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고베쥬얼그룹 ‘보석 빅쇼’ 인기

‘새봄, 좋은 운과 재물 복을 불어온다’는 쥬얼리 풍수 슬로건을 내걸고 뉴욕·뉴저지에서 열리고 있는 ‘보석 빅쇼’가 보석 마니아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고베쥬얼그룹이 진행하고 있는 새봄맞이 ‘보석 빅쇼’는 뉴욕 플러싱 일정은 지난 3월 27일 개막해 오는 4월 9일까지 코리아 빌리지 고베펄 프리미엄 매장에서, 뉴저지 포트리 일정은 오는 4월 10일부터 13일까지 4일 동안 포트리 시세이도 조앤  코스메틱 특설 매장에서 진행된다.   고베쥬얼그룹은 “이번 보석 빅쇼에는 보석의 여왕 진주를 비롯해 모이사나이트·루비·에메랄드·사파이어 등 강남세공 신제품이 대거 출시됨과 동시에 가성비도 뛰어나 불경기에도 새봄의 좋은 기운을 받고자 하는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베쥬얼그룹은 “뉴욕시 플러싱에 이어 오는 10일부터 13일까지 4일 동안 포트리 시세이도 조앤 코스메틱 특설매장에서 진행되는 쇼에 보석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뉴저지 포트리 보석 빅쇼  ▶기간: 2025년 4월 10일(목)~13일(일), 단 4일간  ▶장소: 포트리 시세이도 조앤  코스메틱 특설매장(한남체인 몰 내 Joanne Cosmetics-Shiseido)  ▶주소: 1475 Bergen Blvd G, Fort Lee, NJ 07024  ▶운영시간: 오전 10시~오후 6시. 박종원 기자고베쥬얼그룹 보석 빅쇼 고베쥬얼그룹 보석 빅쇼 새봄맞이 보석 빅쇼 코리아 빌리지 고베펄 프리미엄 매장 포트리 시세이도 조앤 코스메틱 특설 매장

2025-04-07

[애틀랜타 위크엔드] '404 데이'는? 지역번호+킹 목사 서거일

4월 첫째주 주말. 가족, 친구들과 오붓하면서도 즐거운 시간을 보낼 곳은 없을까.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가볼만한 이벤트를 간추려 소개한다.   ▶404 데이 축하 기념 행사= 매년 4월 4일은 애틀랜타 전역에서 성대한 축제가 벌어지는 날이다. 애틀랜타 지역번호인 404와 같고,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서거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먼저 404데이 퍼레이드가 피치트리 스트리트를 따라 열린다. 퍼레이드는 Ralph McGill Boulevard에서 출발해 Underground Atlanta까지 이어진다. 5일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6일에는 키즈 축구 등 운동경기와 가족이 함꼐 할 수 있는 장애물 코스 등 다양한 게임이 열리는 커뮤니티 데이가 무료로 개최된다. 정오부터 오후 3시까지. Washington Park Natatorium, 102 Ollie St NW, Atlanta, GA, 30314   ▶초콜릿 만들기 클래스= 1986년 개업한 초콜릿 매장에서 초콜릿의 역사에 대해 배우고, 직접 나만의 초콜릿 바크, 신선한 딸기 초콜릿 딥을 만들어보는 체험 수업. 결혼 기념일 등 로맨틱한 날을 위해 가보자. 18세 이상 신청 가능하다. 10명 이상 참가시 단체 프라이빗 이벤트로도 열 수 있다. 참가비는 70불. 홈페이지(www.chamberlainschocolate.com)에서 신청 가능한 날을 보고 사전 예약해야 한다. Chamberlains Chocolate Factory, 1575 Old Alabama Road, Roswell, GA 30076   ▶판다 페스트= 미국 최대 규모의 아시안 푸드 페스티벌인 ‘판다 페스트(Panda Fest)’가 열린다. 15피트의 거대한 판다 풍선이 참가자를 반기는 가운데 100곳 이상의 음식 부스가 차려진다. 아시안 전통춤, K팝 무대를 관람하고 마작 체험을 할 수 있다. 입장료는 13~35불. 4~6일 개최. 주말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토요일 10시)까지. Atlantic Station Pinnacle Lot, 221 20th St, Atlanta, GA 30363   ▶스프링 페스티벌 온 폰스= 옴스테드 리니어 공원(Olmsted Linear Park)에서 봄마다 열리는 예술 및 공예 페스티벌. 미국을 대표하는 조경 건축가 프레드릭 옴스테드가 설계한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125개 이상의 예술 및 공예 전시를 즐길 수 있다. 어린이 놀이 공간과 다양한 음식 및 음료 코너도 마련된다. 5~6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Olmsted Linear Park, 1788 Ponce De Leon Ave NE, Atlanta, GA 30307   ▶캅 카니발= 신나는 놀이기구, 클래식한 카니발 게임, 다양한 먹거리와 함께하는 가족 친화적인 축제! 무료 서커스 공연도 펼쳐진다. 아슬아슬한 외발 자전거쇼와 모터바이크 묘기를 선보이는 서커스는 주말 오후 3시, 7시, 9시 세 차례 예정돼 있다. 라이드 무제한 탑승 팔찌는 37불이며 1회 탑승권은 1.5불. 5~6일 오후 1시부터 11시. 추가 날짜 운영 예정. Town Center at Cobb, 400 Ernest W. Barrett Parkway NW, Kennesaw애틀랜타 위크엔드 데이 404데이 퍼레이드 초콜릿 매장 딸기 초콜릿

