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가장 많은 선거구…가주 연방 하원 45지구

전국에서 한인 인구가 가장 많은 선거구는 가주 지역의 연방 하원 45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인 인구가 많은 곳을 선거구별(118대 하원 기준)로 살펴보면 상위 20개 지역에서 가주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미주한인유권자연대(이하 KAGC)가 8일 발표한 미주 한인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연방 하원 45지구(가주)의 한인은 총 5만 1151명으로 전국 선거구 중 한인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45지구는 전통적으로 한인 다수 거주 지역인 풀러턴, 브레아, 세리토스, 부에나파크, 사이프러스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총선거 당시 미셸 스틸(공화) 전 의원이 데릭 트랜(민주)에게 불과 수백 표 차이로 고배를 마셨던 곳이기도 하다.   두 번째로는 4만 9516명의 한인이 살고 있는 연방 하원 5지구(뉴저지)가 꼽혔다. 이어 34지구(가주·4만 7129명), 11지구(버지니아·3만 235명), 47지구(가주·2만 9338명), 3지구(뉴욕·2만 5530명), 6지구(뉴욕·2만 5016명), 17지구(가주·2만 3679명) 등의 순이다. 〈표 참조〉   34지구는 LA 한인타운이 포함된 지역으로 지난 선거에서 지미 고메즈(민주) 현 의원에게 데이비드 김 후보가 도전장을 내밀었던 곳이다. 47지구는 어바인 등이 포함된 데이브 민(민주) 의원의 지역구다. 이 밖에도 영 김(공화) 의원의 40지구도 2만 1972명의 한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KAGC 측은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전역에서 공직에 진출한 한인들의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한인 사회는 주류 사회 내에서 중요한 목소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의미를 전했다.   KAGC는 센서스국의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 추정치 통계(2023년 기준)를 근거로 주별 한인 인구도 취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의 한인 인구는 56만 249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뉴욕(14만 2143명), 텍사스(11만 1701명), 뉴저지(10만 9856명), 워싱턴(9만 7176명), 버지니아(9만 3481명), 일리노이(7만 3353명) 등의 순이다.   특히 가주의 경우는 전체 한인 인구 중 약 80%인 45만 623명의 한인이 시민권자로 조사됐다. 이 중 20만 8162명은 귀화를 통해 시민권을 취득했다.   전국 각 주요 도시의 한인 인구를 보면 LA(11만 3607명)에 가장 많은 한인이 살고 있다. 이어 뉴욕(9만 1595명), 어바인(가주·2만 3963명), 호놀룰루(하와이·2만 3621명), 샌디에이고(가주·1만 8213명), 풀러턴(가주·1만 7962명) 등의 순이다. 이 밖에도 가주에서는 샌호세(1만 6469명), 샌프란시스코(1만 5776명), 토런스(1만 2858명), 부에나파크(1만 609명), 글렌데일(8013명) 등이 상위 20개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 장열 기자선거구 한인 하원 45지구인 하원 5지구 한인 인구

2025-04-08

뉴욕시민 10명 중 4명이 이민자

뉴욕시민 10명 중 4명은 이민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4일 뉴욕시장실 산하 이민서비스국(MOIA)이 내놓은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뉴욕시 해외 출생 이민자 인구는 300만여명으로 전체의 38%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 인구 중 이민자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27%를 넘어서는 수치다.     이 38% 중 22.4%는 미국 시민권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15.4%는 비시민권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이민자들의 출신 국가를 보면 도미니카공화국이 12.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두 번째는 중국으로, 전체 이민자의 11.1%를 차지했다. 이외에 자메이카(5.3%), 멕시코(4.7%), 에콰도르(4.4%) 등의 순으로 이민자 규모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이들 중 71%가 18~64세 사이 노동 인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이민자 비율은 23.5%, 17세 이하 이민자는 5.1%를 차지했다.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이 이민자인 뉴욕시에서, 언어장벽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요커 22%가 영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민자 중 44.4%는 스페인어를, 13.7%는 중국어를, 7.3%는 러시아를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뉴욕시 이민자 대부분은 미국에 장기간 거주한 것으로 파악됐다. 89%가 5년 이상 미국에 거주했으며, 20년 이상 거주한 비율이 55% ▶10~19년이 21% ▶5~9년이 12%를 기록했다.     소득별로 보면, 뉴욕시 이민자의 중간 소득은 비이민자의 중간 소득보다 약 2만 달러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기준 이민자의 중간 소득은 4만2820달러로, 미국 출생 뉴욕시 거주자의 중간 소득 6만1171달러보다 30%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민자들의 거주 여건은 더 암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스국은 방당 1명 넘는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을 ‘과밀 주택(overcrowded)’으로, 1.5명 넘는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을 ‘매우 과밀된 주택(extremely overcrowded)’으로 규정한다.     이 규정에 따르면, 뉴욕시 이민자 가정의 10%가 ‘과밀 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출생 뉴욕시 거주자의 경우 그 비율이 6%에 불과했다.     건강보험 관련 불균형도 존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 이민자의 9%가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는 미국 출생 뉴욕시 거주자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뉴욕시민 뉴욕시 이민자들 이민자 인구 이민자 규모

2025-04-07

"美 성인 10명 중 1명은 의료비 감당 못한다"

미국인의 건강한 삶 유지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인 소수계는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 2일 갤럽은 전국 성인 대상 의료비 인식조사 결과 성인 10명 중 1명은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갤럽은 2024년 기준 미국 인구 중 2900만 명이 병원 치료비나 약값을 감당할 능력이 없는 상황이라며, 이같은 수치는 지난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2021년 성인 중 약 8%만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다고 답했다. 2024년 조사에서는 이 비율이 11%로 늘었다.   특히 소수계가 겪는 고통은 상대적으로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히스패닉계 성인은 18%(2021년 10%), 흑인은 14%(2021년 9%)가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다고 답했다.     2024년 기준 히스패닉 성인 중 34%(2021년 51%)만이 의료비를 감당할 수준이라고 답했다. 흑인은 성인 중 41%(2021년 54%)가 의료비를 감당할 경제상황이라고 답했다. 전체 성인 중에는 51%(2021년 56%)가 의료비를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백인은 2021년과 같은 8%만이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백인 성인 중 58%는 2021년과 같은 비율로 의료비를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소득에 따라 의료비 부담은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4년 사이 저소득층일수록 의료비 부담을 호소하는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다.     연 소득 2만4000달러 이하인 가구 중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다고 답한 비율은 2021년 14%에서 2024년 25%로 11%포인트나 늘었다. 2만4000달러 이상 4만8000달러 이하인 가구의 의료비 감당 불가 비율은 2021년 13%에서 2024년 19%로 6%포인트 증가했다.     연 소득 4만8000달러 이상인 가구 중 의료비 감당 불가 비율은 11~12%로 큰 변화가 없었다. 이와 달리 연 소득 9만 달러 이상인 가구 중 의료비 감당 불가 비율은 1~5%에 그쳤다.     이같은 조사 결과를 두고 갤럽은 가구당 소득에 따라 의료서비스 격차도 더 벌어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 성인 응답자 중 35%는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가구당 소득 2만4000달러 이하인 성인은 64%, 2만4000 달러 이상 4만8000달러 이하인 성인은 57%가 저렴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문조사 응답자 중 12%는 지난해 의료비를 위해 돈을 빌렸다고 답했다. 의료비를 감당할 수 없는 요인으로는 식료품비, 교통비, 공공요금 등 물가인상이 꼽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웨스트 헬스와 갤럽 헬스케어가 지난 2024년 11월 18일부터 12월 27일까지 18세 이상 6296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의료비 인구 의료비 인식조사 지난해 의료비 의료비 부담

