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H마트, K푸드 열풍 타고 매장 확대 박차

미주 최대 아시안 수퍼마켓 체인 H마트가 K푸드 인기에 힘입어 전국적인 매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가주를 비롯해 플로리다, 워싱턴, 뉴저지 등 주요 지역에서 신규 매장 오픈 및 대대적인 리노베이션 계획을 발표하며, 아시아 식품 시장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굳히고 있다.   H마트는 우선 오렌지카운티 웨스트민스터 지역 비치 불러바드에 약 7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신규 매장을 올가을에 오픈할 예정이다. 이곳에는 홍콩반점0410, 무봉리순대국, 죠스떡볶이, 공차, 뚜레쥬르 등 11개 인기 브랜드가 입점하는 대형 푸드홀이 함께 조성된다.     플로리다에서는 현재 개점을 준비 중인 올랜도 매장에 이어, 탬파 웨스트 힐스버러 애비뉴에 두 번째 플로리다 매장 건설 계획을 시 당국에 제출했다.     워싱턴주 시애틀에서도 발 빠르게 매장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밸러드 지역에 주류 판매 허가를 신청하며 새 매장 오픈을 공식화했다. 이곳은 이전에 뉴 시즌스마켓이 있던 자리로, 한인 및 아시아계 커뮤니티에 큰 편의를 제공할 전망이다.   뉴저지 체리힐 매장은 24년 만에 전면 리노베이션에 들어간다. 기존 매장을 새로 단장하고, 폐업한 식당 및 소매 공간을 철거해 푸드코트, 베이커리, 소매 매장으로 재구성할 예정이다.   체리힐 지역은 아시안 인구 증가와 함께 아시아 식품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어, 이번 리노베이션이 지역 주민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H마트는 올해 초부터 신규 매장 오픈을 가속화하며 치열한 시장 경쟁을 주도했다.   1월에는 일리노이주 어바나에 3만5000스퀘어피트 규모 매장을 오픈했다. 시카고 외 지역 첫 매장이자 일리노이주 여섯 번째 매장으로, 죠스 떡볶이, 초당순두부, 홍콩반점0410, 파리바게뜨 등 네 개 브랜드가 입점한 푸드홀이 함께 운영되고 있다.   2월에는 텍사스 오스틴에서 ‘마켓이터리’라는 새로운 한식 푸드홀 콘셉트를 선보였다. 이어 캘리포니아 치노에도 3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신규 매장을 개점했고, 최근에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 첫 매장을 열었다. 약 5만5000 스퀘어피트 규모로, 홍콩반점0410, 죠스 떡볶이, BBQ치킨 등 7개 인기 아시아 푸드 브랜드가 입점해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매장 확장과 더불어 H마트는 지속 가능한 경영에도 힘을 쏟고 있다. 캘리포니아 5개 매장의 냉장 진열장에 절연 유리문과 밝은 LED 조명을 설치해 연간 약 30만 달러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7만 달러의 유틸리티 인센티브를 확보했으며, 식품 신선도 향상과 매장 쾌적성 개선, 판매 증대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예상된다.     1982년 뉴욕 퀸즈 우드사이드에서 첫 매장을 연 H마트는 현재 18개 주에 걸쳐 1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약 6000명의 직원과 5개의 지역 물류센터 및 가공시설을 보유하며 미주 최대 아시안 수퍼마켓 체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은영 기자박차 확대 매장 확대 플로리다 매장 매장 오픈

2025-04-28

케이팝모터스, 호텔신라-대명소노벨리와 함께 울릉도 스마트 베드타운 사업 박차 가한다

케이팝모터스(총괄회장 황요섭)는 국내 호텔업체인 ‘호텔신라’ 그리고 국내 리조트업체인 ‘대명리조트소노벨리’로부터 지난 23일과 27일에 각각 울릉도 스마트아일랜드호텔의 운영에 대한 참여의향서를 접수받고 관련사업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황요섭 회장의 이번 스마트호텔사업은 2021년 2월에 세계적인 호텔체인 ‘라마다호텔 울릉’에 투자 참여한 후 2년 만의 쾌거다. 본 사업은 울릉도를 명실상부한 국제적인 스마트아일랜드의 시범지역으로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황 회장은 “앞으로 울릉공항이 개항돼 주요 국내공항과 연결되면, 현재 시행 중인 대규모 호텔과 리조트의 완성과 함께 울릉도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천혜의 관광지가 될 것이다”라며 “또한, G20 국가의 주요 관광지 섬에 글로벌스마트아일랜드라는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 IoT 및 메타버스 등이 결합된 신개념 환경관광지로서 자리매김하게 돼 모든 주요 국가의 관광지 섬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블루오션 사업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황 회장은 환경과 관련한 적법한 절차 등을 거쳐 세계최고의 케이블카 및 곤돌라(삭도)업체와 손을 잡고 설악산 케이블카 운행 승인내용처럼 울릉도에도 어린이와 노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섬을 일주하는 케이블카 및 곤돌라를 설치, 운행할 계획이다.      박원중 기자 ([email protected])대명소노벨리 호텔신라 울릉도 스마트아일랜드호텔 이번 스마트호텔사업 사업 박차

