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관세로 뉴욕시 일자리 수만 개 감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뉴욕시 일자리 수만 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16일 브래드 랜더 뉴욕시 감사원장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는 관세로 인한 심각한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아 올해 말까지 약 3만6000개의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있다.     랜더 감사원장은 “지난 2주 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불규칙한 관세 정책 결정이 글로벌 시장에 혼란을 가져왔다”며 “관세의 기간과 범위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가 예측 가능하다”고 밝혔다.     먼저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부터 보자면, 관세 협상이 즉각 시작돼 내년에 관세 부과가 완전히 취소될 경우, 뉴욕시의 일자리 증가율과 인플레이션은 올해 내내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이후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관세가 2026년까지 유지돼 ‘경미한 경기 침체’가 발생할 경우, 뉴욕시는 올해 4분기까지 일자리가 3만5700개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2026년과 2027년에는 고용 시장이 천천히 회복될 것으로 예측되며, 올해 말까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2024년 말보다 20%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2027년까지 관세가 유지되고 보복 관세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이 더해지면, 이보다 더 ‘심각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뉴욕시는 올해 4분기까지 10만2300개 일자리를 잃고, 올해 말까지 주식 시장 손실은 35%로 확대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 정책으로 인해 외국 출생 인력이 감소하면, 뉴욕시 경제에도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뉴욕시 노동력의 42%는 외국 출생 인력인데, 대량 추방으로 외국 출생 이민자들이 줄어들면 건설 및 요식업 등 업계에 심각한 노동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뉴욕시 감사원은 “2024~2025회계연도 말에 뉴욕시는 9억6600만 달러~11억5000만 달러를 예비비(rainy-day fund)로 책정해야 하고, 2025~2026회계연도 예산안에 예비비 10억 달러를 추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윤지혜 기자일자리 관세 뉴욕시 일자리 일자리 증가율 보복 관세로

2025-04-17

[브리프] 3월 고용 22만8천명 ‘깜짝 증가’

3월 고용 22만8천명 ‘깜짝 증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글로벌 무역전쟁을 격화시키고 경기침체 우려를 키우는 가운데 지난달 일자리는 양호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다만, 지난 1∼2월 일자리 증가 폭이 하향 조정됐고, 실업률이 2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노동시장 약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동부는 3월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2만8000명 증가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2월 대비 증가 폭이 크게 확대된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도 크게 웃돌았다.   지난 1월 고용 증가 폭은 11만1000명으로 1만4000명 하향 조정됐고, 2월 증가 폭은 11만7000명으로 3만4000명 하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1∼2월 하향 조정 폭은 종전 발표 대비 총 4만8000명에 달했다.   한편 3월 실업률은 4.2%로 2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고, 전문가 전망치(4.1%)도 웃돌았다.   실업률은 2개월 연속 올라 노동시장이 약화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스텔란티스, 공장 직원 900명 해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가 지난 3일 정식 발효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거센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다국적 완성차업체 스텔란티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을 일시 중단함에 따라 국내 5개 공장에서 900명의 근로자를 일시 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시 감원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직후 이뤄졌으며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제조업이 국내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해왔다고 FT는 짚었다.   크라이슬러, 지프, 램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는 관세 여파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 있는 조립 공장 가동을 2주간 중단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프 컴패스와 전기차 왜고니어 S를 생산하는 멕시코 톨루카의 조립 공장을 이달 말까지 폐쇄할 예정이다. 톨루카 공장에는 2400명의 시간제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브리프 고용 천명 고용 증가 고용 22만8천명 일자리 증가

2025-04-06

3월 고용 22만8000명 증가…트럼프 관세영향 아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전쟁을 격화하고 있지만, 지난달 미국의 고용시장은 아직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 다만 지난 1~2월 일자리 증가 폭은 하향 조정됐으며, 실업률은 2개월 연속 오르면서 노동시장 약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동부는 3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2만8000명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 2월(11만 7000명) 대비 증가 폭이 크게 확대된 데다, 다우존스 전문가 전망치(14만명)도 크게 웃돌았다.     지난 1월 고용 증가 폭은 11만1000명으로 1만4000명 하향 조정됐고, 2월 증가 폭은 11만7000명으로 3만4000명 하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1∼2월 하향 조정 폭은 종전 발표 대비 총 4만8000명에 달했다. 의료(5만4000명), 사회지원(2만4000명), 운수·창고(2만3000명) 부문이 3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2월(-1만1000명)에 이어 3월 들어서도 4000명 줄었다.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하는 공공영역 인력 구조조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3% 올라 시장 전망에 부합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이 3.8%로, 시장 전망(3.9%)에 다소 못 미쳤다.   이처럼 경기침체 우려에도 일자리는 양호한 모습이었지만, 3월 실업률은 4.2%로 2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고, 전문가 전망치(4.1%)도 웃돌았다.   실업률은 1월 4.0%에서 2월 4.1%, 3월 4.2%로 2개월 연속 올라 노동시장이 약화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지 이틀째인 이날도 다우지수는 연이어 폭락 장세를 보였다. 물가가 급등할 뿐 아니라 전 세계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장중 2000포인트 급락해 낙폭이 장중 5%대까지 확대됐다. 국제유가도 이틀째 급락 흐름을 이어갔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는 배럴당 61.99달러로 전장 대비 7.4% 급락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관세영향 트럼프 고용 증가 일자리 증가 트럼프 대통령

