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에어프레미아, 7대 중 2대 운항 중단…지연·결항 불만 잇따라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대표 이사 김재현, 유명섭)가 결항과 지연사태로 여행객들의 불만이 높은 가운데 일부 기재가 운항 중단 상태로 알려졌다.   본지가 에어프레미아 항공사 측에 확인한 결과 보유 중인 보잉 787-9 7대 가운데 2대(HL 8387, HL8388)가 정비와 안전 검사로 멈춰 서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에어프레미아 LA지점 측에 따르면 1호기 HL8387는 부품 수급 문제로 기다리는 상황이고, 2호기 HL8388는 엔진 오일에서 불순물이 발견돼 교체 중으로 정상 운항 재개 시점은 미정이다.     앞서 에어프레미아는 지난달 27일 방콕- 인천 노선에 도입된 보잉 787-9 7호기(HL8702)가 기체 결함으로 운항이 중단됐지만, 정비를 마치고 9일 기준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에 투입됐다. 또 엔진문제로 운항이 중단되었던 4호기 HL8516 기재도 방콕에서 정비를 마치고 9일 기준 승객 없이 인천항으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어프레미아 LA지점 측은 “지난해 항공기 사고 영향으로 안전에 민감해 정비와 점검에 집중하면서 지난 2~3월 점검 스케줄로 인한 연쇄적인 지연 및 결항 사태가 발생했다”며 “항공기를 7대 보유한 상태에서 점검 및 결함 문제가 생기면 기재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달부터는 글로벌 공급망 이상, 안전 점검 문제로 인한 스케줄 지연이나 결항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 8호기 신규 기재기를 추가하고 호놀룰루 정기노선 추항 등 고객 안전과 편의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기재 운항 중단 부품 수급 에어프레미아 박낙희 연착 결항 보잉 드림라이너 항공기

2025-04-09

트럼프 관세에 차값만큼 수리비도 뛴다

타이어·브레이크 등 차 정비비용도 상승 정비수가 오르면 보험료 인상도 불가피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가 3일부터 발효됐다. 한달 뒤인 다음달 3일부터는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전동장치), 전기 부품 등 자동차 핵심 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가 부과된다.   이에 따라 신차 가격 오름세 만큼 수리 비용도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3일 "관세로 차량 가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타이어, 브레이크패드, 오일 필터 등 부품 비용이 크게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해외 자동차 메이커뿐 아니라 국내 소비자들도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엔지니어링 업체 케어소프트에 따르면 포드의 대표적 픽업트럭인 F-150는 국내에서 100% 조립되지만 24개국에서 2700여개의 부품을 수입한다. 연방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은 지난해 자동차 핵심 부품 수입액은 총 4754억 달러라고 밝혔다.   노크로스의 한인 정비업체는 "자주 쓰는 필터류 제품 외에는 재고를 쌓아두지 않고 수리 요청이 들어오면 그때마다 딜러샵에 주문해 받아쓰는 방식"이라며 "아직은 별다른 영향이 없지만 관세가 발효되면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소규모 업체일수록 재고를 쌓아 관세를 방어할 수 없기 때문에 타격을 크게 받는다. 지역매체 채널2 액션뉴스는 각 부품업체들이 관세 영향을 따지면서 자재 공급이 늦어지는 물류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짚었다.   자동차 정비 수가가 뛰면 이를 지급하는 보험사들이 지출 보전을 위해 보험료를 인상할 가능성도 높다. 둘루스의 코너스톤 보험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이후 높아진 공임, 부품값에 따른 보험료 상승 추세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라면서도 "수리 비용 청구가 많아지면 보험사는 더 탄력적으로 비용을 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트럼프 수리비 관세 영향 도널드 트럼프 부품 수입액

