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오데사 파일’ 53년만에 속편…포사이스, ‘오데사의 복수’ 곧 출간

냉전시대를 풍미한 3대 첩보 스릴러 작가 중 유일한 현역인 프레데릭 포사이스(87·사진)가 곧 신작을 출간한다. 전 나치 친위대원들의 지하조직을 다룬 ‘오데사 파일’의 속편을 무려 53년 만에 내는 것이다. 제목은 ‘오데사의 복수(The Revenge of Odessa)'. 오데사는 지명이 아니라 ‘친위대(SS) 대원들의 조직’이라는 독일어 머리글자다.   존 르 카레의 조지 스마일리, 이언 플레밍의 007 제임스 본드와 달리 포사이스의 작품엔 한 주인공이 계속 등장하는 경우가 드물다. 이번 속편엔, 세월이 흐른 탓에 같은 주인공이 아니라, 그의 손자를 내세웠다. 독자들은 유전의 법칙을 믿어보는 수밖에.   내용은 미공개다. 출판사가 떡밥만 찔끔 던졌다. 전편의 주인공 페테르 밀러의 손자 게오르크가 나치를 부활시키려는 ‘오데사’를 추적한다는 정도다. 할아버지는 기자였고, 손자는 팟캐스터로 돼 있다.     ‘오데사 파일’은 그럴듯한 음모론과 박진감 넘치는 플롯으로 베스트셀러가 됐다. 기본 구상은 상상력이지만, 디테일은 취재에 근거했다. 작가의 묘사가 얼마나 그럴듯했는지, 지금도 '오데사’라는 조직이 진짜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     책에는 실존 인물이 제법 나온다. 저명한 나치 헌터 지몬 로젠탈이 페테르에게 한 수 가르쳐주는 장면이 있다. 또 페테르가 쫓던 에두아르트 로슈만도 ‘리가의 도살자’라 불렸던 강제수용소장이었다. 책에는 로슈만이 도주 중 발가락 몇 개를 잃었다고 나오는데,  실제 그가 1977년 파라과이에서 사망했을 때 검시관이 소설과 똑같았다고 증언했다. 로이터와 BBC 기자 출신인 포사이스의 취재력을 잘 알 수 있다.   ‘오데사 파일’은 마치 마감에 쫓기듯 허겁지겁 마무리됐다는 인상도 준다. 주인공은 결정적인 순간에 의식을 잃고, 도망갈 놈은 다 도망가고, 뒤늦게 백기사로 뛰어든 이스라엘 첩보원의 존재감은 애매하고… 이런 어수선함을 신작에선 어떻게 만회할지도 관심이다. 또 기자인 주인공이 취재원의 입을 열기 위해 고문을 가하는 뜨악한 장면도 있다. 얘가 왜 이러나, 하는 독자는 끝에 가서야 작가의 복선을 풀게 된다.   포사이스는 1971년 데뷔작 ‘자칼의 날’로 단박에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다. 기자 시절 프랑스 경호원에게 주워들은 얘기를 바탕으로 취재해 딱 35일 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그의 취재는 그냥 취재가 아니다. ‘자칼의 날’로 벌어들인 인세를 쏟아부어 용병을 고용, 1972년 아프리카의 적도기니에서 실제 쿠데타를 모의한 적이 있다고 한다. 배신자가 나온 탓에 무산됐지만, 이때의 경험은 1974년 ‘전쟁의 개들’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암시장 무기가 세관을 어떻게 통과해 용병에게 건네지는지, 복잡다단한 행정절차가 지루하리만큼 상세하게 묘사돼 있다.   포사이스는 ‘오데사의 복수’를 영국의 작가이자, 형사 변호사 겸 복서인 토니 켄트와 공동 집필하고 있다. 영국에선 8월, 국내에선 10월에 각각 출간된다.  남윤호 기자·발행인영국 오데사 오데사 파일 주인공 페테르 나치 친위대원들

2025-03-30

프리스코 34.16% 최고, 오데사 1.58% 최저

 미전국 주요 도시 가운데, 회사에 출근하지 않고 집에서 원격으로 근무하는 재택근무자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와 가장 낮은 도시 모두 텍사스 주내 도시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계적인 코로나-19 대유행과 지속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회사 사무실이 아닌 집에서의 원격 근무는 새로운 근무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지나간 후 직원들의 사무실 출근을 다시 시행하는 업체들이 크게 늘어났지만 미국내 상당수 도시에서는 여전히 많은 직원이 재택근무를 선호하고 있어 회사와 갈등을 겪고 있기도 하다. 금융 기술 기업 ‘스마트에셋’(SmartAsset)이 미전국 349개 주요 도시(인구 순)를 대상으로 전체 근로자 중 재택근무자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텍사스의 프리스코가 전체 근로자의 34.16%인 4만29명이 재택근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1위에 랭크됐다. 반면, 텍사스 주내 오데사는 전체 근로자의 불과 1.58%인 1,036명만이 재택근무를 하는 것으로 집계돼 349개 도시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재택근무자 비율이 전국 최고인 도시와 최저인 도시가 모두 텍사스 주내 도시들이어서 관심을 끌었다. 텍사스 도시중 재택근무 비율이 높은 도시는 오스틴(28.13%-전국 11위), 맥키니(24.23%-27위), 플레이노(24.08%-28위), 리차드슨(23.93%-32위), 슈가 랜드(22.39%-46위), 라운드 락(21.37%-50위), 앨런(21.22%-52위), 뉴 브라운펠스(20.87%-57위), 더 우드랜즈(19.44%-67위), 어빙(19.17%-70위), 루이스빌(16.93%-104위), 펄랜드(16.65%-108위), 캐롤튼(15.85%-124위), 맥앨런(14.89%-136위) 등의 순이었다. 텍사스 최대 도시인 휴스턴의 경우는 11.97%로 전국 198위를 기록했으며 제2 도시인 달라스는 14.02%로 146위였다. 이밖에 포트 워스는 13.64%(153위), 샌 안토니오 12.84%(171위), 알링턴 12.34%(186위), 엘 파소는 8.67%(280위)였다. 재택근무자 비율이 가장 낮은 편에 속한 텍사스 주내 도시들은 오데사에 이어 뷰몬트(4.06%-347위), 미드랜드(4.59%-345위), 코퍼스 크리스티(4.91%-344위), 아마릴로(6.00%-337위), 웨이코(6.03%-336위), 파세디나(6.06%-335위), 라레도(6.08%-334위) 등이었다. 한편, 프리스코에 이어 재택근무자 비율이 제일 높은 도시 2위는 캘리포니아주 버클리(31.29%)였고 3위는 노스 캐롤라이나주 샬롯(29.71%), 4위는 노스 캐롤라이나주 캐리 타운(29.40%), 5위는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29.06%)였다. 6~10위는 콜로라도주 하일랜드 랜치(28.76%), 버지니아주 알링턴(28.60%), 워싱턴주 시애틀(28.46%), 인디애나주 카멜(28.29%), 콜로라도주 볼더(28.28%)의 순이었다. 이밖에 워싱턴 DC는 27.28%(16위), 애틀란타 25.48%(20위), 샌프란시스코 24.40%(25위), 보스턴 17.71%(90위), 시카고 17.37%(98위), 필라델피아 16.20%(119위), 뉴욕 13.37%(160위), 라스베가스 11.57%(210위), 디트로이트는 10.73%(228위)였다.   손혜서 기자미국 오데사 재택근무자 비율 재택근무 비율 상당수 도시

2025-01-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