2025-04-06

60여개 일자리 한눈에…17일 UCLA서 취업 박람회

LA총영사관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LA무역관과 함께 오는 17일 UCLA에서 취업박람회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캘리포니아한국기업협회와 협업해 마련한 이 취업박람회에서는 19개 구인처에서 제공하는 60여개의 일자리를 소개할 예정이다. 채용 분야는 정보기술(IT)·소프트웨어, 물류, 제조업, 유통업 등으로 다양하다.   LA총영사관은 기존 구직자들의 주요 애로사항이었던 체류 비자 문제를 해결하고자 채용 시 비자 지원을 고려할 의향이 있는 구인처를 집중적으로 발굴했다고 설명했다. 또 기업별로 배정된 부스 내에서 일대일 상담을 통해 기업의 채용 목적과 해당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했으며, 이민법 전문 변호사를 초빙해 취업비자와 관련한 법률 상담을 받을 기회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취업박람회에 참가한 구직자들은 향후 총영사관 및 KOTRA에서 개최하는 취업 관련 행사에도 우선으로 초대받게 된다.     김영완 LA총영사는 “남가주는 서부의 물류·바이오헬스 허브이자 큰 규모의 한인사회가 형성돼 있어 청년들에게 많은 기회가 열려 있다”며 “취업을 희망하는 한인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소개하고, 기업들은 우수한 한인 청년들을 고용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여를 원하는 구직자는 QR코드와 온라인 페이지(tinyurl.com/kmove2025)를 통해 4월 7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김경준 기자 kim.kyeongjun1@koreadaily.com게시판 구직자 기존 구직자들 일자리 한눈 이번 취업박람회

2025-04-01

트럼프 “관세가 제조업 살린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보편 상호 관세 부과를 통해 제조업 일자리를 다시 되찾아오겠다고 공언했다. 미국의 만성적 무역 적자 배경에는 많은 기업이 미국 내 높은 인건비 부담으로 제조업 일자리를 해외로 이전했기 때문이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최근 40년 동안 외국에서 더 저렴한 인건비 등 생산단가를 낮출 목적으로 공급망 조정이 이뤄져 왔다.    캐나다 자동차제조사연합회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 제조에서 최종 조립까지 모두 8번의 수입 통관 절차가 이뤄진다. 그 결과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2024년 미국 무역적자는 2740억 달러에 이른다. 적자액의 절반 이상인 1170억달러는 멕시코에서, 500억달러는 일본에서, 430억달러는 한국에서 발생한다. 중국은 미국과의 자동차 무역을 통해 9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캐나다도 20억 달러가 넘는다. 작년 미국 무역 적자는 1조2000억 달러로,자동차 및 부품이 1/4에 이른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미국이 무역 적자를 줄이면 글로벌 경제 성장 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지만, 트럼프 행정부 생각은 그렇지 않다. 자유무역으로 저임금 국가에 생산을 외주화하면 상호 이익이 높아질 것 같지만, 정반대현상이 벌어졌다.    무역적자로 미국의 제조업 일자리가 급속히 해외로 일자리가 유출되면서 결국 미국 근로자의 손실로 귀결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전미자동차노동자연합(UAW)’ 등의 지지를 받았다. UAW는 최근 30년새 9만개 이상의 자동차 일자리가 사라졌다고 주장한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가 처음 시행된 1994년 멕시코의 연간 자동차 생산량은 110만 대에서 2024년 400만 대로 늘었다. 이중 80%가 미국으로 수출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며, 외국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다시 옮기거나 미국 내 생산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옥채 기자 kimokchae04@gmail.com미국 트럼프 제조업 일자리 트럼프 행정부 트럼프 대통령

2025-04-01

조지아 클린 에너지 일자리 8만여개

작년 8만2000개...전국 15위   재생에너지, 전기차(EV), 배터리 등 조지아주 클린 테크 분야의 지난해 일자리 수가 전국 15위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일자리가 5% 늘었다.   전국 청정에너지 상공회의소연합(CICE)이 지난달 발표한 일자리 보고서를 보면, 2024년 조지아주 클린 테크 분야 일자리는 8만 2163개다. 전년에 비해 3809개(4.9%) 일자리가 추가됐다. 전국 일자리는 총 350만개다.   산업별로 보면 에너지 효율 제고 분야에서 5만 8067명이 고용돼 일자리 수가 가장 많았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1만 1162개), 전기차(7821개), 전력망(4593개) 순으로 고용이 활발하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클린테크 일자리는 주내 최대 고용 규모를 자랑하는 델타항공의 두 배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주목할만한 투자를 발표한 회사로 보고서에서 꼽힌 5곳 중 2곳이 한국 회사다. 지난 9월 산업용 실란트 제조업체 신성유화가 중부 툼스 카운티에 1120만달러를 투자한 것과 2023년 12월 자동차 전기배선 생산업체인 경신아메리카(KAC)가 2200만달러를 투자한 것 등이다.   고용 창출 외에도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나오는 경제적 이익은 톡톡하다. 보고서는 조지아주 정부가 클린 테크 분야 기업에서 걷은 세금을 3670만달러로 추산했다. 크리스 클라크 조지아 상공회의소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지원 축소 위협 속에서도 청정산업 시장은 위축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클린테크 조지아 클린테크 일자리 분야 일자리 일자리 보고서