2025-04-03

‘관세 폭탄’에 신차 가격 수천불 오른다

  ━   원문은 LA타임스 4월1일자 “What Trump‘s tariffs mean for car buyers”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자동차 및 부품 수입에 대한 25% 관세가 시행되면, 미국 내 신차 구매자들은 큰 폭의 가격 인상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가 부과하는 자동차 및 소형트럭에 대한 관세는 4월 3일부터, 엔진과 변속기 등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5월 3일 이전까지 적용될 예정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의존하는 주요 기업들의 공급망에도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2024년 미국에서 판매된 약 1600만 대의 자동차, SUV, 소형트럭 중 절반가량은 수입차였으며, 이들 차량은 멕시코, 일본, 한국, 캐나다, 독일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됐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잰디는 “관세가 부과되면 자동차 제조업체는 가격을 올리거나 수익 감소를 감수해야 한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부과 이유로 국가 안보 강화와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을 내세웠다. 제조업체들이 미국 내에 생산 시설을 세우도록 압박함으로써 제조업을 부활시키고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백악관 대변인 쿠시 데사이는 성명을 통해 “미국은 단순한 해외 부품을 들여와 조립하는 국가가 되어서는 안된다”며 “국가 안보와 경제 이익에 중요한 산업의 모든 공급망 단계를 지배하는 제조 강국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백악관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자동차 공급망을 붕괴시키면서 차량 생산에 차질이 생겼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발표 당시 “이제 기업이나 심지어 나라들이 미국에 와서 공장을 짓도록 유도하게 될 것”이라며, 가격이 결국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 내 공장 건설은 수년이 걸리는 장기 과제이고, 일부 기업들은 규제 불확실성 때문에 미국으로의 공급망 이전에 주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또한 과거에도 관세를 협상 카드로 사용해 온 전례에 따라, 이번 조치도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 수단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의 이코노미스트 일한 게킬은 “관세로 이득을 보는 이는 없으며, 모두가 손해를 보게 된다. 다만 손해의 크기가 다를 뿐”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가격, 얼마나 오를까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전문가들은 신차 가격이 수천 달러 이상 오를 것으로 내다본다. 미국에서 제조된 차량이라도, 수입 부품이 포함되면 관세 적용 대상이 된다.   콕스 오토모티브의 수석 애널리스트 에린 키팅은 관세 대상 차량의 경우 가격이 15~20% 인상될 수 있으며, 관세 적용을 받지 않는 차량도 약 5%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고가 차량과의 경쟁이 생기면, 시장은 전반적으로 가격 인상을 수용하게 될 것”이라며, “중고차 가격까지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잰디는 차량 1대당 가격이 5000~1만 달러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캐나다·멕시코산 수입품 관세 발표 직후인 2월, 일반 차량은 4000~1만 달러, 전기차는 최소 1만2000달러 이상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추산한 바 있다.   어떤 자동차 브랜드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까   유럽과 아시아에서 제조된 차량이 미국산보다 관세 타격이 클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수입 부품 의존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테슬라(Tesla)는 차량을 미국에서 생산하지만, 일부 부품은 해외에서 수입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CEO)는 “테슬라도 관세의 영향을 피하지 못한다”며 “그 충격은 여전히 상당하다”고 밝혔다.   도요타(Toyota), 폭스바겐(Volkswagen), 현대(Hyundai), 제너럴모터스(GM) 등은 미국과 해외에서 모두 생산하고 있다.   GM CEO 메리 바라는 1월 실적 발표에서 “GM은 미국, 멕시코, 캐나다에서 트럭을 생산한다”며 “공급망과 조립 공장 전반에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앨라배마와 조지아 공장에서 연간 120만 대 생산 규모로 미국 내 생산을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딜러들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   차량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이 구매를 미루면 딜러 판매량도 감소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토런스에 있는 볼보(Volvo) 딜러의 영업 매니저 주리 클라릭은 “현재로선 상황을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인근의 마틴 쉐보레(Martin Chevrolet) 딜러 매니저 스튜어트 몬테로소는 “고객들이 가격 인상 전에 구매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바쁜 주말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부품이 워낙 여러 나라에서 오기 때문에, 물류망이 매우 복잡하다”며 관세가 실제 판매에 미칠 영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글=퀴니 웡, 샌드라 맥도널드관세 폭탄 관세 부과 자동차 제조업체 자동차 부품

