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교보문고, ‘The Scent of Page’(책향) 으로 선보이는 향기마케팅

 교보문고는 독자들에게 몰입감 있는 독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The Scent of Page’(책향)을 중심으로 한 향기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2015년 서점업계 최초로 브랜드향을 도입한 이래, 책향은 단순한 제품을 넘어 독서의 영감을 전하는 매개체로 자리 잡았다.   향기는 공간의 첫인상일 뿐 아니라 감각을 자극해 브랜드를 기억하게 하는 강력한 요소다. 교보문고는 매장을 찾는 고객들이 편안하게 독서에 몰입할 수 있도록 공간 전체에 브랜드향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고객들로부터 “교보문고에서 나는 향기는 무엇인가?”, “구매할 수 있는가?”와 같은 문의가 쇄도하면서, 2018년에는 이를 제품화한 ‘The Scent of Page’가 탄생했다.   교보문고의 브랜드향은 단순한 방향제를 넘어 고객의 일상으로 확장되었다. 책향은 고객의 공간과 생활 속에서 교보문고의 숲과 같은 편안함과 영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향되었다.   책향은 교보문고만의 방식으로 시트러스, 피톤치드, 허브, 천연 소나무 오일을 활용해 조향되었으며, 첫향은 베르가못과 레몬의 상쾌함으로 시작하여 중간향 유칼립투스, 피톤치드, 로즈마리의 싱그러움, 끝향 삼나무와 소나무의 잔잔한 여운을 느낄 수 있다. 이는 교보문고 매장에서 느끼는 숲 속의 평온함과 몰입감을 그대로 재현한다.   최근 리브랜딩을 통해 책향은 한층 더 세련된 디자인과 확장된 제품 라인업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딥 포레스트 그린 컬러와 책을 모티브로 한 패키징은 숲의 깊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디퓨저, 룸스프레이, 차량용 방향제, 샤쉐, 종이 방향제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고객의 선택 폭을 넓혔다. 특히 새롭게 추가된 패브릭 퍼퓸은 향기를 개인화된 경험으로 확장하며 일상생활에서 더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The Scent of Page’는 교보문고의 브랜드 가치인 “나를 깨우는 생각의 숲”을 감각적으로 전달한다. 교보문고 김상훈 대표이사는 “독서의 즐거운 추억이 고객의 공간 속에서 향기로 되살아나길 바란다”며 “교보문고가 주는 영감과 편안함이 독자들의 일상 곳곳에 스며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향기마케팅 교보문고 교보문고 매장 교보문고 김상훈 시트러스 피톤치드

2025-02-05

조지아 복숭아는 옛말, 이제 '시트러스' 뜬다

조지아를 대표하는 특산물 복숭아보다 레몬, 라임, 오렌지와 같은 감귤류(시트러스)의 재배가 최근 크게 늘었다.     지역매체WSB-TV는 10년 전 조지아에 감귤나무 4700그루에서 현재 50만 그루가 넘어 지난 봄 '조지아 감귤 커미션(GCC)'이 설립될 정도라며 "감귤류 연구와 마케팅이 필요할 만큼 시장이 커졌다"고 18일 보도했다.   조지아 감귤협회(GCA)에 따르면 조지아에서 2024년에 2000~3000만 파운드의 과일을 생산할 준비가 돼 있다.     조지아 감귤 재배가 늘었다고는 하나, 플로리다의 재배량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조지아 관계자들은 특히 북쪽 지역에서 가능성을 보고 있다. 현재 조지아 전역에 감귤농장이 약 150곳이 있다고 알려졌다.   매체는 조지아 북쪽 토마스 카운티의 '조니나 농장'의 사례를 전했다. 이곳은 5에이커 부지에 감귤나무 640그루를 재배하고 늦가을에 수확한다. 농장주는 "2016년 추위에 강한 사츠마 오렌지 나무를 심었다. 단맛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감귤 재배는 소규모 가족 농장도 관리할 수 있고, 많은 면적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과거 조지아에서 감귤류 재배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로리다와 달리, 조지아의 한파 속에서 감귤 나무가 살아남기 버거웠으나, 이제 조지아의 겨울이 따뜻해지며 감귤재배가 수월해진 것이다.     실제로 클라이밋 센트럴에 따르면 조지아 남서부의 평균 겨울 기온은 1970년 이후 6.5도 증가했다.     조지아 평균 기온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겨울처럼 급작스러운 기온 저하가 올 수도 있는 등 감귤 재배 환경이 녹록지는 않다는 것이 농장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따라서 추위를 잘 견딜 수 있는 나무 품종을 연구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지아 기자시트러스 조지아 조지아 감귤협회 조지아 복숭아 조지아 관계자들

2023-12-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