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US뉴스 2025년 최고 대학원 순위 학과별 1위는?

매년 최고 대학 순위(Best University Rankings)를 발표하는 US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가 지난 8일 미국 최고 대학원 순위를 발표했다. 이번 순위는 경영, 교육, 공학, 법학, 의학, 간호 등 다양한 분야의 대학원 프로그램을 평가했다. 졸업생 취업 성과와 관련된 3 가지 새로운 법학 순위와 오랜만에 업데이트된 인문사회 분야 박사 과정 순위도 주목을 끌었다. 비록 민간 업체에서 선정한 것이지만 순위는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는 학생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전문 분야에서의 경력 발전과 높은 연봉을 목표로 하는 이들에게 순위는 학교 선택의 중요한 가이드가 될 수 있다. 〈표 참조〉   올해 처음으로 졸업생 취업 성과를 반영한 3 가지 법학 순위가 추가됐다. 500인 이상 변호사를 고용하고 있는 대형 로펌, 공익 부문, 연방 사법 서기직에서 일하는 졸업생 비율을 기준으로 상위 40개 로스쿨을 선정했다. 또한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영문학, 역사학, 정치학, 사회학 박사 과정 순위가 새롭게 발표되었으며, 경제학 및 심리학 박사 과정도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순위를 선정했다.     1.최고 의과대학원 US뉴스에서는 리서치(Research)와 1차 진료(Primary Care) 등 두 부문으로 나누어 매년 의과대학원을 평가해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순위를 발표하지 않고 대신 4단계 그룹으로 나눴다. 2025년 리서치 부문에서 티어1그룹에 텍사스의 베일러 칼리지 의대, 미네소타의 메이요 클리닉 앨리스 의대, 뉴욕의 로체스터대 의대, 텍사스 주립의 사우스웨스턴 메디컬 센터가 포함됐다. 1차 진료 부문에서는 노스캐롤라이나의 이스트캐롤라이나 주립 의대, 매사추세츠 주립 챈 의대 등이 티어1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순위에서는 동료 평가 및 레지던시 평가 설문조사가 사용되지 않았다.   2.최고 법과대학원(로스쿨) 법학 분야에서는 스탠퍼드, 예일이 공동1위를 차지했으며 시카고대(3위), 버지니아 주립(4위), 유펜(5위)이 뒤를 이었다. 로스쿨 분야별 순위로는 비즈니스/기업법, 헌법, 형법, 형사, 분쟁해결, 환경, 의료, 지적 재산, 국제, 법률 저술, 세무 등 13개 세부 전공별 순위도 발표됐다. 파트타임 학생이 등록한 로스쿨 순위에서는 조지타운대가 1위를 차지했고 조지워싱턴대, 포덤대 법대가 공동 2위를 차지했다.     3.최고 경영대학원(MBA) 경영대학원 순위에서는 유펜의 와튼 스쿨이 단독 1위에 올랐고, 시카고대와 노스웨스턴이 공동 2위를 기록했다. 컬럼비아의 스턴 스쿨은 12위에서 9위로 상승하며 톱 10에 새롭게 진입했다. 반면, UC버클리의 하스스쿨, 버지니아 주립의 다든스쿨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파트타임 MBA에서는 노스웨스턴, UC 버클리, 시카고대가 공동 1위를 차지했다.   4.최고 간호대학원 간호학 석사 과정 순위에서 에모리대가 1위에 올랐고, 존스홉킨스가 2위로 내려갔다. 부문별 순위로 듀크대 간호대학이 행정, 가족, 소아 1차 진료, 급성 및 1차 진료 노인학, 정신 건강 등을 포함한 석사 간호 실무 전문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간호학 박사 과정 순위에서 존스홉킨스가 여전히 1위를 유지했다. 듀크와 워싱턴 주립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5.최고 교육대학원 교육학 순위에서는 위스컨신 주립 매디슨 캠퍼스가 1위를 차지했고 컬럼비아의 티처스 칼리지, 미시간 주립 앤아버 캠퍼스, 밴더빌트대 피바디 교육대학원이 공동 2위가 됐다. US뉴스는 9개 교육 전문분야 순위를 매겼는데 미시간 주립이 교육행정, 초등교사 교육, 고등교육 행정, 중등 교사 교육 등 4개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다.   6.최고 공과대학원 공학 분야에서는 MIT가 1위를 유지했으며, 스탠퍼드(2위), UC 버클리(3위)가 뒤를 이었다. UC 샌디에이고는 한 단계 올라 10위로 톱 10에 새로 진입했다. MIT는 항공우주, 화학공학 등 6개 세부 전공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장병희 기자법과대학원 스탠퍼드 과정 순위 법학 순위 이번 순위

2025-04-13

비비큐 치킨, 브랜드 파워 급상승

한국 치킨 브랜드의 간판인 비비큐 치킨((BBQ chicken/bb.q Chicken·회장 윤홍근)이 미국의 메이저 패스트푸드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계적인 브랜드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비비큐 치킨은 최근 세계적 규모의 크라우드 소싱 검색 및 소비자 조사·데이터 서비스 회사인 옐프(Yelp/www.yelp.com)가 선정한 ‘2025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2025 Fastest Growing company)’ 조사에서 전체 7위에오르는 놀라운 성적을 기록했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구글 등 다국적 기업에 의해 지원되는 지역 검색 서비스로 잘 알려진 옐프는 지난해 고객 리뷰 수, 개점 수 및 검색 트래픽 등을 종합해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리테일 브랜드 50개를 선정했다.     여기에는 스타벅스, 던킨도넛, 도미노, 맥도널드, 달러 트리(Dollar Tree), TJ 맥스(TJ Max) 등 미국을 대표하는 기라성같은 유명 브랜드들이 대거 포함됐다.   비비큐 치킨은 이번 조사에서 ▶카페·디저트(Food) ▶식당(Restaurant) ▶쇼핑몰(Shopping) 등 세 가지 카테고리를 망라한 전체 순위에서 7위에 올랐는데, 특히 레스토랑 카테고리 하나만 고려할 때는 전체 2위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올해 비비큐 치킨이 새롭게 순위에 진입한 회사라는 것을 감안할 때 엄청난 성공으로, 특히 같은 레스토랑 카테고리에서 미국의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체인인 맥도널드가 25위, 타코벨이 33위를 차지했다는 것과 비교할 때 비비큐 치킨의 브랜드 파워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룬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종원 기자비비큐 치킨 옐프 순위 7위 BBQ chicken bb.q Chicken 윤홍근 회장 2025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 옐프 2025년 Fastest Growing company

