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네이티브 잉글리시] 이름 ‘미키’에 숨은 뜻

봉준호 감독의 화제작 ‘미키 17’은 얼음 행성을 식민지화하기 위해 파견된 인간 탐험대의 일회용 직원 미키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에드워드 애슈턴의 2022년 소설 『미키 7』이 원작이다. 주인공 ‘미키(Mickey)’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 ‘미키’가 영어 이름이긴 하지만 사실 그리 흔한 이름은 아니다. 이는 ‘마이클(Michael)’의 축약형으로, 좀 더 귀엽고 어린아이 같은 느낌을 주는 변형이다. 마이클이 미키(Mickey 또는 Micky)가 되듯이, 존(John)은 조니(Johnny), 데이비드(David)는 데이비(Davey), 제임스(James)는 짐(Jim)이나 지미(Jimmy)로 불리기도 한다.   영어에서는 이러한 애칭들이 독립적인 이름으로 정착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닉(Nick)은 니콜라스(Nicholas), 샘(Sam)은 새뮤얼(Samuel), 짐(Jim)은 제임스(James)의 애칭에서 유래했지만, 이제는 많은 사람이 별개의 이름으로 쓴다. 반면, 미키(Mickey)처럼 여전히 애칭으로 주로 사용되는 이름들은 다소 유치하거나 미성숙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특히 ‘미키’라는 이름은 역사상 가장 유명한 미키, 즉 디즈니 애니메이션 캐릭터인 미키 마우스 때문에 더욱 어린아이 같은 이미지가 강해졌다. 이런 점을 미뤄봤을 때 책이나 영화 속 주인공의 이름으로 약간 우스꽝스러운 느낌을 주는 ‘미키’를 선택한 것은 의도적인 것으로 보인다. 몇 년 전 한 인터뷰에서 애슈턴은 “‘미키’라는 이름은 독자들에게 이 책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즉각적으로 알려준다”고 말했다. 이야기 속에서 다소 어두운 주제가 다뤄지더라도, 이 이름을 통해 코미디 요소가 있는 작품임을 전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영국 독자들에게 ‘미키’라는 이름은 또 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는 영화의 줄거리와도 절묘하게 맞아 떨어진다. 영국 영어에서 ‘take the mickey’는 누군가를 조롱하거나 비웃는다는 뜻의 관용 표현이다. 흔히 “Are you taking the mickey? (지금 놀리는 거야?)”처럼 질문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 어떤 상황이 매우 짜증 나거나 불공평할 때도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 pounds for a pint? Are you taking the mickey? (맥주 한 잔이 10파운드야? 지금 장난해?)”라는 식이다. 최근에는 장난하냐는 의미로 더 직설적인 ‘take the piss’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자칫하면 욕설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take the mickey’가 널리 사용된다. 짐 불리 / 코리아중앙데일리 에디터네이티브 잉글리시 mickey 미키 미키 마우스 반면 미키 에드워드 애슈턴

