 연방중소기업청(SBA) 으로 이관할 것이라고 발표해 교육계 및 학생들의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궁극적으로 DOE를 없앨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하버드대는 2025 년 가을학기부터 가구소득이 연 20만달러 이하 가정 출신 학생들의 학비를 면제해주며, 연 10만달러 이하는 학비, 수수료, 룸&보드까지 커버되는 풀라이드를 제공한다.     유펜도 2025년 가을학기부터 가구소득 연 20만달러 이하 학생의 학비를 면제해주며, 더 이상 거주하는 주택(primary residence)의 에퀴티(equity)를 재정보조 심사에 반영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스탠포드대의 경우 가구소득 15만달러 이하 학생은 학비를 한 푼도 내지 않아도 되며 10만달러 이하는 풀라이드 혜택을 받는다. MIT도 연 가구소득 20만달러 이하는 풀 투이션, 10만달러 이하는 풀라이드를 제공한다.    연 가구소득이 일정금액 이하면 풀 투이션 혜택을 주는 대학은 줄잡아 50여곳에 달한다. 어느 대학이 어떤 재정보조 혜택을 주는지 리서치를 하는 것도 입시 준비에서 꼭 필요한 과정이다.       ▶문의:(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  미국 입시과정 재정보조 프로그램 재정보조 혜택 재정보조 패키지

2025-04-25

명문대 입시에서 리더십 중요성 부각…책임감·피플 스킬·자신감 등 길러야

제대로 된 리더를 필요로 하는 시대다.     명문대 입시과정에서도 리더십의 중요성이 항상 부각된다. 어떤 활동을 하든 리더로서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면 엄청난 ‘플러스’ 가 되고, 학생 개인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     리더를 잘못 만나면 조직이 산으로 간다. 국가도 근간이 흔들린다.     무엇이 훌륭한 리더를 만들까? 좋은 리더가 되려면 그 덕목을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갈고 닦아야 한다. 학창시절을 통해 개발한 리더십이 사회의 리더를 키운다.     미래에 능력 있는 리더가 되기 위해 학생들은 어떤 캐릭터를 개발해야 할까?     첫째, 책임감이다. 리더로서 요구되는 가장 어려운 캐릭터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리더는 책임을 지는 자리다. 남들이 리더를 신뢰하고 의지할 수 있어야 한다. 임무가 있을 때 그것을 완수해야 한다. 무언가를 바꾸기 위해 주도권을 가지고 일을 실행에 옮겨야 하며, 만약 계획대로 일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강력히 변호해야 한다. 리더가 되고 싶다면, 업무를 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임의 부담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만약 상황이 악화되더라도 긍정적인 회복력을 가지고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둘째, 열심히 일하는 자세다. 열심히 일할 준비가 된 자만이 리더가 될 자격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본인 개인의 삶을 포기하거나 근무 시간을 늘리라는 뜻은 아니다.     ‘열심히 일한다’는 것은 ‘똑똑하게 일한다’는 뜻이다.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고 그것을 집중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다. 열심히 일한다고 해서 닥치는 모든 일에 대해 무조건 ‘예스’ 하라는 것은 아니다. 리더도 때로는 자기가 모르는 것이나 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만날 때가 있다. 상황 판단을 정확하게 하고 ‘예스’ 와 ‘노’를 분명히 해야 한다.     셋째, 사람을 상대하는 능력, 즉 ‘피플 스킬(people skills)’이다.     리더는 다른 사람들과 정기적으로 소통해야 한다. 그러므로 사람을 상대하는 능력이 최고 수준이어야 한다. 리더는 주위의 사람들이 인정받는다고 느끼도록 해야 한다.     또한 남들이 필요할 때 리더에게 와서 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주위의 사람들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도록, 그리고 리더로부터 영감을 얻고 힘을 얻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사람을 잘 상대할 수 있을까? 모든 사람은 다른 성격과 캐릭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에게서 똑같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리더는 한 사람, 한 사람이 각자의 개성을 살려서 빛날 수 있도록 공간을 줘야 한다. 그러면서도 이 각각의 타인이 리더를 필요로 할 때 이것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충분히 이들 곁에 가까이 있어야 한다.     이 미묘한 균형을 잘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균형을 잡기 위해 리더는 노력해야 하는데, 이것은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넷째, 자신감이다. 리더는 자신이 하는 모든 일에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결정을 내릴 때는 특히 그렇다. 자신감은 연습과 경험에서 온다.     사람들을 대할 때 먼저 어색함을 깨고 가까이 다가가는 연습을 하자. 좋은 첫인상을 주기 위해 유쾌한 농담을 하면서 사람들이 편안하게 느끼도록 하자. 개인적인 일화를 말하면서 남들이 나와 어떤 형태로든 친밀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내면의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타인을 만났을 때 쉽게 다가간다.     다섯째, 상황 대처 능력이다.     인생이 그렇듯이 리더 또한 언젠가는 전혀 기대하지 않은 상황을 만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당황스러운 순간에 탁월한 상황 대처 능력을 보인다면 그 사람은 좋은 리더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덕목을 고등학교와 대학교 시기를 통해 갈고 닦아야 한다. 상상력을 동원해서 여러 다른 상황을 가정해 보자. 그런 다음 각각의 문제에 직면할 때 어떤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자. 창의성이 번뜩인다면 평범한 군중 가운데 단연 돋보일 것이다. ‘난세에 영웅이 배출된다’는 말이 있다.     가장 어려운 시기에 참된 리더가 드러난다는 뜻이다.   ▶문의:(855)466-2783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명문대 리더십 리더십 중요성 명문대 입시과정 피플 스킬

2023-04-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