2025-03-18

BC주 "강하게 맞서자"… '역대 최대 109억 달러 적자 예산안' 발표

 BC주가 미국의 캐나다 수입품에 대한 관세 시행 당일인 4일, 역대 최대 규모인 109억 달러의 적자 예산을 편성했다. 이번 예산은 미국 관세의 타격을 최소화하고 핵심 공공서비스를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BC주 의회에서 발표된 2025년 예산안은 미국의 관세가 주(州) 경제에 미칠 영향에 직접 대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브렌다 베일리 BC주 재무장관이 주도한 이번 예산은 내년도 수입 840억 달러, 지출 949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BC주정부는 미국 관세가 주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네 가지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29년까지 약 4만5천개의 일자리가 감소하고,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430억 달러 손실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 1월 예측했던 12만4천개 일자리 감소, 690억 달러 GDP 손실보다는 개선된 수치다.       채무 대 GDP 비율은 현재 22.9%에서 2029년까지 34.4%로 상승할 전망이지만, 이는 퀘벡주(39.8%), 온타리오주(37.9%), 연방정부(41.7%)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BC주정부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3년간 총 120억 달러의 예비비도 확보했다.       BC주가 다른 주들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이유는 지난 25년간 미국 시장 의존도를 크게 줄였기 때문이다. 2000년 65% 이상이던 대미 수출 비중이 2024년에는 52.8%로 감소했다. 이는 앨버타주(88%), 온타리오주와 퀘벡주(평균 76.1%)보다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BC주 역시 취약한 부분이 존재한다. 특히 천연가스와 전기는 전량, 침엽수 목재는 74.8%를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 해당 산업은 큰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BC주 재무부는 관세가 발효될 경우 연간 17억 달러에서 34억 달러의 주정부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런 상황에서 BC주는 핵심 공공서비스를 지키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년간 99억 달러의 추가 운영 자금을 투입하며, 이 중 77억 달러는 보건, 교육, 사회 서비스 분야에 새롭게 투입된다.       특히 의료 서비스 개선에 42억 달러를 배정해 응급실 대기 시간을 줄이고, 더 많은 의료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앞으로 3년간 155억 달러를 투자해 써리 병원과 BC 암센터, 써리 메모리얼 시설, 장기 요양 시설 등을 건설하고 업그레이드한다.       BC주는 경제 다변화와 자립도 강화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459억 달러 규모의 자본 프로젝트를 통해 18만 개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하고, 200억 달러 규모의 주요 자연자원 프로젝트 절차를 간소화해 약 8천 개의 일자리를 지원할 방침이다.       베일리 장관은 이번 예산이 어려운 시기에 BC주민들의 건강, 행복, 안정을 최우선으로 지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 정세가 불안정하더라도 BC주는 더 안전하고 강한 지역사회, 세계적 수준의 교육 시스템,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다양화된 경제를 구축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에 누가 있든 상관없이 BC주는 이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 더 강한 경제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는 결연한 의지로 BC주 재무부는 예산 발표를 마무리했다. 밴쿠버 중앙일보미국 발표 이번 예산 핵심 공공서비스 일자리 감소

2025-03-04

한인 시니어 취업 장애물 ‘영어·체면·낮은 임금’

#. 은퇴를 앞둔 60대 한인 김모 씨는 퇴직 후에 할 수 있는 소일거리를 고민 중이다. 가장 먼저 마트 정리작업이 떠올랐지만, 아무래도 몸이 따라줄 지 자신이 없었고, 영어 의사소통 때문에 캐셔도 망설여졌다.   #. 롱아일랜드 제리코에 거주하는 60대 박모 씨는 이웃집 백인 할머니가 부럽다. 일주일에 세 번은 맨해튼 투자은행(IB) 리셉션으로 일하며 출퇴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씨는 "미국은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일하는 게 장점이라고 하는데, 막상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도 안 온다"며 "한국계·한인 기업에는 이력서를 냈지만 연락을 못 받았다"고 말했다.   고령화·고물가 영향으로 많은 한인 시니어가 은퇴 후 소일거리를 찾고 있지만, 마땅한 일자리를 구하긴 쉽지 않다. 시니어, 소기업 전문가들은 미국 내 아시안 커뮤니티, 특히 한인 커뮤니티에서 시니어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이유로 ▶영어구사능력 제한 ▶체면과 나이를 중시하는 특유의 문화 ▶최저임금 수준에 머문 시니어 일자리의 질 등을 꼽았다.   ◆뉴욕시 한인 시니어 5명 중 4명은 영어능력 제한=5일 센서스국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와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뉴욕시 한인 시니어 87.3%는 영어구사 능력이 제한적이었다. 아시안 시니어(72.1%)나 타민족 시니어(32.8%)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이다. 한인들이 팍팍한 이민 생활에 언어를 습득할 기회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고, 주류 사회와 접점을 찾기도 어려웠던 결과다. 주류사회 기업문화와 가깝지 않은 탓에, 이력서 작성과 온라인 인터뷰 등 취업 과정에 대한 이해도 낮은 편이다.   ◆"은퇴 후 마트직? 시선 부담돼"=특유의 문화도 시니어 취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앤드류 스타 아나 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 연구 및 정책부국장은 "아시안 특유의 문화도 시니어 고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체면을 중시하는 문화 때문에 은퇴 후 알바를 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느낀다는 설명이다. 그나마 한인 시니어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한국계, 한인 기업에선 한국의 '정년퇴직 문화'를 이유로 연령차별 행태를 묵인하거나 방조하는 경우도 많다.     ◆"최저임금 일자리 찾느니 보조금 의존"=시니어 일자리의 질이 좋지 않은 것도 이유다. 박광민 뉴욕한인식품협회 회장은 "홈디포나 주유소에서 일자리를 찾아도, 최저임금 수준인데다 그것마저 체크로 받아야 해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며 "캐시잡이 아니라면 결국 소셜연금을 받을 때 방해가 될 수 있어 무의미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AAF는 뉴욕시 한인 시니어의 저소득층 생활보조금(SSI) 의존 비율(68.3%)이 높은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시니어 장애물 한인 시니어 시니어 일자리 아시안 시니어

