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열린광장] 부활절과 평행우주

부활절이 다가오면 아내는 흰 백합화로 뒷마당을 장식한다. 백합화는 부활절의 의미인 순결, 희망, 부활 그리고 새 생명을 아름답게 시각적으로 표현하기에 기독교인의 사랑을 받는 꽃이다. 특히, 새 생명은 부활절의 핵심이며 기독교 신앙의 궁극적 목표이기도 하다. 매년 부활절을 맞이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적 사건인 부활을 기념하는 행사도 중요하지만, 기독교에서 부활절이 갖는 참된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이 신앙생활에서 더욱 중요한 부분이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은 단일한 의미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그의 부활과 직결되기 때문에 십자가는 그 자체가 고난을 넘어 영광에로의 통로이며 세상에 대한 승리를 의미한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약함’이지만, 그 약함 후에는 ‘새 생명’이 찾아온다. 그러기에 십자가는 죽음의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영원한 생명을 부여하는 부활의 차원으로 승화한다.   그리고 십자가는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의 현재와 숨겨진 승리를 상기시킨다. 십자가가 이러한 능력을 갖는 것은 다가올 영광된 부활이 마지막 승리와 하나님의 통치를 약속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의 나의 모습을 보면, 결단코 그러한 영광의 자리에 참석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렇다면 오직 의인만 참석할 수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기독교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solus Christus)와 믿음(sola fide)을 통해 장차 올 영광된 부활을 향한 신앙의 진보를 약속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만으로 우리는 의롭다 칭함을 받게 된다.     키에르 케고르가 “선한 행위들이 선한 사람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선한 사람이 선한 행위들을 한다”고 말했다. 우리가 믿음으로 선한 사람이 된 후에 신앙의 행위를 한다면 우리는 의로운 사람인 것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나의 삶은 어떤 것일까. 참담했던 과거의 삶일까, 아니면 매일 성찰하며 진보하는 현재의 삶일까. 참담했던 과거의 삶은 ‘사실(fact)’이며, 진보하는 현재의 삶은 ‘진실(truth)’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실’은 객관적이고 검증 가능한 정보인 반면에, ‘진실’은 주관적 해석이 가미된 더 깊은 의미에서의 참된 것을 뜻한다.     그러면 “나의 진실된 삶은 어디에 실재하는가”라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예수께서 가르치신 천국에 관한 비유에 따르면, ‘좋은 땅’에 떨어진 씨앗이 훗날 삼십 배, 육십 배, 백 배의 결실을 맺는다는 것은 나의 진실된 삶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천국을 평행우주에 연결지어 생각해보면 어떨까. 평행우주는 가상의 우주 모형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우주가 아닌 같은 시간을 공유하는 평행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세계를 말한다. 넓은 의미로 평행우주는 여러개의 우주가 존재한다는 다중 우주다.   이렇게 보면 천국은 우리의 순간순간의 진실된 삶이 실재적 행위로 나타나는 차원일 수 있다. 나의 진실된 삶과 하나님의 차원 안에서 실재하는 ‘또 하나의 나’는 평행우주에서 실재한다는 개념이다.     비록 기독교의 천국과 평행우주는 개념적으로는 다르지만, 둘을 연결지어 생각하는 것은 신학과 과학적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흥미로운 작업이다. 하지만 누군가가 “당신의 진실된 삶과 또 하나의 당신이 평행우주에 존재한다는 것을 어떻게 아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오직 믿음(sola fide)’이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다. 손국락 / 보잉사 시스템공학 박사열린광장 부활절과 평행우주 부활절과 평행우주 예수 그리스도 기독교 신앙

2025-04-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