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독자 마당] 백수의 왕의 착각

나는 자주 동물의 왕국이라는 프로그램을 본다. 그 속에서 펼쳐지는 동물들의 생존 방식은 경이롭고도 치열하다.     어떤 물고기는 스스로 낚시질을 한다. 이마에서 낚싯줄처럼 가느다란 돌기를 뻗어 그 끝에 작은 미끼를 달고 살랑살랑 흔든다. 이 미끼를 보고 작은 물고기들이 다가오면, 기다렸다는 듯 입을 활짝 벌려 단숨에 삼켜버린다. 악어는 숨어 있다가 목마른 동물들이 물가에 다가오는 순간, 번개처럼 튀어나와 한순간에 물 속으로 끌고 들어간다.     매복 사냥의 대가인 악어를 가장 잘 잡아먹는 동물은 ‘백수의 왕’이라 불리는 사자가 아닌, 그보다 한 수 아래로 평가되는 표범이다. 표범은 악어가 일광욕을 하기 위해 물가에서 벗어나 느긋하게 쉬고 있을 때, 살금살금 다가가 잽싸게 목덜미를 물어버린다.     사자는 비록 ‘백수의 왕’이라 불리지만, 나이가 들어 힘이 빠지면 더 이상 무리에서 먹이를 나눠 받지 못하고 결국 외톨이가 된다. 그렇게 늙은 사자는 더 이상 사냥할 수 없어 배고픔을 견디다 못해 물로 배를 채우기도 한다.   사자처럼 왕좌에 있던 존재도 결국 세월 앞에서는 힘을 잃고, 한때는 당연했던 것들이 점차 사라지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문득 거울을 보니 어느새 87세가 된 나 자신을 발견한다.   배가 고프다. 냉장고에는 먹을 것이 잔뜩 있지만, 정작 먹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음식을 앞에 두고도 젓가락을 들기 어려운 날들이 많아진다. 그럴 때 나는 물을 마신다.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서다. 그 순간, 문득 착각에 빠진다. 혹시 나도 늙어버린 사자처럼, 한때는 기세등등했지만 이제는 물로 배를 채우는 존재가 된 것은 아닐까.   그러나 자연이 그러하듯, 삶도 그러한 것이 아닐까.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받아들이는 자가 살아남는다. 늙어가는 것도 자연의 일부이며, 새로운 방식으로 삶을 받아들이는 것도 하나의 지혜일 것이다. 나는 오늘도 물을 마시며, 사라져가는 것들과 남아 있는 것들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본다. 서효원 / LA독자 마당 백수 착각 악어가 일광욕 생존 방식 매복 사냥

2025-03-10

미 전역에 숨겨진 상자 5개...총 200만불 현대판 보물찾기 시작

미국 전역에 숨겨진 수백만 달러 규모의 보물찾기가 시작됐다. 책 '보물은 이 안에 있다'의 저자이자 성공한 암호 화폐 투자자 존 콜린스-블랙은 전국에 총상금 200만 달러 이상의 보물을 담은 상자 다섯 개를 숨겼다고 밝혔다.   보물을 찾기 위한 단서는 그의 책에서 찾을 수 있다. 책 속 단서는 누구나 해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모든 단서는 책에 담겨 있다고 콜린스-블랙은 전했다. 그는 보물 사냥의 공정성을 위해 극소수의 편집자와 함께 작업했다고 밝혔다. 그는 보물 상자에 담긴 아이템을 엄선, 경매에도 참여해 보물을 완성했다. 상자에는 희귀한 포켓몬 카드, 침몰선에서 나온 유물, 스포츠 기념품, 금과 같은 귀금속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역사를 담고 있는 물건들도 포함됐다. 파블로 피카소, 조지 워싱턴,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가 소유하거나 제작한 물품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그의 애장품으로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가 소유했던 브로치, 96캐럿 에메랄드, 그리고 1960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윌마 루돌프의 메달이 포함되어 있다. 콜린스-블랙은 탐험 중 위험할 수 있는 수중 탐험이나 고지 등반, 사유지 출입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보물을 찾기 위해 땅을 팔 필요도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상자가 몇 년 동안 발견되지 않는다면, 그는 추가 단서를 제공하거나 후속책을 발간해 사람들이 보물을 찾을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한편 그의 책은 서점 및 온라인 구매처에서 약 46달러에 판매 중이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보물 상자 보물 사냥 재클린 케네디