2025-02-05

“유엔플라자 개발 계획 통해 1800개 넘는 일자리 창출”

뉴욕시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에 나섰다.   3일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 유엔개발공사(UNDC)는 ‘일자리 주간’을 맞아 1800개 넘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뉴욕시 경제에 수십억 달러의 이익을 가져올 5억 달러 규모의 유엔플라자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UNDC 건물 전체 수리·보수와 사무실 공간 수리·보수 등이 포함된다. 약 90만 스퀘어피트의 공간을 리노베이션을 통해 건설 및 관련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설명이다.     아담스 시장은 “유엔 본부가 뉴욕시에 있는 것은 우리 도시가 경제적 엔진이자 세계적인 수도라는 증거”라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주민들에게 전 세계에서 가장 좋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약 4년 동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아담스 시장은 이날 5개 보로 전역의 사무실 공간을 재활성화하고 뉴요커를 위한 새로운 일자리 수천 개를 창출해 시 경제를 회복하겠다는 전략 ‘레이스 포 스페이스(Race for Space)’를 발표했다.     기존 상업용 오피스를 리노베이션해 대형 사무실 공간을 찾는 국내 및 해외 기업들을 유치하고, 이를 통해 향후 3년 동안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뉴욕시의 사무실 공실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전략이다.     아담스 시장은 “뉴욕시는 국내 및 해외 기업으로 상업용 사무실 공간을 채우고, 수천 개의 고소득 일자리를 창출할 준비가 됐다”며 “뉴욕시가 가족이 살기에 가장 좋은 장소로 만들어 줄 새로운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윤지혜 기자유엔플라자 일자리 일자리 창출 유엔플라자 개발 뉴욕주지사 유엔개발공사

2025-02-03

작년 12월 고용 25만6000명 ‘깜짝 증가’

미국의 지난해 12월 신규 일자리 증가폭이 예상 밖으로 크게 상승했다. 실업률도 직전달보다 낮아졌다. 미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인플레이션 둔화세는 정체된 만큼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인하가 중단될 수 있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0일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일자리가 전월 대비 25만6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25만6000명)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고용 증가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5만5000명), 로이터통신 전문가 전망치(16만명)을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이기도 하다. 지난해 2~3분기 월평균 증가폭(약 15만명) 수준도 크게 웃돌았다.     미국의 고용 증가 폭은 지난해 10월 허리케인 헐린과 밀턴 피해, 보잉 파업 등 여파로 4만3000명으로 일시적으로 낮아진 바 있다. 이후 11월 들어 21만2000명으로 크게 반등했는데, 12월 들어 증가 폭이 더 커진 것이다.   지난해 12월 실업률도 4.1%로 직전달(4.2%)보다 소폭 낮아졌다. 이 또한 전문가 전망치(4.2%)를 밑돌았다.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0.3%로 시장 전망에 부합했고, 전년 대비 상승률은 3.9%로 시장 전망(4.0%)을 밑돌았다.   블룸버그통신은 “12월 일자리 증가폭은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실업률은 예상 밖으로 낮아졌다”며 “노동시장이 1년 더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고용지표는 미 노동시장이 생각보다 강한 상황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준이 금리인하 속도를 늦추는 것에서 더 나아가 추가 금리인하를 중단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받고 있다. 고용시장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 연준이 그간 안정시키느라 노력했던 인플레이션이 재가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3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기존 56%에서 74%로 높였다. 5월 회의까지 금리 동결 상태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도 하루 새 45%에서 62%로 높아졌다.     깜짝 고용지표에 채권금리는 급등했다. 이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고용지표 발표 후 4.79%까지 올랐다. 2023년 11월 초 이후 1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김은별 기자미국 고용 일자리 증가폭 고용 증가 고용지표 발표

2025-01-12

학위 없어도 고연봉 가주 공무원 될 수 있다

앞으로 학사 학위가 없어도 다양한 주정부 공무원직에 지원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는 소득 양극화 해소와 고용 안정을 목적으로 대학 졸업장 없이도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는 주정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겠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주정부 측은 이를 위해 학사 학위가 필요 없는 주정부 일자리를 현재 3만여 개에서 내년에는 두 배인 6만2000여 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주지사는 학사 학위가 더 나은 소득을 보장받는 상황임에도 학생들의 대학 학비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구인 수요가 높은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직업 훈련도 강화할 방침이다.   그는 이날 레딩 소재 샤스타 칼리지에서 한 회견에서 “모든 가주민들이 대학 졸업 학위 없이도 만족스러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주정부는 안정적으로 고소득이 보장되는 일자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주정부는 군대나 직장에서 얻은 기술과 경험을 대학 학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과 직업 훈련 교육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일례로 군대에서 특수한 보직과 업무 수행했다면 실제 대학에서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군 경력의 대학 학점 전환은 현재 3만여 명의 퇴역 군인들이 내년부터 실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도 구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교과 과정에 대거 포함하도록 했다. 해당 주요 분야에는 보건, 기후, 교육, 신기술 등이 포함됐다. 또한 장애인, 영어학습자, 학위가 없는 부모의 자녀도 직업 교육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문턱을 더욱 낮출 예정이다.     한편 최근 주정부 통계에 따르면 가주 내 상위 소득자 10%의 연평균 소득은 30만 달러인데 반해서 하위 소득 10%의 연간 소득은 2만9000달러에 불과하다.   최인성 기자 ichoi@koreadaily.com직업교육 공무원 주정부 공무원직 주정부 일자리 상위 소득자