2025-04-03

메트로밴쿠버 인구 첫 3백만명 돌파… 2045년 4백만명 예상

 메트로밴쿠버 지역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3백만 명을 넘어섰다. 2024년 중간 성장 시나리오에 따르면, 올해 총인구는 3백23만 명에 도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방정부의 공격적인 이민 정책이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2030년엔 332만 명, 2040년엔 381만 명, 2050년엔 421만 명을 넘길 것으로 예측되며, 인구 4백만 명 돌파 시점은 기존 예상보다 9년 앞당겨진 2045년으로 수정됐다.         도시별로 보면, 밴쿠버는 여전히 BC주 최대 도시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써리의 성장세가 만만치 않다. 써리는 2021년 59만7,000명에서 2050년 96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고, 같은 기간 밴쿠버는 69만8,000명에서 99만1,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두 도시의 격차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버나비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26만2,000명에서 2030년 31만 명, 2040년 35만4,000명, 2050년 38만8,000명으로 예측된다.         이번 인구 예측은 2021년 인구센서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팬데믹 당시 누락된 인원을 보정한 추정치를 사용했다. 연방 이민 계획을 반영해 BC통계청, 캐나다 통계청 등과 협업해 모델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지역당국은 자체 예측의 신뢰도에 자신감을 보였다. 2011년 발표된 ‘메트로2040’의 경우, 2021년 실제 센서스 결과와의 오차가 1% 이내였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현재 메트로밴쿠버 광역지자체는 21개 자치시, 1개 선거구, 1개 조약 체결 퍼스트네이션 지역으로 구성돼 있으며, BC주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이 지역에 몰려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메트로밴쿠버 인구 메트로밴쿠버 인구 메트로밴쿠버 지역 현재 메트로밴쿠버

2025-04-03

[성서로 세상 읽기] 물을 더 이상 ‘물’로 보지 말라

매년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이다. 인구와 경제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수질이 오염되고 전 세계적으로 식수가 부족해지자,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하여 유엔(UN)이 정한 날이다. 현재 전 세계 4명 중 1명은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40억 명이 물 부족 지역에 살고 있다. 이 수치는 2050년까지 50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자연 상태의 깨끗한 물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인구는 전 세계 인구 중에 1% 남짓인 8000만 명에 못 미친다. 전 세계 인구 9명 중 1명은 오염된 물을 마시고, 오염된 물 탓에 장티푸스, 콜레라 같은 수인성 질병에 걸려 20초당 1명씩 사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물을 포함한 생태환경의 보존과 회복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는다.   우리가 식수로 마시는 물은 지구의 혈관에 흐르는 피와 같다. 물은 결코 무한한 것이 아니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체가 영원히 살지 않듯이 지구도 나날이 그 생명력을 소진하고 있다. 지구 대기권의 수증기가 비로 내려 땅 속으로 스며들고, 태양에 데워진 물은 다시 수증기가 되어 대기로 증발하는 순환과정에서 온전한 양으로 교환되지 않는다.     이런 순환에는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비가역적 변화가 발생한다. 우리가 날마다 소비하는 물은 결국 서서히 그 밑바닥을 드러내고야 말 것이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수질오염으로 인한 그 희소성 때문에 물은 이제 ‘자유재’에서 ‘경제재’로 탈바꿈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수도꼭지를 틀면 지금 콸콸 쏟아지는 물을 ‘물’이 아닌 ‘금’으로 대할 날이 반드시 올 것이다. 아니 금이나 다이아몬드 없이는 살 수 있어도 물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것이 우리 인간이기에 물의 가치는 훨씬 그 이상이다.   지구상의 물은 97.5%의 바닷물과 2.5%의 민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2.5%의 물도 빙산과 눈 형태로 되어있는 것이 과반수고 지하수와 대기 중에 있는 수분이 일정 부분 차지한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지구상에서 쓸 수 있는 식수원은 0.0075%에 불과하다.     그 희소하고 귀중한 물을 전 세계 82억 인구가 ‘물같이’ 쓰고 있다. 우리의 생명과도 같은 귀한 식수원은 가정에서 쓰고 버리는 생활 폐수(특히 합성세재로 인한 오염), 정화 시설 없이 공장에서 내보내는 각종 중금속과 화학물질이 포함된 폐수, 대기 중 각종 오염물질이 섞인 채 내리는 산성비로 오염되어 죽어가고 있다.   출애굽 후 수르 광야에서 극심한 갈증으로 고통당하는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한 나뭇가지를 던지게 함으로써 마라의 쓴 물을 단물로 바꾸어 주셨다(출 15:22-25).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모세가 염분과 같은 미네랄을 함유한 강알칼리성 샘물에 산성을 띠고 있는 열매 달린 대추나무 가지를 던져 넣어 중화시킨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마실 수 없는 마라의 쓴 물을 식수로 만들어 주신 하나님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생태신학적 의미를 전해준다. 수질오염으로 무수한 생명이 죽어가는 오늘의 현실 앞에서 출애굽기 15장의 이야기는 물을 포함한 생태환경의 보존과 회복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게 해준다.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샘물(요 4:14)’을 마시기도 전에 물 부족이나 오염된 물로 죽어가는 이들을 외면하는 것은 생명 경외를 몸소 가르쳐 주신 하나님을 멀리하는 것이다.   우리 세대는 오염된 쓴 물을 단물로 정화시키는 힘겨운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그 일을 하지 않으면 다음 세대의 사전에는 ‘희망’과 ‘생명’이라는 단어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물을 별것 아닌 것처럼 하찮게 여기는 생각과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우리 인류는 가까운 미래에 사막을 부유하는 순례자와 같은 삶을 살아야 될지도 모른다. 하여 물을 더 이상 ‘물’로 보지 말고 우리의 ‘피’같이 대해야 할 테다. 이상명 / 캘리포니아 프레스티지 대학교 총장성서로 세상 읽기 세계 인구 각종 오염물질 지구 대기권