2025-04-02

디스토피아 속 소모품 된 인간 이야기

재미있지도, 감각적이지도, 날카롭지도 않다. 그의 전작 ‘기생충’에 비하면.     강렬하고 번뜩이는 풍자, 놀라움을 주는 순간들이 있다. 우선 영웅을 ‘소모품’으로 설정한 스토리가 그렇다. 지난 7일 개봉 이후 전반적으로 괜찮은 영화라는 평가다. 로튼토마토 지수 77%.   영혼이 담긴 공상과학 ‘미키 17’이 오스카 작품성을 수상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미래의 거장 봉준호의 고민이 보인다.   봉준호는 2019년 영어가 아닌 언어로 제작된 영화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은 감독이다. ‘기생충’은 1140만 달러의 제작비로 2억 62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기생충’ 이후 5년 만에 내어놓은 ‘미키 17’은 모든 면에서 ‘기생충’과는 거리가 멀다.     칸 영화제, 아카데미상 등에서 돌풍을 일으킨, (국제무대에서의) 신예 감독의 차기작은 늘 팬들의 기대와 흥행이라는 두 가지 이슈와 마주친다. 봉준호에게는, 그가 존경하는 마틴 스코세이지와 같은 거장으로 가는 길이다.   ‘미키17’는 디스토피아 시대 클론에 관한 이야기다. 미래 사회의 복제 인간을 이야기하고 그에 대해 어두운 전망을 제시한다. 사람을 복제하는 것이 윤리적인지에 대한 도덕성의 문제에도 무거운 질문을 던진다. 여전히 봉준호 특유의 냉소적인 유머가 살아 있다.     2054년, 암울한 시대. 별 볼 일 없는 삶을 사는 미키(로버트 패틴슨)와 그의 친구 티모(스티브 연), 그들이 함께하는 마카롱 사업은 폐업했고 협박에 가까운 고리대금업자의 빚 독촉을 피해 우주선에 탑승한다. 강성 정치인 출신의 케네스마샬(마크 러팔로)이 지휘하는 니플하임 행성 이주 프로그램, 케네스는 그의 사악한 아내 일파(토니 콜렛)와 니플하임(Nilfheim)이라는 행성을 식민지화하려 한다.     미키는 멍청하고 티모는 약삭빠르다. 티모는 조종사로 지원하지만 미키는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소모품(expendable)’에 지원한다. 소모품은 독성 물질에 노출된 인간, 실험용 쥐와 같은 존재다. 임무의 끝은 죽음이다.     소모품이 죽으면 재활용되고 인체 생성 프린터로 재생산된다. 그들의 기억은 새로운 신체의 뇌에 다운로드된다. 그 신체는 다른 임무로 보내진다. 16번째 임무를 마친 후 새로 태어난 미키 17은 우주선에서 경비원인 나샤(나오미 아키)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4년후 소모품으로서 쓰임을 다한 미키 17, 미키 18로 재생된다. 그러나 니플하임의 토착 종족 크리퍼의 도움으로 미키 17이 살아남는 멀티플 오류가 발생한다. 니플하임에서는 한 번에 한 명의 재생품만 존재할 수 있다. 자기가 먼저 죽겠다는 미키 17의 이타심, 그러나 둘 다 죽어야 하는 상황!       2명의 미키와 나샤는 케네스와 일파의 조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들과 사투를 벌인다.     봉준호와 패틴슨의 결합! 예술과 흥행 사이의 달콤한 지점에서 양쪽 모두를 충족시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아트 필름, 인디 지향의 시네파일들인 봉준호의 팬들은 패틴슨의 영화 행보의 반대 지점에 있다. ‘미키 17’은 이 두 계층의 팬들을 ‘대체로’ 만족하게 하지만 봉준호의 특정 팬들에게는 실망스러운 부분이 없지 않다.     흥행은 로버트 패틴슨의 몫이다. 봉준호를 몰라도 ‘트와일라잇’에서부터 패틴슨을 따라 다닌 그의 열렬한 팬들은 ‘미키 17’을 보러 극장으로 몰려올 것이다. 새로운 ‘배트맨’으로 수익성이 높은 액션 스타로 자신을 재브랜딩하는 데 성공한 패틴슨은 인기나 흥행보다 연기력을 인정받고 싶어한다. 그의 팬들은 ‘반짝이는 뱀파이어’, ‘예쁜 소년’의 이전 모습을 벗어 던지고 복제 인간이지만 두 명의 다른 캐릭터를 연기하는 패틴슨과 다시 만난다. ‘미키 17’을 통해 그가 표현해낸 인간성은 유쾌하고 사랑스럽기까지 하다.     ‘미키17’은 대중성 지향의 패틴슨의 팬들에게는 소화하기 힘든 일면이 있다. 영화의 분위기는 어둡고 암울하다. 권력자를 조롱하는 사회주의적 뉘앙스는 생각을 자극하고 가끔은 좌절하게 한다. 자본주의, 불평등, 계층 분열, 종교적 광신에 대한 봉준호의 시그니처 메뉴들이 다시 그대로 나열된다. 지루하게 그러나 독창적으로.   봉준호는 자본주의의 비인간성을 비판하는 그의 ‘특별한 집착’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이번에는 디스토피아적 식민지주의, 복제인간, 종말론 등의 주제가 가미됐다. 그러나 그의 비판은 한편 무력하다. 계급구조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 살아 있던 ‘기생충’에 비하면.       복제인간에 대한 슬픈 이야기, 기발하고 터무니없는 공상과학 부조리극 ‘미키 17’에는 하나의 패키지 안에 모든 것이 들어 있는 느낌이다. 그러나 코미디의 가벼움과 장대한 서사시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하는 비선형 스토리텔링은 종반으로 갈수록 고조되는 몰입감을 거부할 수 없다.     영화가 남기는 한 가지 아쉬움. 우주의 사악한 억만장자 부부를 연기하는 마크 러팔로와 토니 콜렛의 악당 연기다. 둘 다 훌륭한 배우임이 틀림없지만 이들의 연기가 과장된 느낌이 없지 않다. 캐릭터 설정은 기발하고 코믹한 데 연기는 가벼워 만화 같다. 감독의 의도된 암울함, 잔혹한 유머에 어울리지 않는다. 그래서 지루함 마저 있다.     반면 저항과 사랑의 캐릭터 마샤 역의 나오미 애키는 감동의 실질적인 매개체 역할을 훌륭히 해내 결론 부의 감동을 견인한다.     ‘미키 17’은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와 기업이 어떻게 우리를 바라보고 있느냐에 대한 아픈 탐구이며 대담한 풍자다.     미키 17은 우리 모두이다. 사용되고, 버려지고, 대체되는 일회용 인간들인 ‘우리’가 이 영화의 주인공들이다.   김정 영화 평론가 [email protected]디스토피아 이야기 거장 봉준호 4년후 소모품 미키 18