2024-12-17

캐나다 실업률 8년 만에 최고치 기록

  캐나다의 실업률이 11월 기준 6.8%로 상승하며 지난 8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2020년과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2017년 이후 최고치로, 캐나다 내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1월에 51,000명이 신규 취업했음에도 불구하고, 87,000명이 새로 구직 대열에 합류하며 실업률이 꾸준히 증가해 올해 4월 이후 1.7% 상승했다. 특히 지난 1년간 일하지 않았거나 일한 경험이 없는 실업자 비율이 작년 11월 39.5%에서 올해 46.3%로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실업률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가 10.8%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P.E.I.)가 8%로 뒤를 이었다.   반면, 서스캐쳐원은 5.6%로 가장 낮았고 매니토바가 5.8%로 그 뒤를 이었다. 온타리오는 7.6%로 높은 실업률을 기록했으며, 특히 토론토는 8.1%로 주 평균보다도 더 높았다.   장기 실업자 문제도 심각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업자 중 21.7%가 27주 이상 연속 실업 상태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5.9%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청년층(15~24세)의 실업률은 13.9%로 가장 높았으며, 55세 이상 실업률은 소폭 증가한 5.3%를 기록했다. 여성 실업률은 5.8%로 증가했지만, 남성 실업률은 5.7%로 변동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산업은 일자리 증가세를 보였다. 전문•과학•기술 서비스 분야에서 17,000명(0.9%)이 신규 채용되었으며, 건설업에서도 18,000명(1.2%)의 고용 증가가 있었다. 도소매업은 가장 많은 39,000명(1.3%)의 신규 인력을 채용하며 고용 시장의 일부 활기를 불어넣었다.   임영택 기자 edit@cktimes.net캐나다 실업률 직장 일자리

2024-12-10

세금 적고 일자리 많은 도시 선호도 높다

미국인들이 은퇴 후 살고 싶어 하는 도시는 어디일까? 최근 US뉴스(usnews.com)가 전국 150개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은퇴 시니어를 위한 베스트 은퇴지를 선정했다. 표참조〉 이번 조사에서는 주민 행복도, 집값, 물가, 고용 시장, 은퇴자 세금, 의료 서비스 수준 등 은퇴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들이 반영됐다. 특히 이번 조사는 예년과 달리 경제적 요인보다 행복도를 최우선으로 했다는 것이 특이점. 그 결과 작년까지 베스트 은퇴지가 주로 북동부에 집중되어 있던 것이 올해는 남부와 중서부 지역으로 이동했다. US뉴스가 선정한 베스트 은퇴지 7곳을 알아봤다.     ▶1위 플로리다 네이플스   인구: 12만2578명 65세 이상 인구 비율: 36% 월 평균 모기지 : 2367달러 월 평균 렌트비: 1738달러 플로리다의 낙원이라 불리는 네이플스(Naples)가 올해 최고의 은퇴지로 선정되었다. 네이플스는 도시와 자연환경 모두를 즐길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선호하는 시니어들에게 이상적인 장소로, 활동적인 삶과 여유로운 삶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 도시는 은퇴 후 살고 싶은 곳 2위, 고용시장 부문 4위, 세금 부문 6위를 차지했다.     ▶2위 버지니아 비치   인구: 46만69명 65세 이상 인구 비율: 15% 월 평균 모기지 : 2079달러 월 평균 렌트비: 1805달러 버지니아주 소재 해안 도시인 버지니아 비치(Virginia Beach)는 깨끗한 공기와 사계절 내내 온화한 기후를 자랑한다. 이곳은 주민 행복도 8위, 대기질 4위, 은퇴 후 살고 싶은 곳 12위를 기록하며 최고의 은퇴지임을 입증했다. 또 다양한 문화와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어 완벽한  은퇴지로 꼽힌다.   ▶3위 뉴욕   인구: 880만4330명 65세 이상 인구 비율: 16% 월 평균 모기지 : 3098달러 월 평균 렌트비: 1910달러 뉴욕(New York City)은 은퇴 후에도 풍부한 문화생활을 즐기려는 시니어들에게 이상적인 은퇴지다. 또 뉴욕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서비스로도 유명하다. 마운트사이나이 병원(Mount Sinai Hospital), 뉴욕 장로교 병원(New York-Presbyterian Hospital) 등 유명 종합병원이 위치해 있다. 또 일자리 부문에서 22위에 랭크돼 은퇴 후에도 일자리를 원하는 시니어들에게도 적합하다. 생활비가 비싸지만 주민 행복도 6위, 은퇴 후 살고 싶은 곳 18위를 차지했다.     ▶4위 플로리다 새러소타   인구: 8만2472명 65세 이상 인구 비율: 34% 월 평균 모기지 : 2009달러 월 평균 렌트비: 1659달러 새러소타(Sarasota)는 이번 조사에서 은퇴 후 살고 싶은 곳 1위를 차지하며 은퇴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로 떠올랐다. 따뜻한 기후와 아름다운 해변, 그리고 높은 주민 행복도가 이곳을 최고의 은퇴지로 선정케 했다. 또 서커스의 도시(Circus City)라는 별명답게 다양한 예술 공연장이 자리 잡고 있는데 링글링 미술관(Ringling Museum of Art)과 새러소타 오페라(Sarasota Opera)가 대표적이다.   ▶5위 아이다호 보이시   인구: 27만7498명 65세 이상 인구 비율: 16% 월 평균 모기지: 1693달러 월 평균 렌트비: 1398달러 보이시(Boise)는 고용시장 부문 16위로 조사 대상 도시들 중 2번째로 낮은 실업률을 기록했다. 또  '저렴한 집값' 부문 7위를 기록해 주민들에게 높은 주거 만족도를 제공한다. 또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은퇴 후 활동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삶을 원하는 이들에게 이상적인 은퇴지이기도 하다.     ▶6위 노스캐롤라이나 롤리   인구: 46만9960명 65세 이상 인구 비율: 12% 월 모기지 평균값: 1923달러 월 렌트 평균값: 1432달러 롤리(Raleigh)는 은퇴 후에도 활기차게 생활하길 원하는 시니어들에게 매력적인 도시다. 노스캐롤라이나의 주도로 유명 대학들과 연구소가 위치해 있는 학구적인 도시이기도 하다. 또 노스캐롤라이나 미술관(North Carolina Museum of Art)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 인프라와 미국에서 2번째로 큰 수제 맥주 축제인 브루가루(Brewgaloo) 등 다양한 축제로도 유명하다.     ▶7위 플로리다 잭슨빌   인구: 97만7267명 65세 이상 인구 비율: 15% 월 평균 모기지: 1599달러 월 평균 렌트비: 1296달러 잭슨빌(Jacksonville)은 낮은 세금, 우수한 의료 서비스, 그리고 풍부한 여가 활동이 어우러진 매력적인 도시다. 특히 플로리다는 주 소득세가 없어 시니어들의 생활비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 여기에 더해 22마일 해변, 멋진 골프 코스, 그리고 국내에서 가장 큰 도심 공원이 있어 은퇴자들의 여가생활을 풍성하게 만들어 준다. 일자리 선호도 은퇴 시니어 시장 은퇴자 베스트 은퇴지가