2025-04-01

달라스가 빠르게 늙고 있다 … 65세이상 고령자수 전체 인구의 11%

 달라스의 노인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도시 전체 인구의 약 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라스 노인복지 위원회(Dallas Senior Affairs Commission/DSAC)의 2024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는 총 14만120명으로 도시 전체 인구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인구층으로 파악됐다. 달라스의 고령 인구 가운데, 혼자사는 독거노인수는 4만2,482명이며 두 가지 이상의 장애를 가진 노인 수도 2만7,395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연방 빈곤선(연 소득 1만4,040달러) 이하의 소득을 가진 60세 이상 노인 수는 2만9,685명이고 노인을 대상으로 발생한 범죄 건수는 5,457건(2022년 기준)에 달했다. 65세 이상 노인의 가구당 중간소득은 4만2,829달러로 도시 전체 가구의 중간소득 7만1,412달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달라스 고령인구의 인종을 보면, 백인이 전체의 46.2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흑인 24.92%, 히스패닉계 18.12%, 2개 인종 이상 혼혈 3.88%, 아시안 또는 태평양 도서민 2.41%, 아메리칸 원주민 0.02%, 기타 4.4%의 순이었다. 고령층 노인들은 저소득, 독거, 장애 및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노인들의 수입은 종종 제한적이다. 연방 빈곤선 이하의 수입을 가진 달라스 거주 노인은 60세 이상 2만9,685명, 75세 이상 8,198명으로 추산됐다. 또한, 약 3만명의 60세 이상 달라스 노인이 월 소득 1,000달러 이하로 생활하고 있다. 또한 독거 노인의 경우, 삶의 질과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고립 위험을 높인다. 보고서는 이처럼 달라스 고령인구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지만 노인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들은 기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령층의 필요성이 얼마나 큰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달라스의 모든 연령대에서 식량 불안정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고정 수입으로 생활하는 노인들에게는 식료품 가격 상승이 더욱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북 텍사스 푸드 뱅크(North Texas Food Bank)와 방문 간호협회(Visiting Nurse Association)의 ‘식사 배달’(Meals on Wheels) 프로그램은 사상 최대의 지원 요청을 받고 있다. ‘피딩 텍사스’(Feeding Texas)에 따르면, 텍사스는 노인 식량 불안정 문제에서 전국 8위며 텍사스 내 노인의 9.8%가 식량 부족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저소득층 노인이 거주하는 지역 근처에 식료품점이 부족한 것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됐다. 한편, 달라스의 노인들은 연방, 주, 카운티 및 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 비영리 단체 및 자원봉사 단체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많은 단체가 간병인과 노인을 위한 무료 또는 저비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용 가능한 일부 지원 프로그램은 다음고 같다. ▲북 텍사스 푸드 뱅크(North Texas Food Bank): ntfb.org / 214-330-1396 ▲달라스 밀스 온 휠즈(Meals on Wheels): 214-689-2639 ▲메트로크레스트 서비스(Metrocrest Services): 영양 지원, 단기 임대/공공요금 지원, 이동성 옵션, 지역사회 참여, 주택 안전 개조 지원. 서비스 제공 및 자격 요건 정보→metrocrestservices.org /  972-446-2100 ▲노인 정보 센터(Aging Information Office): 간병 서비스 조정 및 가족 간병인 지원 제공 / 888-223-9509 ▲주택 지원: 저소득 노인 주택 및 정부 지원 프로그램 정보 제공 / 800-304-7152 ▲기타 추가 지원: 211   손혜성 기자고령자수 달라스 달라스 고령인구 달라스 노인복지 노인 인구

2025-03-25

조지아 최고 비만 도시는? 1위 어거스타, 2위 애틀랜타

조지아 비만율 전국 14번째   조지아주에서 가장 과체중 및 비만 인구가 많은 도시로 어거스타가 뽑혔다.   재정정보 사이트인 월렛허브가 최근 발표한 전국 비만 도시 순위에 따르면 어거스타는 전국 7위, 조지아 1위에 올랐다. 비만 성인 인구는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은 것으로 평가됐다. 비만도시 순위는 전국 100대 대도시를 대상으로 영양, 운동, 비만 관련 건강 문제 등을 평가해 매겼다.   조지아에서 2번째로 과체중인 주민이 많이 사는 곳은 애틀랜타로, 전국 63위에 올랐다.   어거스타대학교가 지난해 발표한 ‘건강한 조지아 리포트’에 따르면 조지아 농촌 지역은 성인의 약 41%가 비만인 반면, 도시 지역은 약 37%에 그쳤다. 조지아의 비만율은 전국 14번째로 높았다.   또 고졸 미만 성인의 비만율은 40.9%인 반면 고졸 성인은 40.1%, 대학 중퇴 성인의 39.3%, 대졸 성인의 30.3%가 비만한 것으로 집계되며 학력이 높을수록 비만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확인됐다. 나이별로는 조지아의 18~49세의 36.9%가, 50~64세의 41.2%가, 65세 이상의 32.3%가 비만으로 나타났다.   조지아의 비만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으며, 특히 농촌 지역의 저소득 인구의 비만율이 높다. 이런 경향은 동남부 지역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난다.   전국에서 비만 또는 과체중인 사람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은 텍사스주 맥앨런. 맥앨런의 비만 성인 비율이 4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체중 인구 또한 31%에 달했다. 또 비만 청소년 비율도 전국 2번째, 비만 어린이 비율도 전국에서 5번째로 높았다.   2위는 아칸소주 리틀록, 3위는 미시시피주 잭슨이 뽑혔고, 앨라배마주 모빌, 테네시주 녹스빌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하와이의 호놀룰루는 과체중인 인구가 가장 적은 도시로 뽑혔으며, 시애틀, 덴버, 샌프란시스코, 보스턴 등도 ‘건강한’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 윤지아 기자조지아 비만 비만 성인 비만 인구 조지아 농촌