2025-04-04

콜로라도 다이소, 올해 추가 매장 오픈 예정

   최근 콜로라도에 공식 진출한 일본의 생활용품 소매 체인인 ‘다이소’(Daiso)가 포트 콜린스와 오로라에 이어, 추가로 매장 오픈을 계획하고 있다고 덴버 포스트가 26일 보도했다. 저렴한 가격으로 유명한 다이소는 홈 데코, 주방용품, 뷰티 제품, 문구류, 일본 간식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인기 생활용품 브랜드다. 다이소 USA의 최고 소매 운영 책임자인 잭 윌리엄스는 보도자료를 통해, “콜로라도에 처음으로 다이소를 선보이게 돼 매우 기쁘다. 포트 콜린스와 오로라는 훌륭한 지역 사회며 당사의 독특하고 가성비 높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콜로라도 주내 첫 번째 매장은 지난 3월 15일 포트 콜린스의 파빌리온 샤핑센터(Pavilion Shopping Center)에서 문을 열었다. 이어 약 8,500 스퀘어피트 규모의 두 번째 매장은 3월 22일 오로라의 빌리지 온 더 파크(Village on the Park/2353 S. Havana St.)에 개점했다.      두 매장은 모두 이틀간 개점 행사를 열었으며 특히 오로라 매장에서는 건물을 둘러싼 긴 대기줄이 형성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일부 고객은 입장을 위해 4시간 넘게 기다리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이소 USA의 존 클라크 최고 개발 책임자는 “콜로라도 고객들로부터 엄청난 관심을 받고 있고 다이소만의 샤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행복하다. 이번 2개 매장은 2025년 확장의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도 더욱 많은 고객들에게 특별하고 경제적인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두 매장의 운영 시간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는 오전 9시~오후 9시, 일요일은 오전 10시~오후 8시까지다. 다이소는 콜로라도에서 계속해서 매장을 확장할 예정이다. 3번째 매장은 센테니얼의 체리 놀스 샤핑센터(Cherry Knolls Shopping Center/6770 S. University Blvd.)로 여러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해당 매장은 4월 12일 개장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올여름에는 오로라 시내 사우스랜드 쇼핑몰(Southlands Shopping Mall)과 아바다시내 노스리지 샤핑센터(Northridge Shopping Center/7821 Wadsworth Blvd.)에도 추가 매장이 들어설 예정이며 이는 다이소 공식 웹사이트의 구인 공고를 통해 확인됐다. 그러나 다이소 USA 관계자는 정확한 개점 날짜에 대한 덴버 포스트의 문의에 응답하지 않았다. 다이소는 올해 콜로라도뿐만 아니라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텍사스, 일리노이 등 15개 이상의 주에서도 추가 매장을 열 계획이다. 다이소는 지난 1972년 3월, 일본에서 히로타케 야노가 처음으로 100엔 상품을 판매하는 노점상을 열면서 시작됐다. 이후 1977년 12월 다이소를 정식으로 설립했으며 가족이 운영하는 이 회사는 현재 전세계에 6천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 150개 이상이 미국에 위치해 있다. 다이소는 2005년 10월 시애틀에 매장을 열며 미국 시장에 처음 진출했으며 미국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 위치하고 있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 다이소 매장 오픈 콜로라도 고객들 다이소 usa