2024-11-27

퀸즈 윌레츠포인트 재개발로 일자리 1만5000개 늘린다

뉴욕시풋볼클럽(NYCFC) 스타디움 등의 건설계획을 담은 퀸즈 윌레츠포인트 개발 프로젝트로 인해 뉴욕시에 일자리 1만5000개가 늘어날 전망이다.     21일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뉴욕시건축·건설협의회(BCTC)와 윌레츠포인트 재개발 프로젝트를 포함해 각종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역사적인 노동 협약(PLA)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 노동 협약을 통해 뉴욕시는 ▶지역사회 채용을 확대해 주민들을 양질의 일자리에 연결하는 동시에 ▶뉴요커들에게 직업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소수계·여성소유사업체(MWBE)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종 건설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완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노동 협약이 적용되는 건설 프로젝트로는 ▶시 소유 건물 및 구조물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하수구·터널·교량 수리 프로젝트 ▶도로 및 수변 재건 ▶그린웨이 프로젝트 등 친환경 인프라 개선 등이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뉴욕시는 건설 프로젝트 근로자들에게 공정한 임금·복리후생·안전 보장·인력 개발 기회 등을 보장할 수 있게 됐다.     아담스 시장은 “이 협약은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며, 시민들은 이를 통해 더 좋은 일자리, 더 빠른 건설 프로젝트 완공 등을 누릴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윌레츠포인트 재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1만4000개 넘는 건설 일자리와 1500개 이상의 영구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윌레츠포인트 재개발은 뉴욕시에 향후 30년 동안 6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윌레츠포인트 개발 프로젝트는 퀸즈 씨티필드 인근 주차장과 자동차 수리센터 등이 있던 부지에 복합단지를 신축하는 프로젝트다. 총 2500가구의 주거시설, 4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공용 오픈스페이스와 상업공간 등이 건립된다.     한편 윌레츠포인트에 들어설 뉴욕시 최초의 축구 경기장인 NYCFC 구장 이름은 ‘에티하드 파크’로 정해졌다. 21일 NYCFC는 “2027년 개장 예정인 구장 이름을 에티하드 파크로 결정했다”며 “이는 향후 20년간 유효하다”고 밝혔다. 에티하드 항공사가 10년 넘게 NYCFC에 투자해온 만큼, 구장 이름을 ‘에티하드 파크’로 정했다는 설명이다.   NYCFC는 2027년 메이저리그축구(MLS) 시즌에 맞춰 축구장을 개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일자리 재개발 재개발 프로젝트 건설 일자리 건설 프로젝트

2024-11-21

귀넷 일자리 창출 유망...메트로 지역서 'No.3'