2025-03-19

워싱턴 지역 인구 인구 성장세 꾸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구가 급감했던 워싱턴 등 전국 대도시 지역 인구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대도시권의 인구 증가세는 최근 전국 인구 증가세를 앞지른 것으로도 나타났다. 연방센서스국이 최근 발표한 ‘빈티지2024 인구총계 및 변화 구성요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메트로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수는 총2억9390만명으로, 전년 대비320만명(약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는총3억4000만명으로,같은 기간1.0% 증가해 메트로 지역인구 증가율에 못미쳤다. 펜데믹 기간 인구 감소세를 보인 워싱턴 메트로 지역(Washington-Arlington-Alexandria, DC-VA-MD-WV Metro Area)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2020년 4월1일 627만8595명을 기준점으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7월1일 기준으로 변경할 경우 2020년부터 2021년 사이 펜데믹 영향으로 1천명 미만으로 감소했으나 2022년부터 628만9810명, 2023년 634만5881명,2024년 643만6489명 등으로 증가했다.     2020년 펜데믹 이후 2024년까지 2.73% 증가한 것으로, 전국 평균(2.52%)보다는 높지만 전국 매트로지역 평균(2.78%)에는 미치지 못한 것이다. 버지니아 인구는 881만1195명으로 4년새 2.0%, 메릴랜드는 626만3220명으로 1.90% 증가했다. 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116만925명)는 1.0% 성장에 그쳤으나, 최근 20년새 급팽창하고 있는 라우던 카운티(44만3380명)는 4.66%가 증가해 여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메릴랜드 하워드 카운티(33만9668명)와 몽고메리 카운티(108만2273명)는 모두 2.0% 증가했다. 버지니아는 4년새 출생자수에서 사망자수, 국내 이주 등을 고려한 순유입 인구는 2만4천명에 불과했지만, 이민 순유입 인구가 15만8813명으로 네 배에 달했다. 메릴랜드도 이민 순유입 인구가 14만4183명으로 사실상 이민이 없었다면 인구 정체가 불가피했다. 인구 증가 비율로 따져보면 플로리다 오칼라,파나마시티, 사우스캐롤라이나 머틀비치 등 남부지역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센서스국은 “대도시 일대 인구가 최근들어 증가한 것은 주로 해외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 덕”이라고 설명했다. 팬데믹에 유입되지 못했던 해외 인구가 다시증가했고, 유학이나 취업 등의 이유로 대도시에 몰린 탓으로 풀이된다. 2024년 전국 387개 대도시권 중 341개 지역에서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고 센서스국은 전했다.   인구 성장률로는 뉴욕 뉴왁-저지시티를 아우르는 지역이 눈에띄었다. 2024년 기준 뉴욕주 인구는1986만7248명으로 0.7% 늘었고, 뉴저지주인구는 950만851명으로 전년대비 1. 3%증가했다. 뉴욕-뉴왁-저지시티 인구는 1년 만에 21만3403명이 증가해 텍사스주휴스턴일대(19만8171명), 텍사스주댈러스일대(17만7922명)보다 성장 폭이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인구 워싱턴 지역인구 증가율 인구 증가세 남부지역 인구

2025-03-16

LA 등 대도시 인구 빠른 회복세…팬데믹 타격 딛고 이민자 늘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구가 급감했던 LA 등 국내 대도시(metro area) 인구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대도시권의 인구 증가세는 최근 전국 인구 증가세를 앞지른 것으로도 나타났다.     13일 센서스국이 발표한 ‘빈티지 2024 인구총계 및 변화 구성요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메트로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수는 총 2억9390만명으로, 전년 대비 320만명(약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는 총 3억4000만명으로, 같은 기간 1.0% 증가해 메트로 지역 인구 증가율에 못 미쳤다.     특히 10대 메트로 지역 중 LA카운티 인구 수가 975만717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또 2023년의 973만1837명과 비교해서 2만5342명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19 등으로 지난 10년간 인구 감소세를 보인 샌프란시스코, 오클랜드, 프리몬트 등 가주 대도시와 뉴욕 지역의 뉴욕, 뉴어크, 저지시티, 워싱턴 DC 지역의 워싱턴, 알링턴, 알렉산드리아 지역의 인구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인구 성장률로는 뉴욕-뉴왁-저지시티를 아우르는 지역이 눈에 띄었다. 2024년 기준 뉴욕주 인구는 1986만7248명으로 0.7% 늘었고, 뉴저지주 인구는 950만851명으로 전년대비 1.3% 증가했다.   뉴욕-뉴왁-저지시티 인구는 1년 만에 21만3403명이 증가해 텍사스주 휴스턴 일대(19만8171명), 텍사스주 댈러스 일대(17만7922명)보다 성장 폭이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 또 뉴저지주 내 한인 밀집 지역인 버겐카운티 인구는 같은 기간 96만6484명에서 97만8641명으로 1.26%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가 늘어난 비율로 따져보면 플로리다주 오칼라, 파나마시티,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머틀비치 등 남부 지역 인구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가주의 샌디에이고카운티 인구 수는 329만87399명, 오렌지카운티는 317만435명, 리버사이드카운티는 252만9933명으로 집계됐다.       센서스국은 “대도시 일대 인구가 최근 들어 증가한 것은 주로 해외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 덕”이라고 설명했다. 팬데믹에 유입되지 못했던 해외 인구가 다시 증가했고, 유학이나 취업 등의 이유로 대도시에 몰린 탓으로 풀이된다. 2024년 전국 387개 대도시권 중 341개 지역에서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고 센서스국은 전했다. 김은별·김영남 기자대도시 회복세 인구 증가세 지역 인구 저지시티 인구

2025-03-13

시카고, ‘성 패트릭 데이’ 즐기기 좋은 도시 6위

시카고가 미국서 ‘성 패트릭 데이’(St. Patrick's Day∙매년 3월 17일)를 즐기기에 가장 좋은 도시 중 한 곳으로 꼽혔다.     금융정보 웹사이트 월렛허브(WalletHub)는 최근 대도시 200곳을 대상으로 성 패트릭 데이를 즐기기 좋은 순위를 매겼다.     각 도시의 성 패트릭 데이 전통, 안전 및 접근성, 날씨, 비용 등의 지표를 사용해 평가했는데 시카고는 중서부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전체 6위에 올랐다.     시카고는 아일랜드계 인구 비율 최상위권, 아이리시 펍(7위), 평균 맥주 가격(46위), 그리고 시카고 강 초록색으로 물들이기•성 패트릭 데이 퍼레이드 전통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성 패트릭 데이는 아일랜드에 기독교를 처음 전파한 수호 성인 패트릭(386~461년)을 기리는 행사로 아일랜드계가 많은 미국 도시 곳곳에서 열린다. 연방 센서스 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아일랜드계 인구는 3200여만명으로 아일랜드 본토 인구(530만 명)의 약 6배에 이른다. 시카고 시는 보스턴에 이어 미국에서 두번째로 아일랜드계가 많은 곳으로 알려졌다.   시카고 시는 지난 1962년부터 성 패트릭 데이에 앞서 시카고 강에 초록 염료를 푸는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 배관공 노조인 '시카고 플러머 유니언'(CPU) 소속 회원들이 배를 타고 시카고 강을 따라 돌며 초록색 염료를 뿌리는 작업을 보기 위해 매년 100만 명 이상의 인파가 몰린다. 친환경 오렌지 파우더를 원료로 하는 초록색 염료의 제조 방법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져 있다.   시카고 서 서버브 네이퍼빌은 이번 평가서 전체 21위, 일리노이 주 2위에 올랐다. 네이퍼빌은 높은 아일랜드 인구 비율과 행사를 즐기기에 안전한 환경 등이 평가받았다.     전체 1위는 보스턴이 차지했고 이어 레노(네바다)•사바나(조지아)•산타 로사(캘리포니아)•워체스터(매사추세츠)•시카고•뉴욕(뉴욕)•헨더슨(네바다)•버팔로(뉴욕)•피츠버그(펜실베이니아)가 차례로 2위부터 10위까지를 기록했다. 이 외 중서부 도시 가운데 미네소타 주 세인트폴(11위), 캔자스 주 오버랜드 파크(13위), 아이오와 주 드모인(14위)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한편, 시카고서는 오는 15일 오전 10시 시카고 강 초록색 물 들이기 행사가 진행된다.   Kevin Rho 기자시카고 패트릭 패트릭 데이 시카고 뉴욕 아일랜드계 인구

