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열린광장] 일류의 조건

대기업에 다닐 때다. 회사 전체의 다음연도 손실과 이익 계획을 경영계획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회사 전체의 경영계획을 관리팀의 직원 한 사람이 관리했다. 엑셀(Excel) 프로그램 하나로 직원 한 사람이 4000명이 넘는 회사 전체의 연간 수입과 지출 계획을 관리했던 것이다. 그 직원은 혹시나 다른 직원이 자신이 관리하는 엑셀 프로그램을 알거나 건드릴까 봐 늘 노심초사했다.   자신이 아는 기술이나 지식을 꼭 부여잡고 평생을 사는 사람이 있다. 자신이 아는 걸 남에게 알려주면 자기 밥그릇이 날아간다고 여기는 것 같다. 어쩌다 얻게 된 노하우나 지식 하나를 부여잡고 평생을 사는 것이다.   요즘에는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기가 쉬워졌다. 하지만 예전에는 ‘도제 교육’이라고 해서, 숙련된 전문가 아래서 초보인 제자가 가르침을 전수받았다. 영화를 보면 제자는 일평생 스승 아래서 마당만 쓸다가 스승이 눈을 감기 직전에 지식을 전수받는 경우도 있다.   일본의 교육학자인 사이토 다카시는 ‘일류의 조건’이란 책에서 ‘훔치는 기술’을 말한다. 일류가 되기 위해서는 잘 훔쳐야 한다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훔치는 기술은 남에게 ‘지식을 훔치는’ 기술이다. 그가 말하는 ‘일류’는 꾸준한 자기 성장을 하며 본질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이다. 한마디로 일생을 성장하는 사람이다.     항상 성장하는 사람은 자기 밥그릇을 쉽게 남에게 내어 줄 수 있다. 자기는 이미 다른 밥그릇을 쳐다보기 때문이다. 남에게 가르치는 것을 꺼리는 사람은 자기 밥그릇만 본다. 남이 금방 자기 밥그릇을 차지할까봐 늘 전전긍긍한다.     남에게 쉽게 가르쳐 주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자기는 두 개 세 개를 새로 깨우쳐야만 한다. 그것이 일류가 되는 첫 번째 조건이라는 것이다.   동경대 법대를 나와서 일본에서 대학교수를 하는 저자는 ‘일류’가 되기 위한 또 다른 조건으로 ‘요약하는 힘’을 꼽는다. 업무 지시를 하다 보면 5분만 지나도 졸고 있는 직원을 본다. 그는 졸면서 나에게 외치는 것 같다. ‘제발 요약해서 본론만 말하라’고 말이다.     요즘은 영화도 짧게 요약한 것들이 유튜브에 많이 나와있다. 책의 내용도 요약되어 있다. 업무지시를 하든 강의를 하든, 고객에게 설명을 하든 ‘요약’해야 한다.     어린 시절 학교에서 받은 교육 중에 내게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 하나만 꼽으라면 ‘짧은 글 짓기’다. 글을 짧게 짓기 위해서는 내용을 여러 번 곱씹어 보고 완전히 내 것이 되어야 가능하다. 그리고 남의 입장이 되어 내 글을 읽어보아야 한다. 과연 이 말을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을까.   다카시 교수의 마지막 일류가 되기 위한 조건은 ‘추진하는 힘’이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추진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추진력은 매일 샘솟지 않는다. 그래서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몸은 처음에는 생각하는 대로 움직인다. 하지만 계속해서 습관으로 만들면 몸이 알아서 혼자 움직인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고등학교 3학년 담임선생님은 늘 이런 말씀을 하셨다. “습관은 성격을 만들고 성격은 운명이 된다.” 작지만 계속할 수 있는 좋은 습관을 만들어야한다. 손헌수 / 변호사·공인회계사열린광장 일류 마지막 일류 자기 밥그릇 엑셀 프로그램