5대 전략업종 일자리 창출 유망   조지아주에서 한인들을 비롯해 아시아계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귀넷이 향후 인구 증가와 함께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세 번째로 일자리가 많은 카운티로 발전할 전망이다.   애틀랜타지역위원회(ARC)는 메트로 지역 카운티별로 2050년까지의 인구 및 일자리 창출을 예측한 보고서에서 "귀넷은 2050년까지 인구가 25% 증가하고, 일자리도 메트로 지역에서 세 번째로 많은 카운티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일자리 창출의 근거로 귀넷 카운티가 첨단 제조업, 공급망 관리, 정보기술, 보건과학 및 의료, 기업 및 전문직 서비스업 등 5대 전략 업종에 꾸준히 투자해온 점을 꼽았다. 또 해외 기업, 특히 아시아와 유럽의 기업들이 시장 접근을 위해 귀넷에 앞다퉈 진출한 배경도 크다.   닉 마시노 귀넷 상공회의소 CEO(최고경영자)는 “600개가 넘는 국제적 기업이 이곳을 고향이라고 부른다”며 이 중 약 100개는 귀넷에 북미 본사를, 150개는 미국 본사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귀넷의 일자리 창출과 투자를 유치하는 ‘파트너십 귀넷’이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약 272개의 첨단 중소 제조업체가 약 2만8000명을 고용하고 있다.   물류센터도 늘고 있다. 도요타 동남부 판매 회사는 지난 8월 노크로스에 50만 스퀘어피트(sqft) 규모의 물류센터를 짓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4100만달러 이상이 투자되는 물류센터는 120개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이 업체가 노크로스를 선택한 이유는 I-85와 I-985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어 트럭으로 이틀 안에 미국 전역으로 배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츠필드-잭슨 공항, 사바나, 브런스윅 항구와의 접근성도 장점으로 꼽혔다.   아울러 귀넷에서 보건과학과 의료 서비스 산업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대큘라 인근 2000에이커에 달하는 대규모 생명공학 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카운티 정부는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6770만 달러 채권을 승인한 바 있다.   기업들이 귀넷으로 몰려들면서 인프라 투자도 활기를 띄고 있다. 주민들은 공공안전 및 공공 도서관의 인프라 개선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특수목적 판매세(SPLOST) 신설을 승인했으며, 카운티는 지난 20년 동안 수질 개선에 거의 10억 달러를 투자했다. 조지아파워도 귀넷의 전력망 확장에 나서고 있다. 윤지아 기자일자리 인구 일자리 창출 아시아계 인구 향후 인구

2024-11-21

‘브로커 피’ 집주인 부담…조례안 통과에 브로커들 불만

통상 세입자 부담으로 여겨지던 ‘브로커 피’(Broker Fees·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집주인이 부담하도록 하는 조례안이 최근 시의회를 통과한 가운데, 부동산 브로커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집주인들이 브로커 피를 부담하게 되면 결국 브로커 고용을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브로커 일자리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주장이다. 만약 브로커 고용을 유지한다 하더라도, 집주인들은 렌트를 더 올리는 방식으로 브로커 피를 세입자들에게 전가할 수 있어 결국 세입자들에게 손해라는 의견도 내놓았다.   랜드로드 이익단체인 뉴욕부동산위원회(REBNY)는 지난 15일 성명을 내고, 뉴욕시의회가 통과시킨 ‘FARE Act’, 즉 브로커를 고용한 사람(통상 집주인)이 브로커 피를 부담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위원회는 “이 조례안은 현실보다 이념만을 우선시해 나쁜 결과를 낳는 또 다른 사례”라며 “결국 세입자들은 훨씬 높아진 렌트를 부담하게 될 것이며, 제대로 된 주택을 찾아 계약하기도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처럼 브로커들이 이번 조례안에 반대하는 현상을 조명하고, 브로커들이 일자리를 잃을까 두려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높은 브로커 피를 집주인들이 부담하기 시작하면, 결국 집주인들은 브로커를 쓰지 않고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거나 직접 계약하는 방식으로 브로커 피를 아끼려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NYT는 “이미 예전부터 스트리트이지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렌트 매물을 찾을 수 있고, 정보도 공개되는데 브로커가 꼭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이 여러 차례 제기된 바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브로커들은 비용 부담 때문에 직접 계약을 하게 될 경우, 결국 렌트 과정에서 투명성이 떨어지고 피해는 세입자들이 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한다. 콜드웰 뱅커의 빌 코봘츠크 브로커는 “세입자들은 렌트를 직접 계약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안내를 제대로 못 받아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키안 사나이 더글라스엘리먼 브로커는 “많은 사람들에 높은 렌트 가격에 대한 화를 브로커들에게 풀고 있다”며 “주택 위기에 대한 피해를 브로커들이 받게 되는 셈”이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브로커 집주인 브로커들 불만 브로커 고용 브로커 일자리