2025-03-13

뉴욕 등 대도시 인구 빠른 회복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구가 급감했던 뉴욕·뉴저지주 등 미국 내 대도시 일대 인구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대도시권의 인구 증가세는 최근 전국 인구 증가세를 앞지른 것으로도 나타났다.     13일 센서스국이 발표한 ‘빈티지 2024 인구총계 및 변화 구성요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 내 메트로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수는 총 2억 9390만명으로, 직전해 대비 320만명(약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전체 인구는 총 3억 4000만명으로, 같은 기간 1.0% 증가해 메트로 지역 인구 증가율에 못 미쳤다.     특히 미국의 10대 메트로 지역 중 뉴욕-뉴왁-저지시티를 아우르는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총 1994만274명으로 전국 메트로 지역 중 최대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2024년 기준 뉴욕주 인구는 1986만7248명으로 0.7% 늘었고, 뉴저지주 인구는 950만851명으로 전년대비 1.3% 증가했다.   뉴욕-뉴왁-저지시티 인구는 1년 만에 21만3403명이 증가해 텍사스주 휴스턴 일대(19만8171명), 텍사스주 댈러스 일대(17만7922명)보다 성장 폭이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가 늘어난 비율로 따져보면 플로리다주 오칼라, 파나마시티,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머틀비치 등 남부 지역 인구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뉴욕시 내에서는 맨해튼 인구가 166만664명으로, 직전해(163만3229명) 대비 1.7%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내 한인 밀집지역인 뉴욕 퀸즈 인구는 2024년 기준 231만6841명으로, 2023년(229만4682명) 대비 0.97% 늘었다.     이외에 브루클린(0.95%), 브롱스(0.69%), 스태튼아일랜드(0.69%) 등의 인구도 증가세를 보였다. 뉴저지주 내 한인밀집지역인 버겐카운티 인구는 같은 기간 96만6484명에서 97만8641명으로 1.26%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센서스국은 “대도시 일대 인구가 최근 들어 증가한 것은 주로 해외에서 미국으로 국제 이주한 인구 증가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팬데믹에 유입되지 못했던 해외 인구가 다시 증가했고, 유학이나 취업 등의 이유로 대도시에 몰린 탓으로 풀이된다. 2024년 전국 387개 대도시권 중 341개 지역에서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고 센서스국은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대도시 회복세 대도시 인구 인구 증가세 지역 인구

2025-03-12

7명 중 1명 해외 출생 이민자

이민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인구 7명 중 1명은 해외 출생 이민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이민협의회(American Immigration Council·AIC)가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3년 현재 미국에 거주하는 해외 출생 이민자는 4780만 명으로 전체의 14.3%를 차지했다. 이는 2018년 대비 6.8% 증가한 수치다.   특히 2018년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증가한 미국 인구 5분의 2가 해외 출생 이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로 미국 출생 인구의 증가율이 1.7%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AIC는 “지난 몇 년 동안 이민자가 없었다면 뉴욕·커네티컷·메릴랜드주의 인구는 감소했을 것이며, 캘리포니아·일리노이·루이지애나주의 인구는 더 큰 폭으로 감소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민자들이 미국 경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이민자들은 미국의 ‘고령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싱크탱크 ‘어반 인스티튜트’의 예측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는 2040년까지 8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중 84세 이상 인구는 15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00년도 65세 이상 인구가 3500만 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0년새 65세 이상 인구가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셈이다.     한편 고령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취업 연령 인구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미국 출생 인구의 경우 16~64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2018년 61.7%에서 2023년 60.9%로 감소했다. 2023년 해외 출생 이민자 인구 중 16~64세 비율은 77.1%였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며 가정 간병인 수가 부족한 상황인데, 데이터에 따르면 해외 출생 이민자는 전국 가정 건강 보조원(health aid)의 28.4%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뉴욕에서는 가정 건강 보조원 절반 이상(59.5%)이 이민자였고, 뉴저지에서는 그 비율이 48.4%였다. 간호사 역시 이민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뉴욕에서는 30.6%, 뉴저지에서는 28.6%였다.     또 AIC는 “불법체류자를 포함해 해외 출생 이민자들의 세금은 전국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해외 출생 이민자들은 ▶연방세 4198억 달러 ▶주 및 지방세 2321억 달러를 냈으며, 이중 불법체류자들이 낸 세금은 ▶연방세 558억 달러 ▶주 및 지방세 339억 달러였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이민자 해외 출생 출생 인구 동안 이민자

2025-03-05

[신 영웅전] 인구 감소는 재앙…맬서스의 역설

인구학자 토머스 맬서스(1766~1834·사진)는 본디 성공회 신부였다. 부유한 가정의 7남매 가운데 한 명이었던 그는 ‘성품이 고결한 사람’(묘비명)이었다. 케임브리지대 신학부에서 공부할 때만 해도 그는 구도자였지 경제학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영혼을 위로해야 하는 그가 보기에 자본주의의 발전이 하층 계급에 더 고통을 준다는 사실을 견딜 수 없었다.   초기 산업사회에서 기계 문명이 식량을 증산하고 그것이 인구 증가로 이어질 때만 해도 자본주의는 축복일 수 있다고 사람들은 생각했다. 그러나 의술도 발달하지 않고 피임에 대한 인식도 없던 당시로선 많은 자녀가 축복이 아니었다.   가난과 불결함에다 의료 혜택의 부족으로 열악했던 초기 자본주의가 영혼의 구제보다 현실적 삶의 구원에 더 마음 쓰게 만들었다. 당시 식량 증산은 산술급수적인 데 비해 출산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이 때문에 벌어지는 아녀자 노동, 고한(苦汗) 노동, 영아 살해, 심각한 빈곤은 맬서스를 더 이상 신부로 묶어두지 않았다.   맬서스는 경제학을 공부해 『인구론』(1798)을 출판했다. 그가 보기에 폭증하는 인구 앞에 기껏 질병·굶주림·전쟁만이 인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인구 증가는 재앙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인구 감소를 위해 어떤 구체적 대책을 내놨는지 뚜렷한 논거를 찾을 수도 없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맬서스의 역설에 함몰돼 있다. 인구 증가가 고민이 아니라 인구 감소가 더 큰 재앙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옛 어른들의 말씀에 따르면 안채 며느리 방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들려야 하고, 사랑채에서 손주들 책 읽는 소리가 들려야 하고, 담 넘어 논에 물 들어가는 소리가 들려야 번족(繁族), 즉 일족이 번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모습은 이제 낭만일 뿐이다. 그나마 올해부터 출산율이 바닥을 찍고 증가한다니 국가의 축복인 듯 기쁘지만, 향후 30년이 걱정이다.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맬서스 인구 인구 감소 인구 증가 인구학자 토머스

