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100년만의 물폭탄…서울을 삼켰다

한국 중부지방의 물폭탄이 그치지 않고 있다. 6일(한국시간) 시작된 서울 경기 강원도 등의 집중호우가 29일 오전까지 계속되며 100년만의 기록적인 물난리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27일 서울에 내린 비는 301.5mm로 7월 하루 강수량으로는 사상 최고를 연간으로도 1907년 기상 관측 이래 3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기록됐다. 또한 28일 현재까지 누적강수량은 동두천이 578.5mm며 서울 472.5 춘천 431 인천 208.5mm의 비가 내렸다. 집중호우가 계속되며 비피해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한국의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알려지면서 한국 친인척들의 안전을 확인하거나 방학을 맞아 여행중인 가족들과 통화하려는 한인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서울.경기와 강원북부 지역 등에 내린 폭우로 잇따라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28일(한국시간) 오전 8시 현재 41명이 사망하고 12명이 실종되는 등 인명 피해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침수와 산사태 우려 등으로 서울지역 759가구 1060명 경기 2697가구 3441명 등 모두 3480가구 4566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또한 서울 658채 경기 686채 등 주택 1375채와 농경지 645ha가 침수됐다. 본부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우면동과 방배동 남태령 등에서 27일 잇따라 발생한 산사태로 인근 아파트와 주택 도로 등지에서 15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20명이 다쳤다. 신세계 구학서 회장의 부인 양명숙(63)여사도 27일 쏟아진 폭우로 숨졌다. 양여사는 이날 오전 9시쯤 서울 서초구 우면동 형촌마을 단독주택 뒤쪽 산에서 내려온 물이 급속히 불어나며 자택 지하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 들어가 물을 퍼내다 변을 당했다. 이에 앞서 강원 춘천 신북에서 산사태로 펜션이 붕괴되면서 투숙 중이던 대학생 등 13명이 사망하고 4명이 크게 다쳤다. 경기도 파주에서는 산사태가 공장을 덮치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곤지암천이 범람한 경기도 광주와 용인 일대에서 8명이 사망하고 7명이 실종됐다. 경기도 포천에서도 3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6명이 숨지고 10명이 부상했다. 3일간 계속된 폭우로 도로 및 철도 운행도 통제되고 있다. 28일 경원선, 경의선의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됐으며 집중호우 영향으로 동부간선도로와 올림픽대로 등 서울시내 주요도로의 통행 제한이 계속되고 있다. 국립기상청은 29일(한국시간)까지 150mm 이상의 많은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백정환 기자

2011-07-27

[한국 물폭탄] "시뻘건 물 회오리로 몰아쳐 팔다리 얼었다"

