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가담 신용도용 사기단 체포…개인정보 훔쳐 카드 등 발급

한인이 포함된 신분도용 사기단이 검거됐다. 이들은 남가주 주민 수백 명의 개인정보를 훔쳐 크레딧카드, 신분증 발급 등에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수사 기관에 따르면 한인 1명과 중국계 5명으로 구성된 사기단은 소셜 시큐리티 번호, 생년월일, 주소 등을 빼돌려 범죄에 사용했다는 것이다.     2일 이민세관단속국(ICE)에 따르면 스콧 정(30·한국이름 현우) 씨가 기기 사용 사기 공모, 불법 사용 목적의 허위 신분증 소지 등 2건의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정 씨의 형량 선고는 오는 5월 5일에 있을 예정이다.      정 씨와 함께 사기 행각을 벌인 5명의 중국계에게는 이미 형량이 선고됐다. ICE는 정 씨의 공범인 스티븐 청(36·치노힐스·42개월형), 치안 궈(37·치노힐스·33개월형), 밍 왕(28·템플시티·18개월형), 자오주 얀(30·알함브라·12개월형), 레이첼 류(35·치노힐스·50개월형) 등은 비자 사기, 허위 신분증 제조, 사기 방조 및 교사 등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연방교도소에 수감됐다고 밝혔다.   ICE의 한 관계자는 “이들은 불법으로 만든 신용카드로 대형 체인점과 백화점 등에서 최소 120만 달러를 사용했다”며 “피해 업체들 중에는 노드스트롬, 메이시스, 삭스 피프스 애비뉴(Saks  등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번 수사는 ICE와 연방수사국(FBI), 국토안보수사국(HSI), 법무부 산하 폭력조직범죄수사부(VOCS), 그리고 알함브라 경찰국 및 아케디아 경찰국의 공조로 진행됐다.   ICE 측은 “현재 국무부 산하 외교안보부(DSS)가 추가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수사 결과 이들은 미국 입국 시에도 허위 신분증을 이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신용도용 개인정보 사기단 체포 신분도용 사기단 한인 가담

2025-04-02

[사설] 급증하는 전화 사기 주의 필요

 전화사기 피해가 크게 늘었다. 전기와 수도 요금 납부를 종용하면서 금품을 요구하는 수법이다. 25일 남가주에디슨(SCE)은 지난해 자사 고객의 전화사기 피해액이 66만7000달러에 이른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작년 42만6000달러와 비교해 57% 급증했다.     문제는 이 같은 전화사기가 매년 늘고 피해액도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화를 통한 사기는 특히 노년층을 타겟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직원을 사칭해 단전과 단수로 협박한다. SCE 측은 전기를 끊겠다며 금품을 요구할 때 절대로 제공하지 말 것을 당부한다.     유틸리티 회사 뿐만 아니라 공공단체의 후원금을 요청하는 사기도 많다. 지난해에는 가주고용개발국(EDD)을 사칭하는 전화사기가 기승을 부렸고 연말에는 쇼핑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악성 프로그램을 심는 범죄가 많았다. 또한 이메일 첨부 파일을 통해 정보를 도용하기도 한다.     범죄 수법은 날로 진화하고 교묘해지지만 예방책은 간단하다. 일단은 금품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고 소셜번호, 금융 정보 등을 제공해서는 안된다.     의심스러운 전화나 이메일을 받았을 경우 유틸리티 회사나 관공서에서 직접 연락해  확인해야 한다.     전화 등을 통한 신용도용 사기는 조금만 주의하면 막을 수 있다. 철저한 확인이 피해 예방의 최선책이다.사설 급증 전화 전화사기 피해액 전화 사기 신용도용 사기

2022-01-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