2025-02-12

가주 고령화 심각…“2040년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가주의 고령화 현상으로 주정부의 보건 분야 예산 마련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민자 유입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뉴스위크는 지난달 31일 가주공공정책연구소(이하 PPIC)가 발표한 자료를 인용, 가주는 곧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12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2040년이 되면 가주 인구 중 ‘65세 이상’은 22%에 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지난 2020년(14%·570만 명)보다 약 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인구수로 보면 65세 이상은 2040년까지 90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반면, 경제 활동을 하는 20~64세 사이 인구는 현재와 비슷할 전망이다. 또, 17세 미만 인구는 24%로 감소하게 된다.   지난 2020년 기준으로 가주의 65세 이상 비율은 경제 활동을 하는 인구 100명당 24명이다. 이는 2040년이 되면 100명당 38명으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PPIC는 2040년이 되면 경제 활동 인구 대비 65세 이상의 비율이 역대 최고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PPIC는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현상은 베이비부머 세대(1946~1964년 사이)가 고령화되는 것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가주의 출산율은 2008년 2.15명에서 2020년 1.47명으로 줄었다. 즉, 젊은 층이 줄고, 고령층이 급격히 늘어난다는 것이다.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간병인, 저소득층 건강보험인 메디캘(Medi-Cal) 등 보건 분야에 대한 수요 역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PPIC 측은 “소득세 납부자가 감소하고 반면 고령층의 복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정부는 예산 확보에 대한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며 “돌봄이 필요한 인구 및 메디캘 사용 인구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관련 프로그램이 향후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윌리엄 프레이 브루킹스 연구소 인구학자 및 선임연구원은 “가주의 경우 젊은 층의 경제 활동 인구 규모는 이민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향후 이민이 증가해 고령화와 인구 증가 둔화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이어진다면 젊은 이민자들의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가주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이렇게 되면 (노인) 부양 부담 역시 줄어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2040년이 되면 65세 이상 가주 인구의 인종도 더 다양해질 전망이다. 특히 라틴계와 아시아계 노인 인구가 지금보다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백인 노인 인구는 30% 정도만 늘어나게 된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고령화 노인 인구 이민자 건강보험 베이비부머 캘리포니아 가주

2025-02-12

텍사스주 풀쉬어, 설리나, 프로스퍼 1·2·3위 차지

 달라스와 휴스턴 서버브 도시 3곳이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유한 서버브 도시 탑 30 조사에서 전국 1·2·3위를 휩쓸었다. 개인 금융 정보 업체 ‘고뱅킹레이츠’(GoBankingRates)는 인구 2만5천~10만명, 중간 소득 15만달러 이상의 미전국의 모든 서버브 도시들을 대상으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각 타운의 인구 변화 등을 비교, 분석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유한 서버브 도시 탑 30’(Top 30 Fastest-Growing Wealthy Suburbs in the U.S.)을 선정했다. 고뱅킹레이츠는 이번 조사에서 연방센서스국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merican Community Survey), 스펄링스 베스트플레이스(Sperling’s BestPlaces), 에리어바이브스(AreaVibes), 질로우(Zillow) 주택 가치 지수, 연방노동통계국 소비자 지출 조사,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경제 데이터 등 2025년 1월 6일 기준 최신 자료를 참조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달라스와 휴스턴 메트로 지역에 속한 3개 서버브 도시가 전국 1·2·3위를 차지했다. 휴스턴 서버브 도시인 풀쉬어(Fulshear)가 1위, 달라스 서버브 도시인 설리나(Celina)와 프로스퍼(Prosper)가 각각 2위와 3위에 랭크됐다. 또한 달라스 서버브인 플라워 마운드(Flower Mound), 사우스레이크(Southlake), 유니버시티 파크(University Park), 콜리빌(Colleyville)도 각각 19위, 27위, 28위, 29위에 이름을 올렸다.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유한 서버브 도시 탑 30 가운데 텍사스 주내 도시들은 모두 7개로 가장 많았으며 캘리포니아가 5개로 그 뒤를 이었다.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서버브 도시 탑 30에 포함된 텍사스 주내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1위 풀쉬어 -메트로 지역: 휴스턴 -2018~23 인구 증가율: +237% -중간 소득: $178,398 -평균 주택가치: $521,157 ▲2위 설리나 -메트로 지역: 달라스 -2018~23 인구 증가율: +190% -중간 소득: $155,875 -평균 주택가치: $611,512 ▲3위 프로스퍼 -메트로 지역: 달라스 -2018~23 인구 증가율: +81% -중간 소득: $187,603 -평균 주택가치: $823,356 ▲19위 플라워 마운드 -메트로 지역: 달라스 -2018~23 인구 증가율: +6% -중간 소득: $157,737 -평균 주택가치: $599,026 ▲27위 사우스레이크 -메트로 지역: 달라스 -2018~23 인구 증가율: 0.66% -중간 소득: $250,000 -평균 주택가치: $1,215,002 ▲28위 유니버시티 파크 -메트로 지역: 달라스 -2018~23 인구 증가율: 0.60% -중간 소득: $250,000 -평균 주택가치: $2,334,151 ▲29위 콜리빌 -메트로 지역: 달라스 -2018~23 인구 증가율: -0.50% -중간 소득: $203,566 -평균 주택가치: $886,166 한편,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서버브 도시 탑 10 가운데, 4위는 콜로라도주 이리, 5위 메릴랜드주 클락스버그, 6위 인디애나주 자이언스빌, 7위 워싱턴주 레드먼드, 8위 캘리포니아주 더블린, 9위 플로리다주 파크랜드, 10위는 캘리포니아주 이스트베일이었다.   손혜성 기자텍사스주 설리 인구 증가율 휴스턴 메트 평균 주택가치