2025-03-26

“그 동양놈 어디 갔어?”...한인 배우, 프렌즈 촬영장서 인종차별 경험

최근 개봉한 영화 ‘미키 17’에 출연한 한인 2세 배우 스티브 박(사진)이 과거 할리우드에서의 ‘인종 차별’ 경험담을 공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5일 인디펜던트 등 매체에 따르면 그는 최근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1997년 시트콤 ‘프렌즈’ 촬영장에서 벌어진 일을 소개하며 “유해한 환경이었다”고 밝혔다. 제작진이 동료 배우인 제임스 홍을 찾으면서 “그 동양놈 대체 어디 갔어, 그놈 데려와(Where the f*** is the Oriental guy? Get the Oriental guy)”라고 말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스티브 박씨는 “1997년 할리우드에서는 이런 환경이 평범한 일이었고 누구도 이를 고치려 하거나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충격을 받은 그는 당시 배우 조합(Screen Actors Guild)에 이를 알렸고 조합의 조언에 따라 유력 신문사에 제보까지 했다. 그러나 기사는 보도되지 않았다.     그는 “촬영장에서 인종 차별을 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은 매우 고통스러운 경험이었다”며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와 배려가 상당히 부족하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주변 사람들에게 보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 이메일은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왔다고 그는 덧붙였다.   박씨는 이 사건을 겪은 뒤 “세상을 오로지 인종 문제의 시각에서만 바라보게 돼 자유가 없다고 느끼게 됐다”며 연기 활동까지 중단하게 됐다고 말했다.       역대 최고 흥행 시트콤인 프렌즈는 인종을 포함한 여러 면에서 다양성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스티브 박은 2013년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 등으로 연기 활동을 재개했다. 그리고 역시 봉 감독의 2025년 신작인 ‘미키 17’에 출연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인종차별 프렌즈 한인 배우 동양인 아시아인 스티브 박 봉준호 미키 17

2025-03-05

팬데믹 끝났어도 비데 산업 급성장

팬데믹동안 호황을 누렸던 비데산업이 매출이 급증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이다.     CNN방송은 팬데믹 기간 화장지 품절 사태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생소했던 비데 사업이 엔데믹에도 큰 인기를 얻고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고 지난 25일 보도했다. 대표적인 온라인 비데판매 사이트인 비데킹닷컴은 팬데믹 기간 비데 수요의 급증으로 운송비가 비싼 항공편으로 제품을 운송했고 보관창고에 도착하기도 전에 완판되기도 했다고 전했다.   소비자들의 비데 선호도가 꾸준히 급증하면서 팬데믹 이후 매출이 연간 20% 증가했고 지난해는 30%까지 뛰어올랐다.     비데킹닷컴 미키 아그라왈 대표는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전체 비데 시장이 2~3배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비데 인기가 높아지면서 비데 브랜드도 다양해지고 고급 제품에서 보급 제품으로 차별화되는 경향으로 소비자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프리미엄 비데는 좌석 난방,  온수 온도 설정, 수압 및 물흐름 조절, 원격 작동(리모콘), 야간 조명, 온풍기 등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추고 있다.       비데업계에서 프리미엄 모델을 선보이는 대표 주자는 한국 코웨이와 일본 비데 제조사인 토토다. 토토는 비데킹닷컴에서 최고 1420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코웨이 비데 메가 400 일렉트로닉 비데 시트는 고급 기능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경제 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가 선정한 최고 비데 자리까지 꿰찼다. 아마존에서 380~457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코웨이 측은 “국내 중국 커뮤니티에서 매출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LA한인타운에 직영점을 개설한 쿠쿠미주법인은 브랜드 스토어를 통해 구매, 렌탈 상담에 수리 서비스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쿠쿠 측은 “비데 매출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약 30배 이상 성장했다"며 "온라인에서는 자사 웹사이트와 아마존에서 판매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데를 처음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투시(Tushy) 같은 저렴한 온수 비데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냉수 온수만 분사하는 비데 모델은 아마존 같은 사이트에서 50달러 미만으로 판매 중이다. 핸즈프리 건조기 등 투시의 비데 장치는 9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투시 매출은 2019년 800만 달러에서 2020년 4000만 달러로 급증했다.     업계 관계자는 “기본형을 쓰다가 기능에 만족한 소비자들이 고급형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며 “프리미엄 비데 산업 시장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존 구매자들의 입소문 덕에 신규 고객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은영 기자급성장 산업 온라인 비데판매 비데킹닷컴 미키 비데 선호도

2024-03-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