2025-04-02

관세로 신차값 껑충 뛴다…“구매 서둘러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내달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자동차 가격이 최대 1만 달러 이상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자동차 구매를 앞둔 소비자들은 구매를 서두를 것이 권고됐다.     정부는 지난 6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자동차 부품과 완성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한 달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관세 부과가 실행될 경우 자동차 가격 급등을 면치 못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경제 분석 기관인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AEG)은 최근 보고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관세가 시행되면 일부 자동차 모델의 가격이 낮게는 2000달러에서 최대 1만2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AEG의 패트릭 앤더슨 최고경영자는 “비용 증가를 소비자가 모르게 숨길 수는 없다. 대부분의 비용은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며, 일부 모델은 생산이 중단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차례 관세 정책을 변경하면서 일관성이 없는 ‘오락가락’ 관세 탓에 현재 정확한 시행 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올해 자동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라면 되도록 빨리 차량을 구매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관세가 4월에 발효된다 해도 그 지속 기간이 불분명한 만큼, 되도록 가격 상승 여파가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는 여름이 오기 전에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로버트 핸드필드 공급 매니지먼트 교수 또한 “자동차를 올해 안에 구매할 계획이라면 지금이 가장 좋은 시기일 수 있다”며, “관세가 적용되기 전 차량을 구매하면 일반 세단 기준 4000달러, 트럭은 최대 1만~1만2000달러까지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비용 상승을 개별 모델에 집중시키기보다는 전반적인 가격 인상으로 조정할 가능성 또한 높게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JD파워의 타이슨 조미니 분석 담당 부사장은 “관세가 적용될 경우, 국내에서 생산된 차량도 포함해 모든 차량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며,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전체 라인업에 걸쳐 비용을 분산시켜 소비자 부담을 줄이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제조업체에서는 기존 재고가 소진되는 시점부터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재고가 충분한 업체는 당분간 가격을 유지할 수 있지만, 재고가 부족한 일부 브랜드는 더 빨리 가격을 조정할 것으로 예측된다.     조미니는 “관세가 시행되면 몇 주에서 몇 달 사이에 가격 인상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만약 몇 달 내 차량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면 지금 바로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새 차 가격이 오르면 중고차 시장도 함께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비싼 신차 가격에 중고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중고차 가격 역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다. 조미니는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신차뿐만 아니라 중고차 가격도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훈식 기자신차값 자동차 구매 자동차 제조업체들 자동차 부품 관세 박낙희 중고차 신차 인상