2024-12-04

[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시애틀 추장의 연설문 - 3

그들이 땅을 존경할 수 있도록 그 땅이 우리 종족의 삶들로 충만해 있다고 말해주라. 아이들에게 가르친 것을 그대들의 아이들에게도 가르치라. 땅은 우리 어머니라고. 땅 위에 닥친 일은 그 땅의 아들들에게도 닥칠 것이니, 그들이 땅에다 침을 뱉으면 그것은 곧 자신에게 침을 뱉는 것과 같다. 땅이 인간에게 속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땅에 속하는 것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만물은 마치 한 가족을 맺어 주는 피와도 같이 맺어져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인간은 생명의 그물을 짜는 것이 아니라 다만 그 그물의 한 가닥에 불과하다. 그가 그 그물에 무슨 짓을 하든 그것은 곧 자신에게 하는 짓이다.   자기네 하느님과 친구처럼 함께 걷고 이야기하는 백인들조차도 이 공통된 운명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결국 우리는 한 형제임을 알게 되리라. 백인들 또한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한 가지는 우리 모두의 신은 하나라는 것이다. 그대들은 땅을 소유하고 싶어 하듯 신을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할 지 모르지만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신은 인간의 신이며 그의 자비로움은 홍인에게나 백인에게나 똑 같은 것이다.     이 땅은 신에게 소중한 것이므로 땅을 해치는 것은 그 창조주에 대한 모욕이다. 백인들도 마찬가지로 사라져 갈 것이다. 어쩌면 다른 종족보다 더 빨리 사라질 지 모른다. 계속해서 그대들의 잠자리를 더럽힌다면 어느 날 밤 그대들은 쓰레기 더미 속에서 숨이 막혀 죽을 것이다. 그러나 그대들이 멸망할 때 그대들은 이 땅에 보내 주고 어떤 특별한 목적으로 그대들에게 이 땅과 홍인을 지배할 권한을 허락해준 신에 의해 불태워져 환하게 빛날 것이다.     이것은 우리에게는 불가사의한 신비이다. 언제 물소들이 모두 살육되고 야생마가 길들여지고 은밀한 숲 구석구석이 수많은 인간들의 냄새로 가득 차고 무르익은 언덕이 말하는 쇠줄(電話線)로 더럽혀질 것인지를 우리가 모르기 때문이다. 덤불이 어디에 있는가? 사라지고 말았다. 독수리는 어디에 있는가? 사라지고 말았다. 날랜 조랑말과 사냥에 작별을 고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삶의 끝이자 죽음의 시작이다.     마지막 홍인이 이 땅에서 사라지고 그가 다만 초원을 가로질러 흐르는 구름의 그림자처럼 희미하게 기억될 때라도, 이 기슭과 숲들은 여전히 내 백성의 영혼을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새로 태어난 아이가 어머니의 심장 고동을 사랑하듯이 그들이 이 땅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땅을 팔더라도 우리가 사랑했듯이 이 땅을 사랑해 달라. 우리가 돌본 것처럼 이 땅을 돌보아 달라. 당신들이 이 땅을 차지하게 될 때 이 땅의 기억을 지금처럼 마음속에 간직해 달라. 온 힘을 다해서, 온 마음을 다해서 그대들의 아이들을 위해 이 땅을 지키고 사랑해 달라. 신이 우리 모두를 사랑하듯이. 우리가 이 대지의 일부이듯 그대들 역시 대지의 일부이다. 그리고 이 대지는 그대와 우리 모두에게 귀중한 것이다. 한가지만은 우리는 알고 있다 : 신의 존재가 하나이듯 인간에게도 홍인이든 백인이든 서로 나뉘어 질 수 없다는 것을-. 결국 우리는 한 형제임을 알게 되리라. ([email protected])   한홍기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시애틀 연설문 시애틀 추장 조랑말과 사냥 쓰레기 더미

2022-03-10

김연아, 관중석에서 열렬히 응원…윤성빈 쾌거 이모저모

취재진 몰리자 자리 떠나 ○…'아이언맨' 윤성빈(강원도청)이 금메달을 따낸 현장에는 '피겨여왕' 김연아가 관중석에서 응원하며 힘을 보탰다. 김연아는 피니시 지점 근처에서 털모자ㆍ검은 마스크를 쓴채 박수를 보낸뒤 경기직후 취재진이 몰리며 관중석이 소란스러워지자 조용히 자리를 떠났다. 화창한 날씨속 우승 낭보 ○…한국 썰매 역사상 첫 우승을 일군 16일(이하 한국시간) 의미깊은 설날로 최고기온 영상 2도의 비교적 포근한 날씨를 보이며 윤성빈의 쾌거를 축하했다. 최종 4차 주행이 벌어진 오전 11시에는 영하 1도에 초속 3 안팎의 바람이 불었다. 63cm 달하는 허벅지 둘레 ○…'스켈레톤 괴물' 윤성빈 지난해 2월 SBS 다큐멘터리 '꿈을 넘어 별이 되다'에서 허벅지 둘레가 24.8인치(63㎝)로 전 세계 스켈레톤 선수 가운데 가장 굵은 편이라고 공개하기도. 이는 성인 여성의 허리둘레 사이즈로 서전트 점프(제자리 높이뛰기)도 1m7㎝에 달한다고. <관계기사 4면> 독특한 SNS 언어 구사 ○…경기 때마다 마블의 영화 '아이언맨' 헬멧을 쓰고 경기에 나서 '아이언맨'이란 별명을 지닌 윤성빈은 네티즌들의 성원에 대해 SNS에 '깎'이란 댓글을 달아 눈길. 이를 본 많은 팬들은 "20대 남학생 같다"라며 친근감을 드러내기도. 봉화식 기자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2018-02-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