한국 전역에 기록적인 호우가 쏟아지면서 인명 피해가 속출했으며 기간 시설들이 파손되면서 시민들은 엄청난 불편을 겪고 있다. 100년 만의 집중 호우로 기록되는 이번 비는 한국이 자연재해에 취약하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당국에 대한 비판 여론도 커지고 있다. 경기 광주 경안천 '아수라장' 경기도 광주시 경안천이 범람하면서 수마가 할퀴고 간 지역은 온통 진흙투성이로 변모. 상가 주인은 "순식간에 어른 무릎까지 물이 차올라 옥상으로 대피할 수밖에 없었다"며 하천 범람 당시의 긴박했던 순간을 전했다. 안상설(60.여)씨는 "멀리서부터 시뻘건 물이 회오리를 치면서 다가오는데 지금 생각해도 팔다리가 얼어붙을 것 같다"고 말했다. 병원에 있던 환자 보호자 고영순(58.여)씨는 "1층 출입구 자동문을 부수고 물이 갑자기 밀려와 10분 만에 모두 쓸어가 버렸다"며 "입원실은 2층이지만 무서워 3층으로 피했는데 밖을 보니 바다처럼 변해 자동차도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며 공포에 떨었다. 서울의 상징 강남역 '물바다'로 서울의 상징 강남역 일대는 완전히 물바다로 변했다. 강남역사거리에 위치한 삼성 사옥도 호수 위에 뜬 작은 섬처럼 변했다. 삼성 직원들은 "아예 헤엄쳐서 출근했다"고들 말했다. 진흥아파트 사거리에 있던 한 자동차가 쏟아진 빗물에 포위되면서 차량에 탑승했던 여성과 남성이 유리창을 통해 탈출하는 장면도 목격됐다. 대치동 학원버스 학생들 위기 학원버스에 물이 차 학생들이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이모씨는 "아이를 거의 안다시피 하고 걸어서 학원으로 가는데 엉덩이까지 물이 차올랐다"며 "벽을 손으로 짚어가면서 겨우 집으로 돌아왔다. 무리해서 갔으면 크게 다쳤을 것"이라고 안도. 27일 아침 8시쯤 학원버스 안으로 물이 들어오자 학생들은 "아저씨 차에 물이 들어왔어요"라고 소리를 치기도 했다. 도로를 메운 물이 학원버스 창 밑에까지 차오른 것. 집에 갇힌 직장인 출근 포기 호우 피해지역에 거주하는 직장인 상당수는 주변 도로 침수로 집에서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이 되자 아예 출근을 포기. 양재동에 사는 김희수(29)씨는 "아파트 단지 주변 도로가 침수돼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고 출근하던 차량들도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회사에 전화로 보고하고 물이 빠질 때까지 집에 있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폭우로 일거리를 잃은 일용직 근로자들도 '출근'을 포기해 이날 서울 시내 지하철은 평소보다 눈에 띄게 한산한 모습. 산사태로 공연 줄줄이 취소 우면산 산사태의 영향으로 서초동 일대가 침수되면서 예술의전당에서 열릴 예정이던 문화행사도 줄줄이 취소. 27일(한국시간) 예술의전당 내부 모든 전시장과 아카데미 카페가 임시 휴관에 들어갔으며 오전 11시에 열릴 예정이었던 토월극장과 자유소극장 공연도 취소됐다. 인천공항→강남 3시간 이상 동부 간선도로와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등 서울의 주요 간선도로를 통한 도심교통이 사실상 마비되면서 운전자와 승객들이 차량 안에서 기나긴 하루를 보내야 했다. 회사원 박현정(27.여)씨는 이날 오후 인천공항에서 서초동 집에 가는 공항버스를 탔다가 올림픽대로 통제 구간을 우회하는 바람에 평소보다 시간이 3배나 더 걸렸다고 전했다. 소양강댐 수문 5년만에 방류 중부 산간지역에도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북한강 수계 댐들이 방류량을 점차 늘리며 수위 조절에 나섰다. 특히 소양강댐은 수위가 191.05m로 홍수기 제한수위인 190.3m를 넘어서며 27일(한국시간) 낮12시부터 수문 5개를 모두 열고 초당 1500t의 물을 하류로 내보냈다. 소양강댐이 수문을 열고 방류에 나선 것은 지난 2006년 7월 이후 5년만이며 1973년 준공 이후로는 13번째다. 또 팔당댐 초당 1만5800톤 청평댐 1만톤 의암댐 4800톤 춘천댐 초당 4500톤 등 북한강 수계 모든 댐들이 강물을 하류로 흘려보내고 있다.

2011-07-27

'하늘 뚫린' 한국 물난리…서울 지하철·도로 곳곳 침수 피해 속출

한국시간으로 27일 중부지방과 남해안 지역에 폭우가 쏟아져 곳곳에서 물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오후 1시 현재 전국에서 17명의 사망자가 나온 가운데 강원 춘천지역에선 시간당 20㎜ 안팎의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소양강댐 인근에서 산사태가 발생 펜션 등 건물 4채가 매몰되면서 대학생 13명이 숨지고 30여명이 다쳤다. 이날 오전 0시10분께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소양강댐 인근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펜션 등 3곳에서 투숙객 40여 명이 매몰돼 이모(20)씨 등 13명이 숨졌으며 구조작업이 진행 중이어서 사망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은 폭우로 인해 시내 주요도로 곳곳이 통제되고 우면산 등에서 산사태가 나는가 하면 일부 지하철역이 침수되면서 도심 교통이 마비 상태에 빠졌다. 이날 오전 9시 현재 동.서부간선도로 한강 잠수교와 증산지하차도 신월지하차도 양재천로 하부도로 영동1교~KT 구간은 물이 차는 바람에 출입이 통제됐다. 팔당댐의 방류량이 늘어나면서 강변북로 한강철교 하부구간 올림픽대로 여의하류IC~여의교 구간 등 한강변 간선도로 일부 구간이 낮 12시를 전후해 차량이 통제됐으며 서울~춘천고속도로 곳곳에서도 토사가 흘러내려 차량통행이 막혔다. 또한 전화와 인터넷 위성방송 등이 불통되는 일이 발생해 시민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날 오전 서울 강남지역의 SK텔레콤 기지국에 정전이 발생해 이동통신망이 불통 상태에 빠졌으며 EBS의 서울 서초동 사옥 일부가 집중 호우로 침수돼 방송 중단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한편 경기북부지역에도 26~27일 300㎜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로 3명이 실종됐고 37가구가 침수되는 등의 크고 작은 피해가 속출했다. 특히 한때 시간당 101.5㎜이라는 물폭탄이 퍼부은 의정부 지방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호우 지역은 시간이 갈수록 넓어져 부산.경남 지역도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피해지역은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진성철 기자

2011-07-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