2025-03-10

만만찮은 차량 유지비, 잘 살펴야 헛돈 안된다

신차 가격과 오토론 이자율 급등으로 자동차 보유비용이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내면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유지관리비용도 만만치 않은 가운데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운전자들은 딜러나 정비소에서 추천하는 정비라면 비용이 부담되더라도 안전운행을 위해 할 수밖에 없다.   자동차전문매체 드라이버스 드리프트(DD)는 정비사가 추천하는 수리를 무조건 다 하기보다 먼저 검토해 볼 것을 권장했다. 매체가 조언한 돈을 써가면서 반드시 정비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들을 소개한다.   ▶잦은 튠업 정기적인 튠업이 필요하지만, 예전과 달리 최근의 차들은 컴퓨터 시스템이 부품 상태를 최적화하도록 프로그래밍 돼 있다. 따라서 정비소에서 튠업을 권하더라도 최소 2만5000마일이 되기 전까지는 튠업할 필요가 없다.   ▶각종 필터 교체  자동차에는 곳곳에 필터가 설치돼 있는데 수명이 길지 않다. 따라서 딜러나 정비소에서 자주 필터를 교체해야 한다고 하는데 실내 에어필터나 엔진 에어필터는 교체 방법이 어렵지 않아 필터만 사서 직접 하면 50~80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연료 인젝터 클리닝  예전에는 탄소 찌꺼기가 쌓여 막히기 쉬웠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정유회사가 휘발유에 고품질 용매를 첨가해 인젝터의 막힌 부분을 뚫고 청소한다.     ▶부품 교체  20년 전에는 기술력으로 인해 부품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했지만 최근 차들은 설계, 내구성 등이 개선된 부품이 사용된다. 예로 타이어의 경우 과거와 달리 4~5년 정도는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과격한 주행을 하지 않는데도 정비사가 부품 교체를 빨리 권한다면 온라인 등을 통해 부품에 대해 먼저 알아보는 것이 좋다.   ▶트랜스미션 오일 플러싱  변속기 고장은 운전자에게 최악의 악몽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오일 교체만 해도 되는데도 정비소에서 플러싱을 권하기도 한다. 내부를 세척하는 플러싱액의 화학물질이 변속기를 손상시킬수도 있어 일부 자동차업체들은 권장하지 않는다. 필요할 경우를 제외하고 2년에 한 번 이상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전면 유리 교체  운전하다 보면 종종 작은 돌 등으로 전면 유리에 흠집이 나거나 금이 가게 된다. 작은 흠집이나 균열은 300~400달러를 주고 교체하기보다 10~25달러짜리 윈드쉴드 수리 키트로 간단하게 수리할 수 있다. 0.25인치 이상의 흠집이나 3인치 이상의 균열인 경우는 수리해야 한다.   ▶윤활유 서비스  예전과 달리 최근 차들은 일부 부품이 ‘영구 윤활’ 처리가 되는 등 윤활 작업이 잘 돼 있어 잦은 서비스가 필요 없다. 이 같은 내용이 잘 안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비소에서 서비스 목록에 윤활 비용을 추가하기도 한다.   ▶휠 얼라인먼트 조정  차량 쏠림을 막고 타이어 편마모를 방지하는 휠 얼라인먼트는 일반적으로 2년에 한 번 정도 하는 것이 좋지만, 차량의 도로 접지력이 좋고 조향 떨림이나 쏠림이 없다면 조정할 필요가 없다.   ▶에어컨 냉매 재충전  예전 차량에서는 에어컨 냉매 재충전이 종종 필요했지만 최근 차들은 그럴 필요가 없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누출 가능성이 적은 냉매(R134a)를 사용하므로 손실 가능성이 훨씬 작기 때문이다.   ▶왁싱 왁싱이 만족감을 주지만 잦은 왁싱은 돈 낭비다. 현재 왁스 성분은 보호 기능이 뛰어나 1년에 한두 번 정도면 된다. 비, 눈, 먼지 등 열악한 환경이라면 연간 3~4회 정도 할 수 있다.     ▶전조등 관리  오래된 차량의 전조등이 누렇고 뿌옇게 되는 것과 달리 최근 차들은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돼 있어 세차 때마다 청소해 주는 것 이외에 별도의 관리가 필요 없다.   ▶프리미엄 타이어  프리미엄 타이어는 확실히 더 튼튼한 재질로 만들어졌지만, 급가속, 급제동 등 공격적인 운전자가 아니라면 중급 타이어로도 충분하다.   ▶호스 교체  각종 호스 교체는 큰 비용이 들지 않지만 자주 하다 보면 돈 낭비가 된다. 최신 차량에 사용된 호스들의 수명은 최대 10년 정도기 때문에 교체 전에 마모 상태 등을 살펴봐야 한다.   ▶브레이크 캘리퍼 교체  브레이크 패드 교체 시 종종 캘리퍼도 함께 교체해야 한다는 조언을 듣게 되지만 일반적인 주행 습관, 환경이라면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키는 캘리퍼에 문제가 있을 경우 분해 후 측면 핀에 윤활유만 발라도 정상 작동할 수 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유지비 부품 교체 오일 교체 정비 딜러 정비소 수리 Auto Show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09-04

가짜 에어백 인명피해 발생…NHTSA, 위험성 재차 경고

위품 에어백 문제로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정부기관이 경고에 나섰다.   전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여러 언론을 통해서 위품 에어백의 심각성〈6월 26일자 중앙경제 1면〉이 알려지고 실제로 3명이 목숨을 잃고 2명이 중상을 입는 등 인명 피해가 나오자 이에 대한 성명을 최근 발표했다.     NHTSA 측은 성명서를 통해 “2차 시장을 통해서 유통되는 가짜 부품으로 인해 에어백이 오작동하거나 에어백이 작동하는 상황에서 인플레이터의 금속이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었다”며 “이로 인해 크지 않은 사고임에도 운전자가 사망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이런 위품 에어백은 품질을 보장하지 않는 외국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으며 정가보다 훨씬 싼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NHTSA는 ▶에어백이 위품으로 의심될 때는 신뢰할 수 있는 정비업체나 딜러십에서 검사받기 ▶에어백을 교체할 때 브랜드와 부품 원산지 확인하기 ▶지나치게 싼 가격의 자동차 부품은 의심하기 등을 통해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에어백에 문제가 있거나 의심이 되면 소비자는 NHTSA의 웹사이트(nhtsa.gov)나 핫라인(888-327-4236)을 통해서 신고할 수 있다.   조원희 기자 [email protected]인명피해 에어백 가짜 에어백 위품 에어백 가짜 부품