2025-04-01

LA 한인은행들 수익성 개선 시급

지난해 LA카운티에 기반을 둔 은행 중 LA에 본사를 둔 5개 한인은행들의 수익성 순위가 전년 대비 대체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LA비즈니스저널이 지난달 31일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기록과 자체 조사를 기반으로 조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LA카운티 한인은행들은 지난해 수익성이 전년 대비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       LA카운티 한인은행 중 지난해 가장 수익성(총자산순이익률·ROA)이 높게 나타난 은행은 CBB뱅크로 ROA가 1.3%로 전체 12위였다. 다만 이는 지난 2023년 기준 1.6%에서 0.3%포인트 내린 것으로, 순위로 보면 5위에서 12위로 7단계나 내려갔다. 〈표 참조〉   이어 지난해 한미은행의 ROA는 1.0%로 18위였으나, 전년의 1.1%(16위)와 비교하면 수익성과 순위 모두 내렸다. 오픈뱅크 또한 지난해 ROA가 0.9%로 전년의 1.0%에서 소폭 감소했다. 순위 또한 19위에서 지난해 21위로 내려앉았다.   반면 PCB뱅크의 경우 ROA가 1.0%(19위)로 한미은행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2023년의 0.9%(22위)에서 소폭 개선됐다. 한인 은행들 중 가장 규모가 큰 뱅크오브호프는 지난 2023년 ROA가 0.6%에서 2024년 0.7%로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순위 면에선 27위로 동일했다.     한인은행들이 지난해 수익성 개선에 대체로 어려움을 보인 가운데, 중국계 은행들과 비교했을 때 수익성이 여전히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계 에버트러스트뱅크의 수익성은 무려 4.8%로 2위, 퍼스트제너럴뱅크도 2.6%로 4위를 기록했다.     중국계 은행 중 가장 규모가 큰 이스트웨스트뱅크는 지난해 ROA가 1.6%(8위)로 한인 은행 중 ROA가 가장 높은 CBB뱅크보다 더 높았다.     뱅크오브호프와 규모가 비슷한 캐세이뱅크 또한 ROA가 1.5%(9위)로 수익성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은행과 자산 규모가 비슷한 프리퍼드뱅크는 ROA가 1.8%(5위)로 차이가 났다.   전문가들은 “자산 규모가 비슷한 한인 은행과 중국계 은행의 수익성 차이는 여전한 상태”라며 “최근 경영 환경이 좋은 상태는 아니지만, 이는 계속해서 개선해나가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한편 LA카운티 내 자산 규모 순위를 봤을 때 뱅크오브호프는 자산이 약 170억4900만 달러로 시티내셔널뱅크, 이스트웨스트뱅크, 뱅크오브캘리포니아, 캐세이뱅크 다음으로 지난해에 이어 자산 규모가 가장 큰 은행 5위에 들었다.   한미은행은 자산이 약 76억3800만 달러로 전체 9위, PCB뱅크(30억6300만 달러)와 오픈뱅크(23억6600만 달러), CBB뱅크(18억1600만 달러) 순으로 15~17위를 기록했다.     대출 면에서도 비슷한 순위가 나왔다.   은행별 부동산 대출 규모는 뱅크오브호프가 약 98억2900만 달러로 5위를 기록했으며, 한미은행은 48억9700만 달러로 8위였다.   21억7200만 달러의 부동산 대출을 보유한 PCB뱅크와 17억2700만 달러의 오픈뱅크는 각 카운티 내 13위와 14위, CBB뱅크는 13억2700만 달러 규모로 16위를 기록했다.   상업 대출(커머셜론)에서도 한인 은행들은 대체로 비슷한 순위를 기록했다. 다만 이중 뱅크오브호프는 상업 대출이 약 31억2200만 달러로 4위를 기록해 한 단계 뛰었다.       크레딧카드를 포함한 개인 대출에서도 뱅크오브호프와 PCB뱅크는 각각 6위와 10위를 기록해 순위권 안에 들었다. 한편 전체 LA카운티 은행들의 총자산은 3200억 달러로 전년의 3160억 달러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예금의 경우 2490억 달러에서 지난해 2530억 달러로 늘어났다. 우훈식 기자중국 한인은행 la카운티 한인은행들 la 한인은행들 수익성 순위

2025-03-31

연봉 15만 달러 이상 졸업생 '지갑' 더 열어

미국 대학들의 동문 기부율은 7.7%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미국 대학의 순위를 선정해서 발표하는 US뉴스에 의하면, 동문 기부율이 높은 톱 20대학들의 평균 기부율이 26.9%로 나타났다. 동문 참여 기부율로 명문 여부를 따진다면 톱20에 충분히 들게 되는 대학들을 알아봤다.    주류 뉴스에 종종 소개되는 대학 기부 소식은 대개 고액 기부자들로 금액은 수백만 혹은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 자신의 모교에 거액을 내는 기업가도 있지만 학교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이 그저 대학을 발전시켜 세상을 도우라는 취지로 거액을 전달하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     그러면 미국 대학중 기부금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대학은 어디인가. 대학이라는 조직의 대표격인 하버드는 2021년만해도 기부금 총액이 500억 달러가 넘었고 이를 운용하는 조직도 대단해서 다른 대학들의 부러움을 샀다. 하지만 동문 기부율에서는 톱 20대학에 들지 못했다. 동문은 소수만이 기부에 참여했고 오히려 부자인 독지가들이 하버드에 기부를 많이한 것으로 보인다.     소수의 억만장자들은 앞다퉈서 수백만 혹은 수천만 달러를 기부해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다. 하지만 대부분 동문의 기부금은 훨씬 적은 금액이다. 최근 공개된 하노버리서치의 '2022 동문 기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동문 중 56%가 가장 최근의 기부금이 500달러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1만 달러 이상의 일회성 기부는 전체 기부금의 3%에 불과했다.     같은 자료에 따르면, 연봉이 최소 15만 달러인 기부자들이 그보다 적게 버는 사람보다 모교에 기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아무래도 성공한 동문이 지갑을 열 것이라는 추측은 그렇게 틀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부하지 않은 동문들은 대개 경제적 여유가 없거나, 다른 단체나 목적에 재정적 기부를 우선시했거나, 자신의 재정적 기부가 모교 발전에 별다른 차이를 만들지 못할 것이라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이를 따져보면 기부율이 높은 학교는 연봉 15만 달러 이상의 동문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많지 않은 금액이라도 모교를 돕겠다는 생각이 공감대를 이루는 동문이거나 혹은 원래 부자집 자녀들이 많았을 가능성도 있다.     US뉴스의 연례 설문조사에서 282개의 순위권 내 전국대학 및 리버럴아츠칼리지가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2-2023 학년의 평균 동문 기부율은 7.7%였다. 일부 학교들은 이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보고했으며, 상위 20개 대학은 1년 평균 동문 기부율이 거의 27%에 달했다.   이 순위의 톱은 전국대학 순위에서 1위인 프린스턴대였다. 2022~2023 학년도 평균 동문 기부율이 46.6%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다른 아이비리그인 다트머스가 41.4%, 반면 다른 아이비리그인 예일대는 19.7%로 톱20대학 중 가장 낮았다.     이외 톱20개 대학을 면면히 살펴보면, 뉴욕의 웨스트포인트 소재 육군사관학교와 서던 일리노이 주립-카본데일 캠퍼스만이 공립이고 나머지 대학은 사립이다. 또한 매사추세츠에 소재한 마운트 홀리요크, 스미스, 웰즐리대는 모두 여자대학이어서 눈에 띄었다. 버지니아 주의 햄프턴대는 유일한 흑인대학(HBU)이다.     6위를 차지한 노터데임은 천주교 미션스쿨이고 MIT, 밴더빌트, 조지타운은 종합대학이고 칼턴, 홀리크로스, 미들버리, 콜게이트, 트리니티, 바사, 페어필드 등은 전국적으로 알아주는 리버럴 아츠 칼리지다.   매사추세츠주에는 톱20개중 5개 대학이 있었고 뒤를 이어 코네티컷과 뉴욕에 각각 3개의 대학이 있었다. 톱20개 중 16개 대학이 동부에 있었고 나머지는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네소타, 테네시에 있었다. 캘리포니아나 오리건, 워싱턴 주에는 단 한 곳도 없었다.     한편 US뉴스의 자료에 의하면, 282개 대학 중에서 텍사스 주립 타일러 캠퍼스가 0.6%로 기부율이 가장 낮았다.   표는 2022~2023년 동문 기부자 평균 비율이 가장 높은 20개 대학이다. 인용된 보고서는 법적으로 연락이 가능한 동문이 최소 2만5000명 이상인 전국대학 및 리버럴아츠칼리지에 한한다.  장병희 기자졸업생 연봉 동문 기부율 전국대학 순위 대학 기부

2025-03-23

최고의 부티크 호텔 ‘ 리틀 넬 ’