2025-03-19

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일류의 조건

대기업에 다닐 때다. 회사 전체의 다음연도 손실과 이익 계획을 경영계획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회사 전체의 경영계획을 관리팀의 직원 한사람이 관리했다. Excel 프로그램 하나로 직원 한사람이 4천명이 넘는 회사 전체의 연간 수입과 지출 계획을 관리했던 것이다. 그 직원은 혹시나 다른 직원이 자신이 관리하는 엑셀 프로그램을 알거나 건드릴까 봐 늘 노심초사했다.   자신이 아는 기술이나 지식을 꼭 부여잡고 평생을 사는 사람이 있다. 자신이 아는 걸 남에게 알려주면 자기 밥그릇이 날아간다고 여기는 것 같다. 어쩌다 얻게 된 노하우나 지식 하나를 부여잡고 평생을 사는 것이다. 요즘에는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기가 쉬워졌다. 하지만 예전에는 ‘도제 교육’이라고 해서, 숙련된 전문가 아래서 초보인 제자가 가르침을 전수 받았다. 영화를 보면 제자는 일평생 스승 아래서 마당만 쓸다가 스승이 눈을 감기 직전에 지식을 전수받는 경우도 있다.     일본의 교육학자인 사이토 다카시는 ‘일류의 조건’이란 책에서 ‘훔치는 기술’을 말한다. 일류가 되기 위해서는 잘 훔쳐야 한다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훔치는 기술은 남에게 ‘지식을 훔치는’ 기술이다. 그가 말하는 ‘일류’는 꾸준한 자기 성장을 하며 본질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이다. 한마디로 일생을 성장하는 사람이다. 항상 성장하는 사람은 자기 밥그릇을 쉽게 남에게 내어 줄 수 있다. 자기는 이미 다른 밥그릇을 쳐다보기 때문이다. 남에게 가르치는 것을 꺼려하는 사람은 자기 밥그릇만 본다. 남이 금방 자기 밥그릇을 차지 할까봐 늘 전전긍긍한다. 남에게 쉽게 가르쳐 주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자기는 두개 세개를 새로 깨우쳐야만 한다. 그것이 일류가 되는 첫번째 조건이라는 것이다.   동경대 법대를 나와서 일본에서 대학교수를 하는 저자는 ‘일류’가 되기 위한 또 다른 조건으로 ‘요약하는 힘’을 꼽는다. 업무에 대한 지시를 하다보면 5분만 지나도 졸고 있는 직원을 본다. 그는 졸면서 나에게 외치는 것 같다. ‘제발 요약해서 본론만 말하라’고 말이다. 요즘은 영화도 짧게 요약한 것들이 유투브에 많이 나와있다. 책의 내용도 요약되어 있다. 업무지시를 하든 강의를 하든, 고객에게 설명을 하든 ‘요약’해야 한다. 어린 시절 학교에서 받은 교육 중에 내게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 하나만 꼽으라면 ‘짧은 글 짓기’다. 글을 짧게 짓기 위해서는 내용을 여러번 곱씹어 보고 완전히 내것이 되어야 가능하다. 그리고 남의 입장이 되어 내 글을 읽어보아야 한다. 과연 이 말을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있을까?   사이토 다카시 교수의 마지막 일류가 되기 위한 조건은 ‘추진하는 힘’이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추진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추진력은 매일 샘솟지 않는다. 그래서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몸은 처음에는 생각하는 대로 움직인다. 하지만 계속해서 습관으로 만들면 몸이 알아서 혼자 움직인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고등학교 3학년 담임선생님은 늘 이런 말씀을 하셨다. ‘습관은 성격을 만들고 성격은 운명이 된다.” 작지만 계속할 수있는 좋은 습관을 만들어야한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 활력 마지막 일류 사이토 다카시 자기 밥그릇

2025-02-27

[이 아침에] 달려라! 하루 우라라

2003년 12월 14일, 일본의 고우치현에 있는 고우치 경마장은 열기로 가득했다. 일류 경주마들이 출전하는 대회에서 밀려났거나 은퇴 직전의 경주마, 혹은 삼류 경주마가 참가하는 최하급 지방 경마대회임에도 불구하고 그날은 지역 주민뿐 아니라 다른 지방에서 온 단체 관람객 수천 명과 100여 명의 취재진까지 북새통을 이뤘다.     사람들의 관심은 작고 늙은 경주마에게 집중되었다. 단 한 번도 승리한 적이 없는 ‘하루 우라라’라는 이름의 경주마였다. ‘하루 우라라’라는 ‘화창한 봄날’이라는 뜻이지만, 경주마로서 ‘하루 우라라’는 우울한 날의 연속이었다. 1등만 인정되고 나머지는 모두 패배라고 여겨지는 경마에서 매번 열심히 달리기만 할 뿐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하루 우라라’는 태어날 때부터 발목이 가늘고, 몸집은 작았다. 다른 말에 비해 폐활량도 떨어져 달리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성격도 예민해 경주 전에는 여물도 먹지 않아 정작 경주에 나가면 힘을 못 썼다. 네 살을 전성기로 치는 경주마에게 여덟 살인 ‘하루 우라라’는 은퇴할 때를 한참이나 지난 노쇠한 말이었다.     많은 사람이 경마장에 모인 그 날은 ‘하루 우라라’가 100번째 경주에 도전하는 날이었다. ‘생애 첫 우승이냐? 아니면 100번째 패배냐?’ 많은 관심과 열띤 응원에도 불구하고 ‘하루 우라라’는 그날도 어김없이 우승에 실패했다. 비록 우승은 못 했지만, 스탠드를 가득 메운 관중은 100번 연속해서 꾀부리지 않고 열심히 달린 ‘하루 우라라’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보냈다.   그렇게 매번 달리지만 우승 한 번 못 하는 ‘하루 우라라’를 찾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다. 회사를 위해 평생 성실히 일했지만, 명예퇴직을 당한 사람들이 ‘하루 우라라’를 보면서 위로를 받았고, 말기 암 환자도 ‘하루 우라라’에게서 용기를 얻었다. ‘하루 우라라’는 경제 위기에 빠진 일본인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꼴찌 말의 사연이 보도되면서 폐장 위기에 있던 고우치 경마장이 활기를 되찾았다. 1등만 박수받는 세상, 성공이 기준이 되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달릴 때마다 꼴찌를 도맡아 하는 이 말을 응원하기 위해 경마장을 찾았다. 결국 ‘하루 우라라’는 은퇴할 때까지 113번 경주에 나가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지만, 그 누구도 실패했다고 말하지 않았다. 우승은 못 했지만, 단 한 번도 최선을 다하지 않았던 적이 없음을 알기 때문이었다.   다른 사람보다 앞서가라고 부추기는 세상에서, 더 빨리 달리라고, 조금만 더 힘을 내라고 채찍질하는 세상에서 이민자의 삶은 고달프기만 하다. 성실과 인내로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지만, 인정은 다른 사람의 몫이 될 때가 많다. 열심히만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그렇지 못할 때도 많았다. 그런 이들에게 ‘하루 우라라’는 이렇게 말한다. “꼴찌면 어때, 후회 없이 달려왔잖아. 그러면 된 거야.”     우리는 오늘도 세상이라는 경주장으로 나간다. 꼴찌면 어떤가? 달릴 수 있는 멋진 세상이 있지 않은가? 거기서 또 한 번 힘껏 달려보자. 이창민 / 목사·LA연합감리교회이 아침에 삼류 경주마가 일류 경주마들 정작 경주

2023-11-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