2023-03-02

기아 ,NBA디트로이트 피스톤스와 파트너십 체결하며 13팀과 마케팅 박차

  기아 미국 판매법인은 2월 20일(일요일) 개최될 2022 NBA 올스타전을 앞두고 디트로이트 피스톤스(Detroit Pistons)와 오피셜 자동차 브랜드 부문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NBA 13팀으로 파트너십을 늘렸다.  기아는 작년에 NBA 전체 마케팅 파트너십 연장을 발표했으며, 현재 15번째 시즌을 함께 하고 있다.   러셀 와거(Russell Wager) 기아 미국판매법인 마케팅 담당 부사장은 "농구의 열렬한 팬으로서 기아의 NBA 파트너십 팀 명단에 디트로이트 피스톤스가 추가된 것을 열렬히 환영한다"라고 말했다. "앞으로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와 함께 디트로이트 피스톤스를 사랑하고 응원하는 팬들에게 기아 브랜드의 전동화 및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위한 힘찬 노력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의 추가로 기아는 이제 애틀랜타 호크스, 샬럿 호네츠, 시카고 불스,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골든 스테이트 워리어스,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마이애미 히트,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뉴욕 닉스, 올랜도 매직,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와 피닉스 선즈의 13개의 NBA 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기아는 NBA의 혁신적인 프로그램, 경품 및 흥미진진한 팬 참여를 통해 Kia NBA Tip-Off부터 YouTube TV가 제공하는 NBA Finals까지 NBA 일정 전반에 걸쳐 기아 브랜드를 알리는 기회를 만들어 나간다.      디트로이트 파트너십 기아 nba디트로이트 마케팅 박차 기아 브랜드

2022-02-08

반기문 동생·조카 뇌물 혐의 기소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의 동생과 조카가 뇌물수수혐의 등으로 연방검찰에 기소됐다. 한국에서 차기 대권에 도전할 뜻을 비추고 있는 반 전 총장으로 수사가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까지 나오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뉴욕남부연방검찰은 10일 반 전 총장의 동생 반기상 전 경남기업 고문과 조카 반주현씨가 약 8억 달러에 달하는 베트남의 랜드마크72건물 매각과 관련, 중동국가의 관리들에게 50만 달러의 뇌물을 건네려 한 혐의로 전격 기소했다. 반기상씨는 경남기업 고문으로 일하면서 자살한 성완종 경남기업회장에게 자신의 아들 반주현씨를 통해 경남기업 소유의 랜드마크72건물을 매각하게 해주겠다고 장담했고, 반주현씨는 경남기업으로부터 수수료만 받아 챙긴 뒤 카타르 투자청 등의 서류를 위조한 사실이 드러났다. 반주현씨는 경남기업으로부터 제소됐고 한국법원에서 패소판결을 받았다. 재판과정에서 반주현씨는 큰아버지인 반 전 총장을 통해 카타르왕실과 접촉, 랜드마크72를 매각하겠다고 주장한 사실이 드러나는 등 반 전 총장도 이 사건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 전 총장은 조카인 반주현씨의 뉴욕 결혼식에 참석한 것은 물론 주례자를 직접 물색하는 등 사실상 아버지 역할을 하며 물심양면으로 도왔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재야언론인 안치용씨가 운영하는 시크릿오브코리아는 지난해 10월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이 사이트는 반 총장이 대선 후보로 나선다면 병역기피 도피자이며 사기꾼인 조카를 도왔다는 점은 도덕성 논란을 부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병일 기자 [email protected]