 애스펜에 있는 ‘리틀 넬’ 호텔이 U.S. 뉴스 & 월드 리포트가 선정한 ‘2025 미국 최고의 부티크 호텔’ 순위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부티크 호텔은 규모는 작지만 독특하고 개성 있는 디자인과 인테리어, 서비스 등으로 기존 호텔들과 차별화를 이룬 호텔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부티크는 고급 맞춤 의상을 뜻하는 패션 용어 ‘오트퀴트르 부티크’에서 유래했다. 시사 매거진 U.S. 뉴스 & 월드 리포트가 최근 발표한 연례 미국내 최고의 호텔 및 리조트 순위 가운데 부티크 호텔 부문에서 애스펜에 소재한 ‘더 리틀 넬’(The Little Nell) 호텔이 전국 1위를 기록했다. 또한 부티크 호텔 부문에서는 콜로라도 스프링스 소재 ‘더 브로드무어’(The Broadmoor) 호텔이 전국 5위, 텔루라이드 소재 ‘매들린 호텔 & 레지던스’(Madeline Hotel and Residences)가 전국 14위에 각각 랭크됐다. 리틀 넬은 미국 최고의 반려동물 친화적인 호텔 순위에서도 전국 3위에 이름을 올렸고 브로드무어 호텔은 전국 10위에 올랐다. 브로드무어는 미국 최고의 골프 호텔 순위에서도 전국 5위를 차지했다. 한편, U.S. 뉴스 & 월드 리포트가 뽑은 콜로라도에서 가장 인기있는 호텔 탑 1은 다음과 같다.   ▲1위 리틀 넬-애스펜 ▲2위 더 브로드무어-콜로라도 스프링스 ▲3위 매들린 호텔 &  레지던스- 텔루라이드 ▲4위 소네날프(Sonnenalp)-베일 ▲5위 바이스로이 스노우매스(Viceroy Snowmass)-스노우매스 빌리지 ▲6위 포시즌스 호텔-덴버 ▲7위 더 리츠-칼튼 베첼러 걸치(The Ritz-Carlton Bachelor Gulch)-에이본 ▲8위 호텔 제롬, 오베르주 리조트 컬렉션(Hotel Jerome, Auberge Resorts Collection)-애스펜 ▲9위 파크 하얏트 비버 크릭 리조트 & 스파(Park Hyatt Beaver Creek Resort and Spa)-비버 크릭 ▲10위 그랜드 하얏트-베일 볼더 콜로라도 최고의 호텔과 리조트 전체 목록은 웹사이트(https://travel.usnews.com/hotels/Colorado-r56/)를 참조하면 된다.     이은혜 기자부티크 호텔 부티크 호텔 브로드무어 호텔 호텔 순위

2025-03-05

'전국 최악 병목구간'에 애틀랜타 9곳이나 포함

I-85 스파게티 정션 가장 극심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도로 9개 구간이 전국에서도 병목 현상이 가장 심한 100대 도로로 꼽혔으며, 상위 10위권 병목 구간에도 3개 구간이나 포함됐다.   미국 교통연구소(ATRI)는 트럭 GPS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국에서 병목 현상이 심한 구간 순위를 매년 매긴다. 올해 리스트에 따르면 전국 상위 10곳의 병목 구간은 러시아워에 트럭의 평균 속도가 시속 29.7마일에 불과할 정도로 정체가 극심하다.   조지아에서 병목현상이 가장 심한 곳은 귀넷 카운티로 향하는 I-85 북쪽 방면 I-285 인터체인지인 '스파게피 정크션'이다. 전국 4번째 병목 구간인 이곳에서 트럭은 평균 시속 35.4마일, 러시아워에는 평균 시속 26.4마일 속도에 그칠 정도로 정체가 심하다.   조지아에서 병목 현상이 다음으로 심한 곳은 I-285에서 I-75로 갈아타는 구간으로 '캅 클로버리프'라고 불린다. 이 구간 트럭의 평균 속도는 시속 40.9마일, 심할 때는 33.1마일로 차량이 밀린다. 작년에 비해 무려 6단계나 상승한 전국 6위의 병목 구간이다.   조지아 3위이자 전국 10위 병목 구간은 I-285 애틀랜타 서쪽 방면에서 I-20로 빠지는 곳. 평균 속도는 시속 42.6마일이다.   이외에도 조지아 곳곳이 전국 100대 병목 구간에 꼽혔다. 애틀랜타를 제외한 곳에서 병목 현상이 심한 곳은 맥도너를 지나는 I-75 고속도로로 전국 12위에 올랐다. 이 구간 트럭의 평균 속도는 시속 46마일로 떨어진다.   또 I-285 동쪽방면 선상 I-20 교차로(14위), SR 400 도로 선상 I-285 교차로(29위), 1-75/I-85 선상 I-20 교차로(38위), I-85 선상 I-75 교차로(80위), I-675 선상 I-75 교차로(82위) 등이 심한 교통체증을 겪어야 하는 구간으로 조사됐다.   전국에서 병목현상이 가장 심한 곳은 작년과 같은 뉴저지 포트리 I-95 고속도로에서 SR4로 이어지는 구간이다. 이 구간 트럭의 평균 속도는 시속 26.6마일로 측정됐다. 정체가 가장 심할 때의 차량 속도는 시속 19.1마일까지 내려간다. 윤지아 기자병목현상 조지아 애틀랜타 고속도로 구간 순위 병목 현상

2025-02-25

2025 결혼하기에 가장 좋은 미국 도시 순위 조사, 오스틴 6위

 결혼하기에 가장 좋은 미국 도시 순위 조사에서 오스틴과 휴스턴이 탑 10에 들었으며 샌안토니오와 달라스도 상위권에 속했다.   개인 금융 웹사이트 ‘월렛허브’(WalletHub)는 비용(Costs), 시설 및 서비스(Facilities & Services), 활동 및 명소(Activities & Attractions) 등 3가지 주요 카테고리에 걸쳐 미전국 182개(인구 순) 주요 도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평점을 매겨 2025 결혼하기에 가장 좋은 미국 도시 순위를 매겼다. 비교 데이터에는 1인당 결혼 비용, 장소 및 이벤트 공간, 호텔 이용 가능 여부, 주민 1인당 이벤트 플래너수 등등 결혼 친화성을 나타내는 26가지 주요 지표가 사용됐다. 조사 대상에 포함된 텍사스 주내 도시 16곳 중 오스틴이 종합 순위 전국 6위(총점 65.91점)로 가장 높았고 휴스턴이 8위(65.50점)로 그 뒤를 이었으며 샌안토니오와 달라스가 각각 20위(60.06점), 23위(59.04점)로 상위권에 들었다. 달라스는 시설 및 서비스 부문 순위는 전국 18위로 높았으나 활동 및 명소 부문은 전국 29위, 비용 부문은 전국 106위에 그쳤다.   이들 4개 도시외에 텍사스 주내 도시들의 순위는, 엘파소 34위(56.35점), 포트워스 51위( 51.62점), 아마릴로 75위(47.87점), 코퍼스 크리스티 78위(47.21점), 루복 99위(44.86점), 플레이노 103위(44.23점), 라레도 109위(43.00점), 브라운스빌 115위(42.52점), 알링턴 121위(42.02점), 어빙 132위(40.46점), 갈랜드 140위(38.40점), 그랜드 프레리 170위(30.97점) 등이다. 평균 결혼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도시 순위에서 브라운스빌이 3위, 루복이 4위에 올랐고, 주민 1인당 이벤트 기획자수가 제일 많은 도시 순위에서는 오스틴이 공동 전국 1위를 차지했으며 주민 1인당 신부 상점수가 많은 도시에서는 휴스턴이 공동 전국 1위에 오른 반면, 글랜드 프레리는 최하위권인 180위를 기록했다. 또한 주민 1인당 꽃집 및 선물가게수가 제일 적은 도시 순위에서는 그랜드 프레리와 갈랜드가 각각 4위와 5위에 랭크됐다.   결혼하기에 가장 좋은 미국 도시 전국 1위는 플로리다주 올랜도(총점 80.26점)가 차지했다. 2위는 라스베가스(78.42점), 3위는 마이애미(77.71점), 4위는 애틀랜타(73.66점), 5위는 플로리다주 탬파(68.69점)였다. 6~10위는 오스틴, 샌프란시스코(65.61점), 휴스턴, 뉴올리언스(65.39점), 플로리다주 포트 로더데일(64.03점)의 순이었다. 반면, 결혼하기에 제일 안좋은 도시는 하와이주 펄 시티(20.65점-182위)였다. 이어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23.39점-181위), 롱 아일랜드주 워윅(23.75점-180위), 버몬트주 사우스 벌링턴(24.08점-179위), 메인주 루이스튼(25.81점-178위)의 순으로 최하위권에 들었다. 이밖에 로스앤젤레스는 전국 11위(64.00점), 시카고 13위(63.13점), 덴버 17위(60.91점), 워싱턴DC 29위(56.96점), 시애틀 30위(56.95점), 뉴욕 32위(56.82점), 필라델피아 37위( 55.61점), 보스턴 66위(49.55점), 디트로이트는 82위(46.90점)였다. 한편, 월렛허브의 칩 루포 애널리스트는 “평균적인 커플은 결혼식 당일에 약 3만5천달러를 지출한다. 최근 수년간 결혼식에 드는 비용이 급상승하면서, 그 비용을 지불하는 사람들과 숙소를 마련해야 하는 하객들 모두에게 저렴한 도시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일부 도시에서는 플로리스트부터 비디오그래퍼, 장소에 이르기까지 결혼 필수품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통해 결혼식 계획을 더 쉽게 세울 수 있다. 도시에 더 많은 옵션이 있을수록 경쟁력 있는 가격 책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최적의 일정에 맞춰 일할 수 있는 장소를 찾을 수 있다”고 전했다.   손혜성 기자미국 오스틴 도시 순위 도시 전국 1인당 결혼

2025-02-25

2025 대학 순위 발표.. 올해 전국 최고 대학은?