2025-02-11

[신영웅전] 맬서스의 역설

인구학자 토머스 맬서스(1766~1834·사진)는 본디 성공회 신부였다. 부유한 가정의 7남매 가운데 한 명이었던 그는 ‘성품이 고결한 사람’(묘비명)이었다. 케임브리지대 신학부에서 공부할 때만 해도 그는 구도자였지 경제학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영혼을 위로해야 하는 그가 보기에 자본주의의 발전이 하층 계급에 더 고통을 준다는 사실을 견딜 수 없었다.   초기 산업사회에서 기계 문명이 식량을 증산하고 그것이 인구 증가로 이어질 때만 해도 자본주의는 축복일 수 있다고 사람들은 생각했다. 그러나 의술도 발달하지 않고 피임에 대한 인식도 없던 당시로선 많은 자녀가 축복이 아니었다.   가난과 불결함에다 의료 혜택의 부족으로 열악했던 초기 자본주의가 영혼의 구제보다 현실적 삶의 구원에 더 마음 쓰게 만들었다. 당시 식량 증산은 산술급수적인 데 비해 출산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이 때문에 벌어지는 아녀자 노동, 고한(苦汗) 노동, 영아 살해, 심각한 빈곤은 맬서스를 더 이상 신부로 묶어두지 않았다.   맬서스는 경제학을 공부해 『인구론』(1798)을 출판했다. 그가 보기에 폭증하는 인구 앞에 기껏 질병·굶주림·전쟁만이 인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인구 증가는 재앙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인구 감소를 위해 어떤 구체적 대책을 내놨는지 뚜렷한 논거를 찾을 수도 없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맬서스의 역설에 함몰돼 있다. 인구 증가가 고민이 아니라 인구 감소가 더 큰 재앙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옛 어른들의 말씀에 따르면 안채 며느리 방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들려야 하고, 사랑채에서 손주들 책 읽는 소리가 들려야 하고, 담 넘어 논에 물 들어가는 소리가 들려야 번족(繁族), 즉 일족이 번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모습은 이제 낭만일 뿐이다. 그나마 올해부터 출산율이 바닥을 찍고 증가한다니 국가의 축복인 듯 기쁘지만, 향후 30년이 걱정이다.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영웅전 맬서스 역설 인구 증가 인구학자 토머스 인구 감소

2025-02-10

[보험 상식] 평생 보장 연금

평생 보장 연금(Lifetime Guarantee Income)은 60세 이상은 물론 40~50대가 반드시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할 플랜이다.     소셜 시큐리티 연금에만 기대하고 있다간 앞으로 닥칠 고령화 시대에 길고 긴 노년을 궁핍하게 살아야 하는 처지에 놓일 것이다.     젊어서야 부자가 가난해질 수 있고 가난해도 노력하면 부를 쌓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크지만 노년들에게 이런 ‘인생역전’을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다. 그래서 은퇴 연금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금부터 앞뒤로 50년만 생각해보자. 1960년대에 인생 60을 넘긴 환갑잔치는 인생의 가장 큰 이벤트 가운데 하나였다.     무사히 60년을 살고 노년을 맞이하는 이들은 큰 잔치를 열고 남은 인생의 무병장수를 기원했다.     현재 모습을 보자. 요즘 환갑잔치를 크게 하는 모습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칠순이나 팔순 잔치쯤 돼야 자식들과 손주들 불러모아 놓고 제대로 축하받을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60세가 넘었다는 사람이 과거의 50대 정도로 보이는 외모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50년 후는 어떨까. 최근 유엔이 발표한 ‘세계 인구전망 2015년 개정판’에 따르면 지금부터 불과 32년 후인 2050년 대한민국의 경우 전체 인구에서 60세 이상의 시니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명 가운데 4명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 세계적으로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돼 현재 12.3% 수준인 60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30년에는 21.5%, 2100년엔 28.3%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의료기술과 생활환경이 좋은 이곳도 인구의 고령화는 급속도로 늘어나 예상수명이 90세를 넘어가는 시대가 바로 코앞에 다가온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60세 이상 시니어 인구가 많아지면 미국에선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건강한 노년 인구가 많아질수록 이들은 경제의 소비 주체로 자리 잡게 된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각종 서비스 산업 및 소비산업이 중심으로 떠오를 것이다.     더는 조용히 인생의 황혼을 살아가는 노년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젊어서 열심히 일해 모아놓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30~40년에 달하는 은퇴 기간을 맘껏 즐기고 누리는 모습으로 변해갈 것이 분명하다.   앞서 언급한 은퇴연금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고령화 시대에 가장 인기를 끌 상품이 바로 평생 보장 연금일 것이다. 이 플랜은 일정 기간 돈을 모아서 적립된 금액을 바탕으로 하거나 목돈으로도 시작할 수 있는 데 일단 연금을 타기 시작하면 그 금액을 사망할 때까지 보장받는 것이다.     만일 65세 여성이 은퇴 계좌에 50만 달러를 모아 놓았고 이 돈을 A 보험회사의 평생 연금 플랜으로 받을 때 이 나이에 해당하는 A사의 지급비율이 5%라고 가정하면 이 여성은 평생 매년 2만5000달러의 연금을 받게 된다.     이 돈은 해당 가입자가 아무리 오래 살아도 원금의 유무와 관계없이 무조건 지급되며 가입자가 사망하면 계좌 잔액은 모두 수혜자에게 지급된다.   평생 보장 연금 플랜은 돈을 적립할 때 보너스는 물론이고 미리 연금의 액수를 어느 정도 보장받을 수 있는 옵션까지 제공하고 있어서 이를 미리 알고 준비하면 길고 긴 노년을 멋지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문의:(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연금 보장 평생 보장 노년 인구 세계 인구전망

2025-02-05

워싱턴은 가장 외로운 지역

워싱턴지역 주민들이 전국적으로 가장 외롭게 살아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상공회의소의 최근 보고서에서 의하면 미국 전체 가구의 28.6%인 3716만명이 1인가구를 형성하고 있었다.   최근 10년새 1인가구 증가분 500만 가구 중 펜데믹 이후 증가분은 240만 가구에 달했다.   워싱턴DC는 전체 가구의 48.6%인 32만6970명이 1인가구로 살아가,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워싱턴DC 남성의 27.9%, 여성의 30%가 혼자살고 있었다.     2021년 이후 매년 3%씩 증가하는 등, 펜데믹 이후 1인가구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도 전체 가구의 43.6%가 7만6672명이 1인가구를 형성해 8위를 차지했다.   알렉산드리아 여성의 30.5% 혼자 살고 있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남성 비율은 21.5%였다,   메릴랜드 볼티모어는 전체 가구의 42.9%인 10만9332명이, 버지니아 리치몬드는  전체 가구의 42.9%인 4만5597명이 1인 가구로, 각각 10위와 11위를 차지했다.     10위권 지역은 워싱턴DC와 알렉산드리아 외에도 알라배마 버밍햄, 미주리 세인트루이스, 조지아 애틀란타, 오하이오 클리블랜드,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 오하이오 신시내티,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등이 꼽혔다.   미국인의 1인가구 비율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 조사에 의하면 전세계 60세 이상 노인의 38%가 배우자, 성인 자녀, 며느리, 사위, 손자, 조카 등 대가족을 이루고 살고 있지만, 미국은 6%에 불과했다. 미국 60세 이상 노인의 46%는 배우자나 파트너 등과 주택을 공유하는 형태로 살았다.   60세 이상 노인의 독거 비율은 30%로, 세계 평균 16%의 두배에 달했다.     한인 이민 1세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1인 가구 문제도 부각되고 있다.   밀워키주립대의 보고서에 의하면 전국 이민1세 노인 인구가 2060년 2200만명으로 늘어난다.   전체 노인 인구의 8%가 아시안 이민 노인 인구가 차지하게 된다.     조지아주립대 노인연구소에 의하면  “아시아계 노인들은 개인 소유의 사업체가 있거나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가 많아 오히려 자립생활이 가능한 계층으로 오해받고 있으나, 사실상 정치적, 경제적으로 거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소수자 그룹”일 뿐이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한인 노인 상당수가 돌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민자의 특성상, 정보 접근이 제한돼 있고 주류사회 일원이 아니라는 심리적 위축 때문에 자신의 어려움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가족 내에서도 세대간 단절과 소통 부재로 자녀에게 의존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강하다. 은퇴한 부모와 교류하지 않는 한인2세도 많아 안타까운 사례가 곳곳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워싱턴 지역 워싱턴지역 주민들 노인 인구 가구 문제