2017-01-10

반기문 동생(반기상)·조카(반주현) 뇌물죄 기소

경남기업이 베트남에 건설한 72층짜리 주상복합 건물 '랜드마크72'의 매각과 관련해 사기 의혹을 받았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조카 반주현(38.미국이름 데니스 반.사진 왼쪽)씨가 아버지이자 반 전 총장의 동생인 반기상(69.오른쪽)씨와 함께 외국 관리에게 250만 달러 규모의 뇌물을 주려 한 혐의로 연방검찰에 의해 기소됐다. 10일 연방검찰 뉴욕남부지검은 주현씨와 아버지 반씨 그리고 이들과 공모한 미국인 말콤 해리스를 외국 공무원에 뇌물공여 등의 행위를 금지한 '외국부패방지법(Foreign Corrupt Practices Act.이하 FCPA)' 위반과 공모 돈세탁 신분도용 등의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주현씨는 이날 뉴저지주 테너플라이에서 체포됐고 뇌물로 사용될 돈이 미국에서 유통되는 데 도움을 준 한인 존 우(35)씨도 이날 JFK공항에서 체포됐다. 이들은 이날 오후 열린 인정신문에서 각각 보석금 25만 달러와 10만 달러를 내고 풀려났다. 그러나 주현씨의 아버지 반씨와 해리스는 이날 검거되지 않았다. 검찰이 공개한 기소장에 따르면 주현씨와 반씨는 랜드마크72를 중동의 한 국가에 매각하기 위해 해당 국가의 고위 관리에게 뇌물을 주려 한 혐의를 받고 있다. 랜드마크72는 지난 2015년 비리 의혹으로 수사를 받던 중 자살한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어가며 2011년 하노이에 완공한 건물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분양과 매매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이후 채권단으로부터 압박을 받아왔고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경남기업은 건물 매각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반씨 부자가 개입됐다. 아버지 반씨는 당시 경남기업의 고문이었고 주현씨는 뉴욕 맨해튼에 있는 대형 부동산 중개업체에서 브로커로 근무하고 있었다. 반씨 부자는 중동 국가의 한 나라에 이 건물을 8억 달러에 매각할 계획을 세운 뒤 해당 국가의 고위 관리에게 뇌물을 주고 매매를 성사시키려 했다는 것이 검찰의 설명이다. 프릿 바라라 뉴욕남부지검장은 "반씨 부자는 베트남의 72층 건물을 8억 달러에 매각하는 계약을 성사시키기 위해 외국 관리에게 뇌물을 제공하려 했다"며 "특히 뉴욕에서 부동산 중개인으로 일했던 주현씨는 이 매매가 성사되면 수백만 달러의 커미션을 받을 예정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현씨는 이 매매를 성사시키지 못했고 뇌물로 쓰일 돈마저 떼이고 말았다. 거래를 추진하던 중동 국가 관리와 연결시켜 매매를 성사시켜 주겠다고 했던 해리스가 중간에서 뇌물로 쓰일 돈을 가로채고 잠적한 것이다. 지인의 소개로 만난 해리스는 중동의 한 국가 왕족과 친분이 있다고 주장했고 주현씨는 이를 통해 랜드마크72를 해당 국가의 '국가펀드'에 매각하려했다. 해리스는 이 과정에서 주현씨에게 해당 국가의 관리가 뇌물을 요구한다며 노골적으로 돈을 주문했고 주현씨는 경남기업의 고문인 아버지 반씨에게 뇌물로 쓸 자금을 주문했다. 이들이 최종적으로 제공하려한 뇌물 규모는 첫 착수금 50만 달러에 매매 계약 후 성공 보수금 200만 달러였다. 이에 경남기업은 반씨 부자의 주문대로 지난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총 50만 달러를 미국으로 송금했고 이 돈은 결국 해리스가 착복했다. 이번 사건을 수사한 연방수사국(FBI) 윌리엄 스위니 뉴욕 부지부장은 "경남기업이 자금 유동성 위기에 처해 매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반씨 부자는 합법적인 방법보다 해리스를 통해 뇌물로 매매 계약을 해결하려 했다"며 "결국 이들이 판 함정에 자신들이 빠진 셈"이라고 지적했다. 기소장에는 해당 국가가 어디인지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난 2015년 성 회장 자살 한 달 뒤 JTBC 등은 경남기업이 1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해 랜드마크72를 건축하면서 빚더미에 앉게 되자 카타르 투자청과 랜드마크72 건물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서승재 기자 [email protected]

2017-01-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