올해 전국 최고 대학에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이 선정됐다. 가주에서는 스탠퍼드대가 전국 3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교육평가 전문업체 ‘니치’가 최근 발표한 2025 전국 대학 순위에 따르면, MIT가 지난해 1위였던 예일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전체 등급에서 A+를 받은 MIT는 ▶학업 ▶다양성 ▶대학 가치 ▶위치 ▶교수진 ▶학생 생활 등에서 A+ 등급을 받았다. 다만 ▶운동 경기에서는 C+라는 낮은 등급을 기록했고, ▶안전성(B+) ▶캠퍼스 음식(B-) 측면에서도 비교적 낮은 등급을 받았다.   이어 2024년 전국 1위를 차지했던 예일대는 전국 2위로 밀려났다. 예일대 역시 전체 등급에서 A+, 대부분의 항목에서 A등급 이상을 기록했으나 ‘안전성’ 측면에서 C+를 받았다.   3위는 지난해 2위에 올랐던 스탠퍼드대가 차지했다. 스탠퍼드대도 전체 등급에서는 A+를 받았으나, 위치와 안전성 측면에서 B등급을 받았다.   하버드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4위를 유지했다. 이어 다트머스대가 5위를 기록했다.   뉴욕의 컬럼비아대는 전국 6위를 차지했다. 컬럼비아대 역시 전체 등급에서 A+를 기록했지만, 안전성과 운동 경기 측면에서 각각 B와 B+를 기록했다.   이외에는 브라운대(7위), 라이스대(8위), 밴더빌트대(9위), 프린스턴대(10위) 등이 10위권 안에 들었다.   그 외 가주 지역 학교들을 살펴보면 하비 머드 칼리지(14위), 포모나 칼리지(16위), 캘리포니아공과대학(19위·캘텍), UCLA(20위), 클레어몬트 맥케나 칼리지(24위), USC(28위), UC 버클리(42위) 등이 상위 50위권 내 대학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전공별·지역별 등 자세한 대학 순위는 니치 웹사이트(niche.com/colleges/search/best-colleges)를 참고하면 된다. 윤지혜·강한길 기자대학 전국 전국 대학 대학 순위 대학 가치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니치 스탠퍼드대 MIT USC UC 버클리 UCLA 캘리포니아공과대학 하비 머드 칼리지

2025-02-20

조지아 최고 대학은 '조지아텍', 전국 최고는

최고 공립대 4위·공대 7위 랭크 에모리·UGA는 전국 34위·52위     조지아텍이 조지아주 최고의 명문 대학으로 선정됐다.   대학 리뷰 사이트 ‘니치닷컴’이 최근 발표한 2025년 대학 순위에서 조지아텍은 전국 30위로 조지아에서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종합점수는 A+지만, 기숙사와 캠퍼스 음식 부문에서 C 등급을 받았으며, 또 캠퍼스와 안전성 면에서도 B에 머물렀다.   조지아텍은 또 전국 최고 공립대학 랭킹에서 4위, 미국 최고 공대 랭킹에서 7위에 오르는 등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합격률은 17%이며, 합격생들의 SAT 점수는 1370~1550점이다. 학부생 약 1만6200명으로 규모가 큰 편이며, 재학생 89%는 ‘졸업 후 취업에 자신 있다’고 답했다.   에모리대학은 전국 34위로 조지아주 2위에 머물렀다. 학업, 다양성 등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학교 스포츠(C), 파티 문화(B-), 안전성(B-), 학교 음식(B-) 등에서 좋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 하지만 에모리는 미국 최고 간호학과 랭킹에서 5위, 미국 최고 화학과 랭킹에서 7위, 미국 최고 교수진 랭킹에서 9위를 차지한 수준 높은 대학이다. 에모리의 합격률은 11%, 학부생은 약 7000명이다.   조지아대학(UGA)은 전국 52위에 머물렀다. 전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 공립대로, 학부생이 2만8800명이 넘는 큰 규모를 자랑한다. 조지아 인스테이트 학생들의 합격률은 43%로 들어가기 쉽지만은 않다. 인기 전공은 생물학, 심리학, 재정학 등이며, 졸업생 평균 초봉은 3만9900달러다.   UGA는 ‘미국에서 학교생활(Student Life)이 가장 재밌는 학교’ 1위에 오를 정도로 캠퍼스의 질, 학교 음식 등이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 또 미국 대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클럽 문화(greek life) 랭킹에서는 전국 5위에 올랐으며, 학교 스포츠팀이 유명한 만큼 스포츠 경영학과로 전국 5위를 차지했다.   올해 미국 최고의 대학에는 MIT(메사추세츠 공대)가 뽑혔다. MIT는 작년 1위 예일대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니치는 학업, 다양성, 대학 가치, 캠퍼스, 파티 문화, 교수진, 캠퍼스 음식, 안전 등을 기준으로 대학을 평가했다. MIT는 종합 점수로 A+를 받았으나, 스포츠 부문에서는 C+라는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즉, MIT를 대표하는 스포츠팀의 성적 또는 존재감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MIT는 학부생이 약 4600명 정도인 규모가 작은 사립대학으로, 합격률은 4%밖에 되지 않는다. 가장 인기가 많은 전공은 컴퓨터공학, 기계공학, 수학 등이며, 졸업생 초봉은 평균 8만2200달러다. 자타공인 최고의 대학인만큼 합격생들의 SAT 점수는 만점에 가까운 1530~1580점대다.   2위는 예일대가 차지했다. 예일대는 학교 스포츠를 포함 대부분의 항목에서 A+ 점수를 받았지만, 학교 안전성 점수는 C+에 그쳤다. 학부생은 약 6600명이며, 합격률은 5%로 낮다. 인기 전공은 경제학, 정치학, 정부학 등이며, 졸업생 평균 초봉은 5만6600달러다.   스탠퍼드, 하버드, 다트머스, 컬럼비아, 브라운, 라이스, 밴더빌트, 프린스턴, 펜실베이니아대학(유펜), 듀크, 조지타운 등이 순서대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윤지아 기자조지아 전국 공립대학 랭킹 대학 순위 대학 리뷰

