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공공의 건강 지키는 성과에 연구 보람" SDSU 백종득 보건행정·정책학 교수

"지식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면 누구나 쉽게 얻을 수 있죠.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지식을 사용할 때의 태도인 '인성'입니다. 제자들이 사람다운 인재로 거듭나 더 넓은 세계에서 진정한 리더십을 발휘하길 바랄 뿐입니다."   '의료'와 '행정', 매우 상이한 것처럼 들리는 두 분야를 서로 아우르는 학문 분야가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명칭조차 생소한 '보건행정 및 정책학'이 그런 분야다.  샌디에이고 주립대(SDSU)에서 이 분야의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 한인 교수가 주목 받고 있다. 이 대학 보건행정 및 정책학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백종득 교수가 주인공이다. 백 교수는 로 지난 2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보건행정과 보건정책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보건행정 및 정책학은 효율적이고 공정한 보건 시스템 구축과 공공의 건강을 위한 정책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건정책과 관리가 잘 이뤄지지 않으면 의료자원의 낭비나 건강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이 분야의 연구와 실행은 공공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백 교수는 경희대에서 경영학 학사와 석사, 서비스 운영관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에서 박사 과정을 밟던 중 더 넓은 세계에서 꿈을 펼쳐보라는 은사의 권유에 유학까지 결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새로운 땅에서의 시작은 결코 쉽지 않았다. 한국에서 1년 6개월 유학을 준비했지만 막상 미국에 도착하니 도저히 말문이 트이지 않았던 것. 수업 중 사소한 질문부터 레스토랑에서 간단한 주문까지 타지에 홀로 온 한국 청년에겐 쉬운 일이 하나 없었다. 당시 유일한 낙은 주말 내내 피자 한 판과 함께 반지의 제왕 시리즈를 시청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백 교수는 자신의 가능성을 믿었고 그 힘으로 외국에서의 새로운 박사과정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립대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한 백 교수는 2007년엔 '박사후과정'(postdoc) 과정에 돌입했다. 그는 우수한 성적과 풍부한 연구 경험으로 포닥 7~8개월 만에 샌디에이고 주립대에서 교수직 오퍼를 받았고 이듬해 가을학기 부터 근무를 시작할 수 있었다.   교수 부임 이후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2014년 엘 센트로에 있는 유방암 환우를 위한 비영리단체 '사막 암 지원 센터(Cancer Resource Center of the Desert, CRCD)'를 위해 보조금을 유치한 것이다.   당시 무작정 전화를 걸고 찾아갔던 이 단체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았다. 준비된 서비스는 많았지만 센터를 찾는 환자는 적었고, 센터가 원활히 운영되기에 재정은 턱없이 부족했다. 셀 수 없이 많은 기관의 문을 두드린 결과 마침내 임페리얼 카운티 상수지구에서 60만 달러에 이르는 지원금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런 백 교수의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모습은 동료 교수들과 학생들 사이에서 큰 인정을 받았다. 그는 SDSU 재직 중 2016, 2018, 2020년 '골든 애플 어워드'(우수 교육자상) 수상을 비롯해 2010년과 2013년에는 '명예 교육자상', 2010년 '올해의 대학원 조언자상' 등을 받았다.   "하나님께서 제게 교수라는 직책을 주신 것은 뜻하신 바가 있기 때문이라고 믿습니다. 앞으로도 제 자리에서 사명을 갖고 학생들을 도와 지역 사회에 더욱 선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교수가 되길 소망합니다." 박세나 기자보건행정 정책학 대학 보건행정 교수직 오퍼 한인 교수

2025-04-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