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건강 칼럼] 가슴 쓰리고 목 칼칼하면 ‘위산 역류’ 의심

박모씨는 40대 중반 남성으로 식품점을 운영하고 있다. 약 일 년 전부터 점점 목이 쉬는 것을 느꼈고, 3개월 전부터는 더 악화했다. 처음에는 감기에 걸려서 목이 쉬었다고 생각했는데 좋아지지 않고 점점 더 나빠졌다. 또 가끔 기침하고 흰 가래가 나와서 답답함을 느꼈다. 그러나 음식을 삼키거나 숨을 쉬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었다.     박씨는 과거에 특별한 질병을 앓은 적이 없고 복용하는 약물도 없었다. 생활 습관은 커피를 하루 3∼4잔, 담배를 하루 한 갑 피우고 있고, 술은 가끔 마시고 있다.     박씨는 직업 관계상 일주일에 6일 이상 아침 일찍 출근해서 저녁 늦게 퇴근했다. 퇴근 후 저녁 식사를 늦은 시간에 하고 바로 잠을 자는 편이며, 운동은 거의 하지 않았다.     특이점으로 지난 일 년간 몸무게가 10킬로그램 이상 늘었다. P 씨는 만성적으로 목이 쉬면 후두암 때문일 수 있다는 이야기를 주위에서 듣고 병원을 찾아왔다.     검진 상 혈압은 정상이고 체중은 과체중에 속했다. 인후에 흰 가래가 고여 있는 것을 발견했고 폐 음은 정상이었다. 현재의 병력과 검진을 바탕으로 위산 역류병(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으로 일단 진단했다. 박씨는 커피, 과체중, 늦은 저녁식사 등이 위산 역류병을 일으키는 원인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고 약물치료를 시작했다.   위의 증례는 흔히 보는 ‘위산 역류병’의 예다. 현재 미국인의 10%가 위산 역류 증상을 매일 느낀다고 한다. 33%는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이상 역류 증상을 느낀다고 한다.     위산 역류가 생기는 가장 흔한 경우는 식도와 위 사이의 괄약근이 약해진 경우다. 선천적으로 괄약근이 약한 경우도 있지만, 기름진 음식이나 카페인, 알코올 등이 괄약근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복부 비만도 복강 내 압력을 증가시켜서 역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식사 후에 바로 누워 있을 때도 체위성으로 위산의 역류를 유발할 수 있다. 다른 원인으로 맵고 짠 음식을 먹는다든지 칼슘 등을 과량 섭취할 때 위산이 증가해서 역류가 생길 수 있다.   위산 역류병을 진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병력이다. 특히 식사 후 가슴이 쓰리거나(heartburn)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목이 칼칼하고 흰 가래가 나온다거나, 노래를 부를 때 고음이 나오지 않는 등의 증상들은 모두 위산이 역류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이밖에 내용물이 입으로 역류하는 느낌인 신트림(Regurgitation) 증상, 목의 이물감, 천식 증상, 메스꺼움, 때에 따라 치아부식 증상도 나타난다.     병력으로 진단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내시경을 해서 위산으로 인한 식도의 손상을 볼 수 있다. 또 위산 역류병이 의심 가는 경우 위산 억제제를 실험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다.     오랫동안 위산 역류병을내버려 두면 각종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만성 역류로 인해 식도 하단부 세포가 변화하는 질환인 ‘바렛 식도(Barrett’s esophagus)‘다. 최근 미국에서 발병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만성 기침이나 천식이 악화하기도 한다.     ▶문의:(213)383-9388 이영직 원장 / 이영직 내과 원장건강 칼럼 가슴 위산 위산 역류병 위산 억제제 오랫동안 위산

2025-03-18

[음식과 약] 아침에 먹지 말라는 음식의 진실

아침에 먹지 말아야 하는 음식은 없다. 바나나를 아침 공복에 먹으면 마그네슘과 칼륨이 혈액 속으로 들어와서 균형 상태가 깨진다고 한다. 틀린 말이다. 바나나 1개에 300㎎으로 칼륨이 풍부한 건 맞다. 마그네슘은 바나나 1개에 30㎎ 정도로 칼륨보다는 적게 들어있다. 하지만 공복에 바나나를 먹는 정도로 인체의 전해질 균형을 깨뜨릴 정도는 아니다.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으로 보면 칼륨의 하루 충분섭취량은 3500㎎이다. 아침에 바나나 1개를 먹어도 하루 칼륨 섭취량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신장 기능에 문제가 없는 건강한 사람이라면 이 정도로 체내 전해질 균형이 깨지지 않는다. 당연히 아침 공복에 바나나를 먹어도 된다.   빈속에 우유를 마시면 칼슘과 카제인이 위산 분비를 촉진해 좋지 않다고 한다. 고구마, 귤, 토마토, 커피도 같은 이유로 먹으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모든 음식은 위산 분비를 촉진한다. 우유처럼 단백질이 풍부한 음료는 위산 분비를 더 자극한다. 음식이 식도를 통해 위로 들어왔는데 위산을 분비하지 않는다면 그게 더 이상한 일이다.   우유 속 유당(젖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빈속에 우유를 마시고 배에 가스가 차거나 아플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단백질과 같은 영양소가 체내에 덜 흡수되지는 않는다. 대개 유당불내증이 있어도 한 번에 5g, 우유로 반 잔(100㎖)까지는 별문제가 없다. 다른 음식과 함께 먹을 경우는 희석되기 때문에 유당을 더 먹어도 괜찮을 수 있다. 하루 유당 12g, 우유로 큰 컵 한잔까지는 버틸 수 있는 사람이 대다수다.   게다가 이렇게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이 우유를 마시면 2형 당뇨병 위험이 줄어드는 추가적 유익을 누릴 가능성이 있다. 2024년 1월에 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에 실린 연구로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히스패닉 1만2653명을 대상으로 6년 동안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유당불내증이 있어도 우유를 많이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체질량지수(BMI)가 낮고, 2형 당뇨 위험이 3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 소화에 문제가 없는 사람에게는 우유 섭취량과 당뇨병 위험 감소에 연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물론 이 연구 결과만 가지고 인과관계를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에게 유당이 오히려 장내 비피도박테리아 같은 유익균을 늘리고 단쇄지방산이 더 많이 생기도록 하여 식욕, 인슐린 분비, 간의 지방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거라는 게 연구진의 추측이다. 쉽게 말해 유당불내증인 사람이 적당량의 우유를 마시면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유당이 대장에서 유익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잡식 동물인 인간에게는 편식보다 골고루 먹는 게 건강에 좋은 전략이다. 정재훈 / 약사·푸드라이터음식과 약 음식 진실 우유 섭취량 우유 소화 위산 분비

2024-02-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