2025-02-20

주민당 범죄비용이 낮아 가장 안전한 미국 도시 순위 … 프리스코는 전국 2위

 주민들이 부담하는 범죄 비용을 기준으로 한 ‘가장 안전한 미국 도시’(Safest Cities in the US) 순위에서 텍사스 주내 대표적인 대도시인 달라스와 휴스턴이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개인 금융 자문 웹사이트인 ‘머니긱’(MoneyGeek)은 미전국 292개 도시(인구 10만명 이상)를 대상으로 2023년 연방수사국(FBI) 범죄 통계자료를 토대로 추출한 ‘주민 1인당 부담하는 범죄의 사회적 비용’(societal cost of crime per resident)을 기준으로 가장 안전한 도시 순위를 매겼다. 즉, 비용이 높을수록 순위가 낮아 위험한 도시임을 의미한다. 머니긱은 연구 목적을 위해 폭력 범죄율은 주민 10만명당 살인, 과실치사, 강간, 강도, 중폭행의 건수를 기준으로 결정했고 재산 범죄율은 주민 10만명당 건물 침입 절도, 절도, 자동차 도난 범죄의 건수로 정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 포함된 텍사스 주내 총 39개 도시들의 순위는 극명하게 갈렸다. 텍사스 최대 도시인 휴스턴의 주민 1인당 범죄비용은 3,709달러(전국 250위)로 매우 높았고 달라스도 3,641달러(248위)에 달해 가장 위험한 도시에 꼽혔다. 샌안토니오는 2,926달러(222위), 포트워스는 2,104달러(178위), 오스틴은 1,871달러(162위)로 역시 순위가 낮은 편이었다. 반면, 달라스 서버브 타운의 하나인 프리스코는 주민 1인당 범죄비용이 287달러로 292개 도시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을 기록함으로써 가장 안전한 도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텍사스 주내 도시 39곳의 주민당 범죄비용과 순위는 다음과 같다.   ▲프리스코($287/전국 2위) ▲펄랜드($471/13위) ▲플레이노($515/18위) ▲슈가랜드($527/20위) ▲맥키니($540/22위) ▲라운드 록($575/26위) ▲그랜드 프레리($675/42위) ▲리그 시티($719/48위) ▲리차드슨($759/53위) ▲칼리지 스테이션($800/55위) ▲콘로($844/60위) ▲에딘버그($936/68위) ▲맥앨런($976/75위) ▲갈랜드($1,114/92위) ▲루이스빌($1,275/110위) ▲라레도($1,288/111위) ▲엘 파소($1,297/113위) ▲덴튼($1,313/115위) ▲어빙($1,314/116위) ▲메스퀴트($1,466/127위) ▲애빌린($1,491/132위) ▲알링턴($1,515/134위) ▲미드랜드($1,525/136위) ▲위치타 폴스($1,526/137위) ▲오데사($1,538/139위) ▲킬린($1,637/147위) ▲앨런($1,677/152위) ▲오스틴($1,871/162위) ▲웨이코($2,078/176위) ▲포트 워스($2,104/178위) ▲타일러($2,158/184위) ▲파세디나($2,195/187위) ▲루복($2,307/195위) ▲코퍼스 크리스티($2,359/200위) ▲아마릴로($2,367/201위) ▲샌 안토니오($2,926/222위) ▲달라스($3,641/248위) ▲휴스턴($3,709/250위) ▲보몬트($4,268/264위). 총 292개 도시 중 주민당 범죄 비용이 낮아 가장 안전한 도시 전국 1위는 271달러에 그친 뉴욕주 라마포 타운이었다. 2위 프리스코에 이어 3위는 캘리포니아주 어바인($324), 4위는 인디애나주 피셔스($337), 5위는 뉴저지주 레이크우드 타운십($376)이었다. 6~10위는 노스 캐롤라이나주 캐리($381), 플로리다주 펨브로크 파인스($406), 캘리포니아주 엘크 그로브($415), 애리조나주 서프라이즈($419), 미시간주 스털링 하이츠($449)의 순이었다. 반면, 주민당 범죄비용이 가장 높은 도시는 테니시주 멤피스로 무려 1만1,582달러(전국 292위)에 달했으며 그 다음은 알라배마주 버밍햄($10,397달러/291위), 미조리주 세인트 루이스($9,752/290위),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9,375/289위),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9,285/288위)의 순이었다. 이밖에 호놀룰루는 $508(전국 17위), 뉴욕 $1,557(141위), 보스턴 $1,674(151위), 마이애미 $1,792(158위), 라스베가스 $2,009(171위), 샌프란시스코 $2,065(175위), 로스앤젤레스 $2,433(202위), 시애틀 $2,600(210위), 피닉스 $2,801(217위), 시카고 $3,304(236위), 덴버 $3,560(245위), 신시내티 $4,169(259위), 인디애나폴리스 $4,175(260위), 미니애폴리스 $4,187(261위), 애틀란타 $4,638(272위), 필라델피아 $4,961(276위), 밀워키 $6,205(280위), 워싱턴DC $6,357(282위), 볼티모어 $7,542(285위), 클리블랜드 $7,700(286위), 디트로이트는 $8,636(287위)였다.   손혜성 기자미국 범죄비용 주민당 범죄비용 도시 전국 도시 순위

2024-12-30

LA지역 한인 기업들 두각…LABJ 최고 기업 순위 발표

  LA지역 한인 기업들이 재정부터 교육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전문매체 LA비즈니스저널(LABJ)이 23일 LA에 기반을 둔 최고의 기업들을 선정해 발표한 가운데 한인 기업 상당수가 이름을 올린 것. 〈표 참조〉   우선 프랜차이즈 업소 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순위에서 가장 높은 순위에 오른 한인 기업은 11위의 JEI 셀프러닝 시스템스였다. 한국에서는 재능교육으로 알려진 JEI는 500개의 프랜차이즈 매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앤드류 김이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는 식당 프랜차이즈 와바그릴은 200개의 매장을 보유하며 16위에 자리했다. 주스와 스낵바 업체 잇츠보바타임은 81개의 가맹점을 보유해 21위를 기록했다.   광고 에이전시 분야에서는 한인 니타 송이 회장을 맡고 있는 IW 그룹이 공동 28위를 차지했다. IW 그룹은 맥도날드, 렉서스, 워너 브라더스, 넷플릭스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으며, 다문화 홍보 및 마케팅에 특화된 기업이다. 대외홍보(PR)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공동 19위에 올랐고,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 순위에서도 53위를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회계법인 순위에서는 알버트 장 대표가 이끄는 김앤리가 61위를 차지했다. 이 순위는 회계전문가와 공인회계사(CPA) 수를 기준으로 했으며, 김앤리는 CPA 13명을 포함해 총 27명의 회계전문가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펌 순위에서는 한인 로펌 이홍디저먼강&웨이미(LHDK&W)가 공동 171위로 이름을 올렸다. LHDK&W는 18명의 변호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앤드류 이 변호사가 대표를 맡고 있다.   뷰티 업계에서도 한인 기업들이 존재감을 드러냈다. 토니 고 대표의 비스포크 뷰티 브랜드와 스테이시 이 대표의 루드 코스메틱스는 각각 10명의 직원을 거느리며 수백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17위에 올랐다.   은행 순위에서도 한인은행들이 두드러졌다. 뱅크오브호프(5위), 한미은행(9위), PCB뱅크(15위), 오픈뱅크(16위), CBB뱅크(17위)가 LA카운티에 본점을 둔 은행 순위에 포함됐다. 특히 뱅크오브호프는 LA카운티에 본사를 둔 상장 기업 중 45번째로 큰 기업으로도 꼽혔다.   고용인 수 기준으로 15위까지 발표된 게임회사 순위에서도 한인 기업이 포함됐다. 180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넥슨 미국 지사는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금융기관을 제외한 일반 기업 중 ‘소수계 소유 기업’ 순위에서도 네 곳의 한인 기업이 포함됐다. 해산물 유통 전문 기업 퍼시픽 아메리칸 피시 컴퍼니는 3억5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8위를 차지했다.   일반 상품 도매업체 JC세일즈는 2억500만 달러 매출로 13위에, 청바지 제조업체 구스 매뉴팩처링은 1억8000만 달러 매출로 16위에, 뱅크카드 서비스는 9300만 달러 매출로 26위에 올랐다. 조원희 기자la지역 한인 한인 기업들 la지역 한인 로펌 순위