2024-07-14

아이폰15부터 수리비 싸진다…애플, 중고부품으로 수리 가능

애플은 올가을부터 아이폰 일부 기종에 대해 새 정품이 아닌 중고 부품으로도 수리를 할 수 있게 된다고 11일 밝혔다. 애플에 따르면 중고 부품으로 수리가 가능한 부분은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앞으로 출시될 아이폰의 생체 인식 센서 등이다. 중고 부품 수리는 지난해 출시한 아이폰15부터 가능해지며 아이폰 수리에 드는 비용이 그만큼 줄어들게 됐다.   애플은 그동안 아이폰 이용자가 자신의 기기를 수리할 때 ‘부품 페어링’을 거쳐 새로운 정품으로만 수리할 수 있도록 해왔다.   기기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 새 부품을 이용하도록 하고 중고 부품이나 비슷한 다른 부품을 사용할 경우 새로 장착한 부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알림이 떴다. 이에 일부 기능은 부품을 교체해도 아예 작동하지 않기도 했다.   애플은 이날 중고 부품에 대한 이같은 알림을 없애는 한편 앞으로 이용자가 수리점에서 부품 주문 시 기기의 일련번호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애플은 아이폰이 도난당했을 때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는 ‘액티베이션 락’(Activation Lock) 기능을 부품까지 확장하기로 했다. 애플은 “액티베이션 락이 걸린 다른 기기로부터 확보한 부품으로 수리할 경우 그 부품의 기능이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애플의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인 존 테너스는 “수리 프로그램의 확장으로 고객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편의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우리 제품과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정혜정 기자아이폰 애플 수리 프로그램 수리 가능 중고 부품

2024-04-14

[오늘의 생활영어] hook it up; (전기 부품 등을) 연결하다

(Joe sees his brother Dennis walking into the house carrying boxes … )   (조우가 상자들을 들고 집에 들어오는 동생 데니스를 본다…)   Joe: So you bought your new computer?   조우: 그럼 새 컴퓨터를 산 거니?   Dennis: Yes. It's all here.   데니스: 응. 여기 다 있어.   Joe: Are you going to hook it up now?   조우: 지금 연결할 거야?   Dennis: Yes. Can you give me a hand with these boxes?   데니스: 응. 상자들 옮기는데 나 좀 도와줄 수 있어?   Joe: Sure.   조우: 물론.   Dennis: And thank you for the loan of two hundred dollars to buy it.   데니스: 그리고 이거 사는데 200달러 빌려줘서 고마워.   Joe: That's okay. And don't forget you said you'd wash my car for three months.   조우: 괜찮아. 3개월동안 내 차 세차해준다고 한 것 잊지 마.   Dennis: Will do.   데니스: 그럴게.   Joe: It's important to keep your word.   조우: 약속 지키는 건 중요한 거야.   Dennis: I know. I know.   데니스: 알았어 알았다고.     ━   기억할만한 표현       * give (one) a hand (with): ~가 ~하는 것을 도와주다   "Would you give me a hand with this window? I can't open it."     (이 창문 여는 것 좀 도와줄래요? 열 수가 없네요.)   * will do: 그럴게요   Jim: "Would you turn on the air conditioner?" (에어컨 좀 켜주실래요?)   Roger: "Will do." (그러죠.)   * keep your word: 약속을 지키다   "If you don't keep your word people won't trust you."     (약속을 안지키면 사람들이 당신을 신용하지 않을 겁니다.)오늘의 생활영어 hook 전기 전기 부품 조우가 상자들 brother dennis

2024-03-14

NVH코리아, 조지아서 전기차 배터리 부품 생산한다

현대자동차 그룹에 전기차 부품을 공급하는 NVH코리아가 애틀랜타 남부 로커스트 그로브에 7200만 달러를 투자해 공장을 짓는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실은 22일 이같이 밝히고, 이로 인해 160여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프랑스를 방문 중인 켐프 주지사는 항공 엔진 업체인 프랫 앤드 휘트니가 2억6000만달러를 투자, 콜럼버스 공장 확장을 통해 4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NVH코리아는 소음과 진동, 열 제어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조지아에서는 배터리 생산에 집중,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전기 자동차 회사에 배터리 부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날 주지사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조지아주가 e-모빌리티, 배터리 산업의 메카로 발돋움 해 나가는데 NVH코리아와 함께 하게 됐다”고 환영했다.   구자겸 NVH코리아 대표이사 겸 회장은 “이곳이 NVH의 첫 전기차 배터리 부품 공장이 될 것”이라며 “모빌리티 산업의 전동화에 기여하기 위한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NVH코리아는 한국과 유럽, 인도 등지에도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회사인 AFS아메리카가 이미 콜럼버스에 진출, 바닥 메트와 화물 메트, 화물 트레이 등을 생산하고 있다.   토머스 공 기자코리아 조지아 전기차 배터리 배터리 부품 배터리 생산