2025-01-27

토론토 인구 710만 돌파

      토론토와 인근 지역의 인구가 공식적으로 71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에만 30만 명에 가까운 인구가 유입되며, 인구 증가율이 전국 평균(3%)과 주요 대도시 평균(3.5%)을 모두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이 지난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7월 기준 토론토 광역 대도시권(CMA)의 인구는 71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대비 4% 가까이 증가했다.   이번 통계는 토론토 대도시권(CMA) 전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CMA는 북쪽의 심코호에서 남쪽 온타리오호까지, 동쪽의 에이잭스에서 서쪽의 옥빌까지 5,902㎢에 달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 해외 이민자 유입에 있다고 분석했다. 매티 세미아티키 토론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대도시로의 유입이 지속되는 이유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토론토뿐만 아니라 몬트리올과 밴쿠버에서도 비영주권자(NPR)의 증가가 가장 중요한 인구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신규 영주권자 수는 전년 대비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해 캐나다에 유입된 50만 명의 이민자 중 약 25%가 토론토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미아티키 교수는 “경제 성장의 상당 부분이 이민자 유입에 기인한다”며, “최근 캐나다의 생산성 문제를 고려할 때, 해외 이민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토론토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인구도 적지 않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타 지역으로 이주한 인구가 유입 인구보다 약 1만 명 많았다. 다만, 이 수치는 예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세미아티키 교수는 “연방정부가 향후 몇 년간 이민 목표를 대폭 축소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경제에도 상당한 압박이 있을 것”이라며, “신규 이민자는 노동력 공급과 지역 경제 활력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에서 주목할 점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토론토 지역 인구가 연평균 10만 명 내외로 증가했던 반면, 2023년에는 25만 명 이상 급증했다는 점이다. 최근 2년간 유입된 인구만 50만 명을 넘어섰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토론토 인구 토론토 대도시권 토론토대학교 도시계획학 인구 증가율

2025-01-22

오스틴 인구의 40%가 밀레니얼세대

 오스틴이 미전국 주요 도시 가운데, 밀레니얼 세대 인구가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최근에도 이 연령층 주민들이 제일 많이 이주해오는 도시 톱 10에 들었다. 달라스도 밀레니얼 세대 인구 비율이 33%가 넘어 상위권인 전국 37위에 이름을 올렸다.   인구통계학자들이 분류하는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중반 또는 2000년대 초반까지의 출생자들로 통상 25~44세까지의 연령대 주민들이며 이 세대는 소득이 높고 많은 사람들이 젊은 가족을 두고 있어 전출 또는 전입하는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금융 기술 업체 ‘스마트에셋’(SmartAsset)이 연방센서스국의 관련 자료(2023년)를 토대로 미전국 271개 주요 도시의 전체 인구 중 밀레니얼 세대가 차지하는 비율(total millennials as % of population)과 이주해 온 밀레니얼 세대의 비율(millennials moved in as % of population)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오스틴은 전체 인구의 40.79%가 밀레니얼 세대로 271개 도시 중 네 번째로 높았다. 또한 2023년 한해동안 오스틴으로 이주해 온 주민 중 밀레니얼 세대의 비율은 10.69%(10만3,738명)로 전국에서 9번째로 높았다. 텍사스 주내 도시들의 밀레니얼 세대 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콘로가 전체 인구의 34.94%(전국 순위는 19위)로 오스틴 다음으로 높았고 이어 루이스빌(34.20%-30위), 어빙(33.66%-36위), 달라스(33.65%-37위), 뉴 브라운펠스(33.27%-44위), 킬린(32.94%-48위), 휴스턴(32.73%-52위), 포트워스(30.80%-84위), 덴튼(30.72%-87위), 리차드슨(30.32%-104위), 샌안토니오(30.30%-106위)의 순이었다. 이밖에 플레이노는 29.54%(128위), 알링턴은 29.19%(143위), 엘 파소는 28.73%(163위), 프리스코는 27.94%(194위), 웨이코는 27.14%(221위), 라레도는 26.89%(229위), 맥앨런은 26.73%(232위), 칼리지 스테이션은 23.16%(258위)였다. 오스틴 다음으로 2023년 이주민 중 밀레니얼 세대의 비율이 높은 텍사스 주내 도시는 7.77%(17만6,819명)의 휴스턴으로 전국 51위에 올랐으며 루이스빌이 7.37%(9,790명)로 전국 59위, 킬린이 7.32%(1만1,433명)로 전국 63위, 달라스가 7.30%(9만3,982명)로 전국 64위, 덴튼이 7.13%(1만1,175명)로 전국 68위, 리차드슨이 7.10%(8,267명)로 전국 69위, 그렌드 프레리가 7.08%(1만4,120명)로 전국 70위, 어빙이 7.00%(1만7,612명)로 전국 73위, 프리스코가 6.94%(1만5,452명)로 전국 49위, 샌안토니오가 6.86%(10만1,366명)로 전국 78위 등이었다. 한편, 전체 인구 중 밀레니얼 세대 비울이 가장 높은 도시 전국 1위는 42.09%에 달한 시애틀이었다. 2위는 덴버(40.95%), 3위는 뉴저지주 저지 시티(40.81%), 4위는 오스틴(40.79%), 5위는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40.66%)였다. 2023년 이주민 중 밀레니얼 세대의 비율이 제일 높은 도시 전국 1위는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로 12.67%였고 그 다음은 캠브리지(12.15%), 덴버(11.78%), 조지아주 샌디스프링스(11.63%), 시애틀(11.51%)의 순이었다.   손혜성 기자밀레니얼세대 오스틴 오스틴 인구 도시 전국 한해동안 오스틴

2025-01-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