2024-12-23

새해 전야 축하에 가장 좋은 도시

 새해 전야를 축하하기에 가장 좋은 도시 조사에서 텍사스 주내 도시들중 샌안토니오와 플레이노만 중상위권에 들었을 뿐 다른 11개 도시들은 중위권 또는 최하위권에 속했다. 개인 금융 정보 웹사이트인 월렛허브(WalletHub)는 최근 미국내 주요 도시 중에서 새해 전야를 축하하며 보내기에 가장 좋은 도시를 선정, 발표했다. 월렛허브는 새해를 어디에서 카운트다운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미국내 주요 도시 100곳(인구 순)을 대상으로 불꽃놀이, 1인당 나이트라이프 옵션, 음식과 숙박의 저렴성 등 총 26가지 주요 지표를 기반으로 비교, 평가해 종합 순위와 아울러 ▲엔터테인먼트 및 음식(Entertainment & Food) ▲비용(Costs) ▲안전 및 접근성(Safety & Accessibility) 등 부문별 순위를 정했다. 샌안토니오는 총점 58.43점으로 전국 30위에 올라 텍사스 주내 도시중에는 가장 순위가 높았다. 샌안토니오의 엔터테인먼트 및 음식 부문 순위는 전국 13위, 비용 부문 순위는 64위, 안전 및 접근성 부문 순위는 전국 82위였다. 플레이노는 57.45점을 얻어 전국 35위에 랭크됐다. 플레이노의 엔터테인먼트 및 음식 부문 순위는 전국 69위, 비용 부문 순위는 25위, 안전 및 접근성 부문 순위는 전국 6위였다. 달라스는 54.52점으로 전국 50위, 휴스턴은 54.12점으로 전국 52위에 각각 올랐다. 달라스의 엔터테인먼트 및 음식 부문 순위는 전국 23위, 비용 부문 순위는 47위, 안전 및 접근성 부문 순위는 전국 93위였다. 휴스턴의 엔터테인먼트 및 음식 부문 순위는 전국 25위, 비용 부문 순위는 55위, 안전 및 접근성 부문 순위는 전국 91위였다. 반면, 갈랜드는 46.55점으로 전국 92위, 루복은 46.64점으로 전국 91위, 라레도는 86위(48.19점), 어빙은 83위(48.62점)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밖에 알링턴은 59위(53.01점), 엘파소 60위(52.96점), 오스틴 62위(52.87점), 포트워스 63위(52.43점), 코퍼스 크리스티는 66위(51.62점)였다. 새해를 축하하며 맞이하기에 최고인 미국 도시 전국 1위는 타임스 스퀘어가 있는 뉴욕(68.67점)이었다. 뉴욕은 엔터테인먼트 및 음식 부문은 전국 6위, 안전 및 접근성 부문은 전국 18위에 올랐으나 비싼 물가로 인해 비용 부문 순위는 최하위권인 전국 95위를 기록했다. 2위는 올랜도(68.03점)였고 3위는 샌디에고(67.58점), 4위는 라스베가스(67.45점), 5위는 시카고(64.50점)가 차지했다. 6~10위는 애틀란타(64.28점), 마이애미(63.79점), 샌프란시스코(63.37점), 피츠버그(62.47점), 시애틀(62.14점)의 순이었다. 반면, 새해 전야를 보내기에 최악의 도시는 캘리포니아주 센버나디노(41.74점/100위)였고 알래스카주 앵커리지(42.09점/99위), 애리조나주 글렌데일(42.19점/98위), 뉴멕시코주 앨버커키(43.96점/97위), 테네시주 멤피스(45.33점/96위)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주요 도시들의 순위는 덴버 11위(62.00점), 로스앤젤레스 12위(61.67점), 보스턴 19위(59.67점), 필라델피아 20위(59.65점), 워싱턴DC 29위(58.48점), 볼티모어 43위(55.29점), 호놀룰루 45위(55.17점), 달라스 50위(54.52점), 휴스턴 52위(54.12점), 샌호세 93위(46.20점) 등이다. 한편, 월렛허브의 칩 루포 분석관은 “새해 전야와 새해 첫날을 멋진 도시에서 보낸다는 것은 마법 같은 경험이 될 것이다. 새해를 축하하기에 가장 좋은 도시는 맑은 하늘과 주변에서 가장 멋진 불꽃놀이를 볼 수 있는 곳이다. 또한 높은 평가를 받고 가격도 저렴한 식당이 풍부하고 활기찬 나이트라이프와 새해를 기억에 남는 날로 만들어 줄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는 도시여야 한다”고 전했다.   손혜성 기자새해 전야 부문별 순위 주요 도시들 도시 전국

2024-12-17

토론토대, 지속 가능성 평가 세계 1위

    토론토대학교가 2년 연속 ‘지속 가능성’ 평가에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글로벌 분석 기관인 Quacquarelli Symonds(QS)가 발표한 세계 지속 가능성 대학 순위에서 토론토대는 ETH 취리히,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스탠포드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등 유명 대학들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 순위는 각 대학이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 분야에서 얼마나 지속 가능한 삶을 지향하는지를 평가하며, 졸업생들이 과학과 기술을 통해 기후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 정도와, 유엔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 성과도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한다.   토론토대는 환경 지속 가능성 분야에서 91/100, 환경 교육 분야에서 99.7/100, 환경 연구 분야에서 98.5/100을 기록하며, 1,700개 이상의 대학을 제치고 최상위에 위치했다.     전 세계 지속가능성 분야 대학교 순위 1. 토론토 대학교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2. ETH 취리히 대학교 (ETH Zürich, Switzerland) 3.룬드 대학교 (Lund University, Sweden) - 공동 3위 3.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 - 공동 3위 5. 런던 대학교 (University College London, UK) - 공동 5위 5.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 공동 5위 7.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Imperial College London, UK) - 공동 7위 7. 에든버러 대학교 (The University of Edinburgh, UK) - 공동 7위 9. 맨체스터 대학교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UK) - 공동 9위 9. 멜버른 대학교 (The University of Melbourne, Australia) - 공동 9위   메릭 거틀러 토론토대 총장은 "21세기 최대의 도전인 기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토론토대가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한 것에 매우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캐나다 대학들은 지속 가능성 순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는 공동 5위, 맥길대는 15위, 웨스턴대는 30위에 올랐다. 북미와 유럽, 호주, 뉴질랜드의 대학들이 지속 가능성 성과에서 상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토론토대 가능성 세계 지속가능성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교 순위

2024-12-12

달라스 2,370달러-20위, 포트 워스 2,249달러-26위

 미전국 50개 대도시(인구 순)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지출하는 10가지 청구서(10 most common household bills)의 월 평균 지출액을 조사한 결과, 달라스는 2,370달러로 20번째, 포트 워스는 2,249달러로 26번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청구서 관리 서비스 제공업체  ‘독소’(doxo)는 최근 ‘2024 미국에서 가장 큰 50개 도시 가계 지출 독소 인사이츠 보고서’(50 Largest U.S. Cities Household Spend doxoINSIGHTS Report 2024)를 발표했다. 독소는 미국내 50개 대도시 가정에서 가장 일반적인 지출하는 10가지 청구서(모기지/주택 대출상환금, 렌트비/임대료, 자동차 대출상환금, 공과금/유틸리티, 차량보험료, 건강보험료, 케이블&인터넷 사용료, 생명보험료, 셀폰 사용료, 알람/보안 요금) 지출 현황을 파악해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 달라스의 월 평균 청구서 비용은 2,370달러로 전국 평균(월 2,126달러)보다 11%가 더 많았으며 50개 대도시 가운데 20번째로 많았다. 달라스의 가구당 청구서 내역을 보면, 모기지 2,140달러, 렌트비 1,357달러, 자동차 대출상환금 573달러, 유틸리티 332달러, 자동차 보험료 203달러, 건강보험료 45달러, 케이블&인터넷 사용료 104달러, 생명보험료 81달러, 셀폰 사용료 95달러, 알람/보안 요금 68달러 등이었다. 이같은 월 청구서 비용이 가구당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9%에 달했다. 포트 워스의 월 평균 청구서 비용은 2,249달러로 전국 평균(월 2,126달러)보다 6%가 더 많았고 50개 대도시 중에서는 26번째로 많았다. 포트 워스의 가구당 청구서 내역을 보면, 모기지 1,674달러, 렌트비 1,329달러, 자동차 대출상환금 563달러, 유틸리티 289달러, 자동차 보험료 241달러, 건강보험료 106달러, 케이블&인터넷 사용료 105달러, 생명보험료 112달러, 셀폰 사용료 98달러, 알람/보안 요금 85달러 등이었다. 이같은 월 청구서 비용은 가구당 소득의 37%를 차지했다. 이번 50대 대도시 순위에는 달라스와 포트 워스 외에도 텍사스 주내 도시 4곳이 포함됐는데, 이중 오스틴은 월 평균 청구서 비용이 2,612달러로 텍사스 도시중 가장 많았으며 전국 순위도 13위로 제일 높았다. 휴스턴은 2,232달러로 전국 28위, 샌 안토니오는 2,161달러로 32위, 엘 파소는 1,784달러로 47위에 각각 랭크됐다.   전국 50개 대도시에 포함되지 않은 텍사스 주내 중소도시 가운데 오스틴 보다도 월 청구서 비용이 많은 곳은 17개 도시에 달했다. 가장 많은 도시는 앨런으로 3,637달러였고 이어 험블($3,537), 리차드슨($3,022), 뉴 브라운펠스($2,990), 프리스코($2,939), 플루거빌($2,916), 어빙($2,878), 라운드 락($2,862), 미조리 시티($2,827), 켈러($2,818), 펄랜드($2,816), 사이프러스($2,779), 슈가 랜드($2,770), 리치몬드($2,758), 스프링($2,756), 플레이노($2,693), 케이티($2,643)의 순이었다. 한편, 50개 대도시 가운데 월 청구서 비용이 가장 많은 곳은 샌 호세로 3,695달러에 달했으며 뉴욕이 3,639달러로 2위, 보스턴이 3,410달러로 3위, 샌프란시스코가 3,359달러로 4위, 샌디에고가 3,324달러로 5위를 기록했다. 6~10위는 로스앤젤레스($3,113), 시애틀($3,049), 워싱턴DC($2,991), 마이애미($2,867), 오레곤주 포틀랜드($2,758)의 순이었다. 이밖에 덴버는 11위($2,743), 애틀란타 12위($2,678), 라스베가스 16위($2,407), 시카고 22위($2,334), 피츠버그 34위($2,099), 필라델피아 37위($2,060), 클리블랜드 49위($1,735), 디트로이트는 50위($1,640)였다.   손혜성 기자달라스 포트 대도시 순위 청구서 비용 가구당 청구서