2023-06-22

부품 품귀…차수리에 '수개월'…바디숍, 파트 못구해 '발동동'

두 달 전 교통사고로 차를 바디숍에 맡긴 김모씨. 운전석 문짝과 앞바퀴 쪽이 찌그러지고 부서졌지만, 정비소에서 금방 고칠 것이라 생각했다고 한다. 하지만 김씨의 차는 두 달째 그대로 있다. 김씨는 “정비소에서 제조사 공장 측에 대체할 부품을 주문했지만 배달이 안 온다고 한다. 보험사의 렌터카 보장 기한도 지나 머리가 아플 정도”라고 말했다.   운전자라면 작은 접촉사고라도 각별히 조심해야 할 시기다. 바디숍마다 차량 부품을 구하지 못해 교통사고 차량이 들어와도 마냥 기다리는 경우가 늘었다. 특히 상당수 정비소는 부품을 주문하고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는 ‘백오더(backorder)’ 현상이 일상이 됐다고 전했다.   LA한인타운 ‘우리자동차 바디&정비’ 존 고 대표는 “차량 제조 공장에서 재고가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딜러에 부품을 주문해도 언제 나올지 모르니 기다리라고만 한다”며 “일부 차종의 경우 부품이 없어서 손님이 2~3개월째 차를 몰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비업체에 따르면 차량 부품 품귀현상은 전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차량 문짝, 보디 패널, 프레임 부품 등 교통사고 시 심하게 부서지는 보디 파트 재고가 바닥난 상황. 다만 엔진과 트랜스미션 관련 내연기관 부품 수급은 예년과 비슷하다고 한다.   ‘제일정비바디’ 강성봉 대표는 “예를 들어 테슬라 차량의 경우 교통사고가 나면 교체할 파트 구하기가 정말 어려울 정도”라며 “정비소마다 사람도 부족한 상황이다. 차를 고치려면 미리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NBC4 뉴스는 바디숍 정비사 모임 SCRS를 인용해 전국에서 차량 파트 공급문제가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모임 관계자는 파트 재고 부족과 공급문제는 1년 전부터 시작됐고 최근 들어 더 심화했다고 전했다.   정비소를 운영하는 토드 헤스포드는 “30년 동안 일하면서 이런 일을 처음 겪는다”면서 “주요 차량 제조사마저 파트를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공급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범퍼, 헤드라이트, 바퀴 덮개, 문짝까지 구하기가 쉽지 않아 수백 마일 떨어진 곳까지 가서 가져오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차량 파트 부족 현상이 계속되자 현명한 차량관리 방법도 주목받고 있다. 자동차 평가 전문기관 켈리블루북(KBB) 브라이언 무디는 “차량 파트를 구하기 힘들다면 안전과 직결된 수리를 우선하고 외형 등은 나중에 고쳐도 된다”며 “또한 보험에 가입할 때도 렌터카 보장 기간을 길게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차수리 수개월 차량 부품 차량 파트 바디숍 정비사

2023-02-17

현대모비스, 조지아에 두 번째 공장 짓는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3일 브라이언 카운티 리치몬드 힐에 9억 2600만 달러 규모의 전기차(EV) 부품 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조지아 해안 근처에 짓는 이번 공장은 일자리 약 1500개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부품 공장은 자동차 파워트레인을 생산하게 되며, 지난달 착공식을 치른 엘라벨 시의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웨스트포인트의 기아차 공장, 앨라배마의 현대차 공장에 부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자동차의 파워트레인은 엔진 혹은 동력원에서 동력을 발생시켜 자동차를 움직이게 하는 부분(바퀴)까지의 전달장치를 지칭하는 말이다.   또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새로 발표한 공장에서 연간 90만 대의 전기차 전력 시스템과 연간 4만 5000대의 통합 충전제어 장치를 구축할 예정이다.     새로 발표한 부품 공장은 현대 메타플랜트에서 약 40분 떨어져 있으며, 2024년에 오픈할 예정이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단 2주 만에 해당 지역에 위치할 두 번째 협력업체를 발표함에 따라 주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곧 뒤따를 다른 일자리 창출 목록이 늘어나는 것을 보게 되어 기쁘다"고 전했다.   윤지아 기자현대모비스 조지아 현대모비스 조지아 부품 공장 기아차 공장

2022-11-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