2024-11-18

“뉴욕시 일자리 회복…주택·치안문제 해결이 관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겨우 회복한 뉴욕시 경제가 더 발전하려면, 높은 주택비용과 치안 문제 해결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많은 뉴요커, 특히 젊은 층이 높은 주택비용과 안전 문제 때문에 지쳐 뉴욕시를 벗어나고 있는 만큼, 이 부분을 해결해야 뉴욕시의 미래가 보인다는 설명이다. 또한 팬데믹 이후 뉴욕시 일자리는 거의 회복됐지만, 이들 중 대부분은 고소득 일자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연방준비은행은 4일 맨해튼 뉴욕 연은에서 열린 ‘일자리로 본 뉴욕시의 미래’ 포럼에서 “뉴욕시 일자리 수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지 1년가량 지났지만, 소득 그룹별 일자리 격차는 매우 큰 상황”이라고 전했다.     제이슨 에이블 뉴욕 연은 도시·지역연구분야 대표는 “팬데믹을 겪으며 연소득 3만5000달러 수준의 저소득 일자리, 3만5000~7만5000달러 수준의 중간소득 일자리는 더디게 회복됐지만, 연소득 7만5000달러 이상의 고소득 일자리는 큰 폭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저소득 일자리 중엔 뉴욕시를 대표하는 접객서비스·유통 분야 일자리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고, 간병인 등 헬스케어 서포트 분야만 유일하게 늘었다. 고소득 일자리 중에는 과거 상대적으로 적었던 테크 일자리, 매니지먼트 분야 일자리가 급증한 것이 특징이다.     뉴욕 연은은 최근 회복세가 나타나긴 했지만, 팬데믹 영향이 없었다면 현재 뉴욕시 일자리는 25만개 이상 더 많았을 것이라며 뉴욕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뉴욕주·시정부가 초점을 맞춰야 할 부분으로는 범죄율 감소와 안전 문제, 주택 공급, 대중교통 업그레이드 등이 지적됐다. 리처드 플로리다 토론토대 교수는 “사람들이 일자리 근처에서 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데 주택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뉴욕에 진출하려는 대기업이 뉴욕시 하우징에 투자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전했다.   이날 포럼엔 뉴욕시경제공사(NYCEDC), 시민예산위원회(CBC) 관계자도 참가해 뉴욕시 경제 개발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이들은 ▶어포더블하우징 투자 확대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헬스케어 투자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시행 등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사진=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일자리 치안문제 뉴욕시 일자리 고소득 일자리 저소득 일자리

2024-10-06

향후 10년간 중산층 일자리 60만개 소멸

향후 10년간 감소하는 직종과 증가하는 직종이 발표되어 시선을 끌고 있다. 단순 사무직은 인공지능(AI)으로, 일반 판매직은 키오스크와 로봇 등에 의해 6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전망이다.     노동통계국(BLS)이 최근 발표한 ‘2033년 노동시장 변화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많은 감소가 예상되는 ‘중산층 직업’은 일반 사무원으로 10년간 14만7500개가 줄어든다. 이외에도 소매판매원 관리(9만500개), 사무원 관리(6만9100개), 금속 가공(6만4100개), 재무 사무원(5만300개) 등이 뒤를 이었다. 〈표1 참조〉   BLS가 정의하는 중산층 직업이란 평균 연 수입이 4만 달러에서 10만 달러 사이의 직업을 가리킨다. 이 보고서에서 눈에 띄는 점은 사라질 상위 10위 직종 모두 학사 학위가 필요하지 않은 직업이었다는 것이다. 학사 학위가 없어도 안정적 생활을 가능케 해주던 직종들이 급격히 감소할 것이라는 의미다.     이런 변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AI와 자동화와 소비 패턴 변화가 꼽힌다. 감소하는 직종 중 사무원, 사무원 관리, 재무 사무원, 자료 기록 사무원 등은 특별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 ‘단순 사무직’으로, AI가 보편화하면서 상당 부분 대체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취업정보사이트 집리크루터의 줄리아 폴락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많은 단순 사무직 근로자가 직업을 잃은 후에 새로운 일자리 찾기가 어려울 것”이라며 “이들이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기술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향후 10년간 대폭 증가할 직업도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3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추가될 것으로 전망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운영 관리자(21만400개), 간호사(19만7200개), 의료 서비스 매니저(16만600개), 재무 매니저(13만8300개) 등이 뒤를 이었다. 〈표2 참조〉   특히 증가하는 직종 중에는 간호사, 의료 서비스 매니저, 전문 간호사, 의료 보조원 등 의료 관련 직종이 많았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의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증가하는 직종 대부분은 건설 노동자를 제외하고 모두 학사 학위 이상이 필요한 직업이었다. 감소하는 직종이 주로 고졸 학력에 그치는 것과는 대비된다. 조지타운 대학교 산하 교육노동센터(GCEW)의 니콜 스미스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노동시장이 변화하고 있으며, 새로 생겨나는 직업들은 고학력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수요가 많은 분야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대학 진학이 필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조원희 기자로봇 중산층 중산층 직업 재무 사무원 일자리 찾기

2024-09-27

서류미비자 실업급여 지급…뉴섬 주지사 서명만 남아

가주 지역 서류미비자에게도 실업 급여를 지원하자는 법안이 주지사의 책상으로 향했다. 만약 주지사가 서명하게 되면 서류미비자도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려 논란이 예상된다.   KCAL 등 주류 언론에 따르면 서류미비자 대상 실업 급여 지원 법안(SB227)이 최근 의회를 통과해 주지사의 서명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   이 법안은 마리아 엘레나 두라조 가주 상원의원(민주·26지구)이 발의했다. 가주 지역 노동자가 이민 신분으로 인해 실업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없을 경우, 가주고용개발국(EDD)이 실업 급여 혜택과 유사한 현금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세부 계획을 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두라조 상원의원 등 법안 지지자들은 서류미비자의 상당수가 주정부 등에 세금을 납부하는 만큼, 그들이 일자리를 잃을 때 실업 급여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공화당 측은 EDD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들어 실업 급여 기금을 서류미비자에게까지 사용하는 것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한편, 뉴섬 주지사는 해당 법안에 오는 30일까지 서명하거나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서류미비자 실업급여 서류미비자 실업급여 서류미비자가 일자리 실업급여 혜택

2024-09-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