2024-12-11

미혼남녀들이 데이트하기 최고/최악의 도시 … 오스틴 10위, 브라운스빌 180위

 2025 미혼남녀들이 데이트하기 최고/최악의 도시(Best & Worst Cities for Singles 2025) 조사에서 오스틴이 최상위권인 전국 10위에 오른 반면, 브라운스빌은 최하위권인 180위에 그쳐 텍사스 주내 도시들이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연방센서스(인구조사)국에 따르면, 결혼을 하지 않거나 이혼 또는 사별 등을 이유로 현재 사귀는 상대가 없는 싱글(single)인 미국 성인은 전체 인구의 무려 46%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외식과 엔터테인먼트 활동 비용이 상승하면서 데이트에 드는 비용도 수년에 걸쳐 더 비싸짐으로써 사랑을 찾는 싱글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개인금융정보 웹사이트인 월렛허브(WalletHub)는 미전국 182개 도시들을 대상으로 데이트 친화도를 나타내는 35개 주요 지표들(싱글 인구 비율, 온라인 데이트 기회 수, 2인 식사 평균 가격 등등)을 비교, 평가해 싱글에게 사랑을 찾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도시 종합 순위를 매겼다. 종합 순위와는 별도로 경제성((Economics), 재미 & 레크리에이션(Fun & Recreation Rank), 데이트 기회(Dating Opportunities) 등 3개 부문에 대한 별도의 순위도 매겼다.   이번 조사에서 텍사스 주내 도시들은 총 16개가 포함됐는데 2곳은 상위권에, 6곳은 중위권에 8곳은 하위권에 각각 속했다. 오스틴이 총점 58.93점을 얻어 전국 9위를 차지해 텍사스 도시 중에서는 가장 순위가 높았다. 오스틴은 재미 & 레크리에이션과 데이트 기회 부문에서는 각각 16위, 36위로 높은 반면, 경제성 부문 순위는 전국 106위로 낮았다. 휴스턴은 54.61점으로 전국 33위에 랭크됐다. 휴스턴의 경제성 부문 순위는 115위, 재미 & 레크리에이션 부문 순위는 22위, 데이트 기회 부문 순위는 91위였다. 이어 루복(총점 52.02점/전국 66위), 코퍼스 크리스티(51.32점/79위), 샌안토니오(51.31점/79위), 엘파소(50.84점/86위), 달라스(50.59점/90위), 포트워스(49.15점/110위) 등 6개 도시가 중위권에 들었다. 달라스의 경제성 순위는 159위, 재미 & 레크리에이션 순위는 31위, 데이트 기회 순위는 104위였고 포트워스의 경우는 경제성 순위 59위, 재미 & 레크리에이션 순위 59위, 데이트 기회 순위 149위였다. 하위권에 속한 텍사스 도시들은 아마릴로(48.13점/125위), 어빙(47.91점/129위), 알링턴(46.57점/146위), 플레이노(46.22점/148위), 라레도(44.24점/159위), 갈랜드(42.73점/168위), 그랜드 프레리(41.34점/175위), 브라운스빌(39.62점/180위) 등 8개였다. 이중 브라운스빌은 온라인 데이팅 기회도 전국 181위로 최하위권이었고 플레이노는 싱글 인구 비율이 제일 적은 도시(전국 180위)주으이 하나였다. 미혼남녀들이 데이트하기 최고의 도시 전국 1위는 애틀랜타(63.81점)였고 2위는 라스베가스(63.77점), 3위는 시애틀(61.07점), 4위는 피츠버그(60.52점), 5위는 플로리다주 탬파(60.50점)였다. 6~10위는 오레곤주 포틀랜드(59.81점), 위스칸신주 매디슨(59.59점), 오하이오주 신시내티(59.45점), 콜로라도주 덴버(59.03점), 오스틴의 순이었다. 반면, 데이트하기 최악의 도시는 하와이주 펄 시티(37.74점/182위)였으며 플로리다주 포트 세인트 루시(39.54점/181위), 브라운스빌(39.62점/180위), 메릴랜드주 콜럼비아(39.93점/179위),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40.36점/178위) 등이 최하위권을 형성했다. 이밖에 주요 도시들의 순위는 세인트 루이스 12위(58.15점), 마이애미 15위(57.39점), 시카고 21위(56.53점), 샌프란시스코 24위(56.02점), 로스앤젤레스 26위(55.21점), 보스턴 61위(52.43점), 워싱턴DC(52.17점), 필라델피아 89위(50.64점), 디트로이트 96위(50.20점), 샌 호세 111위(49.07점), 뉴욕 142위(46.70점) 등이다. 한편, 월렛허브의 칩 루포 애널리스트는 “완벽한 파트너를 찾는 과정은 도시에 데이트를 성공시키는데 필요한 조건이 부족할 때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싱글을 위한 최고의 도시에는 다양한 실내 및 실외, 낮 및 밤 활동과 함께 성별 균형이 잡힌 독신 인구가 많다. 또한 데이트 활동을 위한 합리적인 가격이나 높은 평균 소득을 보유하고 있어 인플레이션의 고통을 덜어준다”고 전했다.   손혜성 기자미혼남녀 데이트 텍사스 도시들 데이트 기회 레크리에이션 순위

2024-12-11

WI 그린베이-매디슨, 미국서 살기 좋은 도시 탑15

중서부 도시 여러 곳이 '2025-2026 미국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Best Places to Live in the U.S. for 2025-2026)에 포함된 가운데 위스콘신 2곳이 탑15에 올랐다.     US뉴스앤드월드리포트는 최근 미국 150개 도시를 대상으로 살기 좋은 도시 순위를 매겼다. 주민들의 설문조사를 비롯 주택 가치•취업 시장•범죄율•교육•웰빙•의료 서비스•통근 지수 등 '삶의 질 지수'를 비교했다.     US뉴스앤드월드리포트측은 "'어디에 거주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이번 조사와 분석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중서부 도시 가운데 탑10에 포함된 곳은 한 곳도 없었으며 위스콘신 주 그린베이가 12위로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US뉴스앤드월드리포트는 "풋볼 명가 패커스의 홈타운인 그린베이는 대도시의 느낌과 중서부만의 도시 분위기를 모두 갖고 있다"며 "신나는 엔터테인먼트부터 새롭게 단장된 다운타운, 2곳의 대학 캠퍼스 등이 그린베이를 젊은 부부와 은퇴자들 모두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린베이에 이어 중서부 지역에서는 위스콘신 주 매디슨이 전체 14위에 올랐다.   이밖에 미시간 주 앤아버(19위), 인디애나 주 포트웨인(20위), 그리고 인디애나 주 사우스 벤드(25위) 등이 중서부 지역 도시로서는 상위권에 포함됐다. 일리노이 주 도시로는 시카고 남서 서버브 피오리아가 전체 82위로 유일하게 탑100에 포함됐고, 시카고와 락포드는 각각 119위와 112위를 기록했다.   한편 미국 전체 살기 좋은 도시 1위는 플로리다 주 네이플스가 꼽혔고, 이어 보이지(아이다호), 콜로라도 스프링스(콜로라도), 그린빌(사우스 캐롤라이나), 샬럿(노스 캐롤라이나), 릴리(노스 캐롤라이나), 헌츠빌(앨라바마), 버지니아 비치(버지니아), 오스틴(텍사스), 볼더(콜로라도) 등이 차례로 2위부터 10위까지를 차지했다.  Kevin Rho 기자미국 그린베이 중서부 도시 도시 순위 도시 분위기

2024-12-04

눈 안오는 달라스 전국 18위에 이름 올려

 미국에서 전형적인 크리스마스 휴가를 보내기에 가장 아늑한 도시(Coziest U.S. Cities for a Christmas Getaway)는 어디일까? 눈이 거의 오지 않는 달라스도 전국 18위에 이름을 올렸다.   반짝이는 불빛과 금박을 입힌 거대한 성탄 트리, 크리스마스 아침의 눈 덮인 풍경, 샌타클로스와 선물, 가족들과의 재회 및 즐거운 파티... 미국인들이 생각하는 전형적인 크리스마스 시즌의 모습일 것이다.   벳MGM(BetMGM) 카지노가 다가오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미국에서 휴가를 보낼 수 있는 가장 아늑한 도시를 선정한 결과, 총점 93.34점을 획득한 알래스카주 노스 폴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벳MGM 카지노에 따르면, 마법 같은 겨울 느낌을 주기에 가장 중요한 12월 평균 강설량, 기온, 편안한 숙박시설, 각종 축하 이벤트, 스케이트장·커피샵·식당·샤핑몰 같은 장소수(주민 1인당) 등 다양한 요소들을 기준으로 가장 아늑한 도시 점수와 순위를 매겼다.   노스 폴은 12월 평균 적설량(15인치)이 가장 많고 기온도 낮으며 크리스마스 휴가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최고의 숙박 시설을 갖추고 있다고 벳MGM 카지노는 소개했다. 2위는 유타주 파크 시티(71.15점), 3위는 덴버(61.80점), 4위는 메인주 케너벙크포트(53.38점), 5위는 노스 캐롤라이나주 애쉬빌(50.96점)이었다. 이밖에 6~19위 순위는 ▲6위 뉴욕(46.22점) ▲7위 미조리주 브랜슨(42.30점) ▲8위 시애틀(35.20점) ▲9위 캘리포니아주 뉴포트 비치(28.89점) ▲10위 테네시주 내쉬빌(28.12점) ▲11위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24.14점) ▲12위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찰스턴(22.54점) ▲13위 워싱턴D.C.(20.23점) ▲14위 시카고(18.42점) ▲15위 세인트 루이스(17.84점) ▲16위 뉴올리언스(15.91점) ▲17위 켄터키주 볼링 그린(15.64점) ▲18위 달라스(10.35점) ▲19위 라스베가스(7.71점) 등이다. 18위를 기록한 달라스는 눈이 거의 오지 않아 강설량 점수가 0점임에도 불구하고 순위에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겨울에도 춥지 않은 달라스는 눈과 추위가 있는 전형적인 크리스마스 시즌과는 거리가 멀지만 주민 1인당 커피샵·식당·샤핑몰 같은 다양한 장소와 즐길거리가 많아 크리스마스 휴가를 보내기에 아늑한 도시 순위에 포함됐다고 벳MGM 카지노는 전했다.   뉴포트 비치와 찰스턴, 뉴올리언스 등 강설량 점수가 0점인 다른 3개 도시도 이번 순위에 포함됐다.     손혜성 기자  달라스 전국 크리스마스 휴가 크리스마스 시즌 도시 순위

2024-12-04

달라스-포트워스 공항 전국 22위

 연말 할러데이에 여행을 하기에 적합한 미국내 공항 순위에서 달라스-포트워스(DFW) 공항이 하위권에 머물렀다. 경제 관련 정보 제공 웹사이트인 ‘마켓워치’(MarketWatch)는 미전역 3천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연말 여행 계획, 비용, 우려 사항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와 아울러 연방 교통 통계국(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의 2023년 항공요금 가격, 항공편 지연률 및 취소율을 분석, 평가해 연말 성수기(11~12월)에 여행객들이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미국내 주요 도시 공항 30곳의 순위를 정했다. DFW 공항은 연말 할리데이 여행 점수 74.5점을 얻어 30개 공항중 하위권인 22위에 이름을 올렸다. DFW 공항은 2023년 연말 할리데이 여행 시즌에 항공편 취소율은 0.12%로 낮은 편이었으나 지연율은 15.67%에 달했고 DFW 공항에서 출발하는 항공요금도 평균 422달러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쌌다. 연말 할리데이 여행 점수가 가장 높은 공항은 라스베가스의 해리 레이드 공항으로 100점 만점을 기록했다. 2위는 올랜도(94.3점), 3위 탬파(93/5점), 4위는 유욕 라과디아(90.5점), 5위는 하츠필드-잭슨 애틀란타(88.1점)이었다. 6~10위는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87.7점), 피닉스 스카이하버(87.6점), 내쉬빌(87.2점), 시카고 오헤어(85.7점), 솔프 레이크 시티(85.4점)의 순이었다. 반면, 샌프란시스코 공항은 60.5점으로 최하위인 30위에 랭크됐고 볼티모어/워싱턴이 29위(60.6점), 존 F. 케네디 28위(64.6점), 워싱턴 둘레스 27위(68.1점), 시카고 미드웨이가 26위(68.1점)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말 할리데이 시즌에 항공편 지연 및 결항률이 가장 높았던 항공사는 27.4%에 달한 스피릿으로 15개 항공사중 1위였다. 이어 젯블루(26.47%), 프론티어(21.77%), 사우스웨스트(19.54%), 얼리전트(19.47%)의 순으로 높았다.   지연 및 결항률이 제일 낮은 항공사는 리퍼블릭으로 6.28%에 그쳤으며 델타(9.83%), 인데버(10.45%), 유나이티드(11.99%), 엔보이(12.73%)의 순으로 낮았다. 휴스턴에 본사를 둔 아메리칸 항공의 지연 및 결항률은 15.46%로 7번째로 높았다.   한편, 마켓워치는 올연말 할리데이 시즌에 여행할 계획이 있는 주민들에게 저렴한 항공편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을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항공요금 대한 알림 설정: 구글 플라이트(Google Flights)와 같은 많은 웹사이트에서 항공료를 추적하고 염두에 두고 있는 목적지와 여행 시간에 대한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은 검색한 날짜의 가격 변경을 표시해준다. ▲여행사를 통한 구입 고려: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여행사는 저렴한 여행 패키지와 할인된 항공료 특가 상품을 제공하므로 평판이 좋은 로컬 여행사에 문의해보는 것이 좋다. ▲리워드 포인트 활용 고려: 상당수 신용카드 업체들이 여행시 사용할 수 있는 리워드 포인트를 제공하며 해당 업체의 플랫폼을 사용해 할인된 항공권을 예약할 수도 있다.     손혜성 기자미국 포트워스 올연말 할리데이 공항 순위 레이드 공항

2024-11-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