2025-04-01

다운타운 달라스 ‘니만 마커스’ 당분간 영업 지속

 달라스 다운타운의 랜드마크인 니만 마커스 백화점이 2025년 연말 시즌까지 계속 운영될 예정이라고 매장 및 시 관계자들이 지난 28일 발표했다. 달라스 모닝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니만 마커스의 소유주인 삭스 글로벌(Saks Global)은 “달라스시와 협력하여 해당 위치의 재구상을 모색하는 동안” 매장을 계속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삭스 글로벌의 최고경영자(CEO) 마크 메트릭은 성명을 통해,  “달라스 시민들의 열정과 니만 마커스의 유서 깊은 유산에 대한 변함없는 헌신을 깊이 존경한다”면서 “이 상징적인 샤핑 공간의 잠재적인 재구상은 럭셔리 샤핑 경험을 재정의하려는 삭스 글로벌의 의지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다운타운 매장의 기회를 모색하는 동안 노스파크 매장의 계획된 리노베이션과 함께 두 매장을 활용하여 달라스 시장에서 서로 다른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삭스 관계자들은 이 기간 동안 조디악 룸(Zodiac Room)과 매장의 웨딩 살롱 또한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역사적인 공간에 대한 잠재적 구상으로는 “럭셔리 리테일 경험, 큐레이션된 예술 전시, 패션 및 이벤트 센터” 등이 포함된다. 삭스 측은 다운타운 건물이 패션 디자인 및 제조를 위한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아울러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지난 수주 동안 지속된 100년된 건물의 미래를 둘러싼 논란의 가장 최신 전개 사항이다. 이번 발표는 달라스 시의회가 지난 주 초 건물 아래 토지 일부의 기부를 수락하는 결정을 보류한 후 나왔다. 시 관계자들은 삭스 글로벌이 설정한 3월 31일 마감일 이후에도 매장을 유지하기 위한 논의에 참여하고자 했다. 삭스는 지난 2월, 건물 부지 소유주 중 1명과의 분쟁을 이유로 매장을 폐점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후 해당 토지 소유주는 달라스 개척자이자 은행가, 자선가, 그리고 텍사스 최초의 토착 소 사육왕이었던 C.C. 슬로터의 후손으로 밝혀졌다.   시민 지도자들과 시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가 토지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삭스 측은 매장을 폐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삭스 관계자들은 지난주 달라스시 매니저인 킴벌리 비조 톨버트와의 논의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협의체의 핵심 멤버이자 다운타운 달라스 주식회사의 사장 겸 CEO인 제니퍼 스크립스는 28일 발표를 두고 “여러 측면에서의 승리”라고 평가했다. 그녀는 “이번 소식은 다운타운 달라스에 조기 크리스마스 선물과 같다. 시청과 톨버트의 뛰어난 리더십 아래 모든 이들이 힘을 모은 모습에 더할 나위 없이 감동받았다. 우리가 협력하면 위대한 일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이번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톨버트는 성명을 통해, “시는 해당 부동산의 미래에 대한 논의를 계속 이어나갈 것이다. 삭스 글로벌이 니만 마커스를 다운타운에서 계속 운영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 100년전 니만 마커스 창립자들이 이 매장을 열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달라스를 국제적인 중심지이자 패션 산업의 경제적 동력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혜성 기자  다운타운 달라스 달라스 다운타운 다운타운 매장 다운타운 건물

2025-04-01

고베쥬얼그룹, 새봄맞이 보석 빅쇼

고베쥬얼그룹이 행운과 부를 불러올 다양한 보석 주얼리를 선보이는 ‘새봄맞이 보석 빅쇼’를 개최했다.   새봄맞이 보석 빅쇼는 뉴욕·뉴저지 프리미엄 특설 매장에서 열리고 있는데 뉴욕 플러싱 일정은 3월 27일 개막해 4월 9일까지 코리아 빌리지 고베펄 프리미엄 매장, 뉴저지 포트리 일정은 오는 4월 10일부터 4월 13일까지 4일 동안 포트리 시세이도 조앤 코스메틱 특설 매장에서 진행된다.   고베쥬얼그룹은 “풍수에서 보석은 색상에 따라 각기 다른 기운을 가지고 있어 나에게 필요한 운을 보완할 수 있는데, 이번 빅쇼에서는 경제적인 가격으로 한국 세공 기술이 돋보이는 정교하고 세련된 주얼리를 만나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고베쥬얼그룹은 “이번 행사에서는 진주, 모아사나이트, 루비, 에메랄드, 사파이어 등 보석을 소재로 한 다양한 주얼리를 만나볼 수 있는데 자신의 필요와 운에 맞는 보석을 선택해 활용하면 좋은 기운을 끌어들이고 동시에 재물과 행운을 불러올 수 있다”며 서둘러 매장을 찾아줄 것을 요청했다.   ◆뉴욕 플러싱 쇼  ▶기간: 2025년 3월 27일(목)~4월 9일(수), 12일간  ▶장소: 코리아 빌리지 고베펄 프리미엄 매장 #G8  ▶주소: 150-24 Northern Blvd G8, Flushing, NY 11354     ◆뉴저지 포트리 쇼  ▶기간: 2025년 4월 10일(목)~13일(일), 단 4일간  ▶장소: 포트리 시세이도 조앤 코스메틱 특설매장(한남체인 몰 내 Joanne Cosmetics-Shiseido )  ▶주소: 1475 Bergen Blvd G, Fort Lee, NJ 07024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고베쥬얼그룹 새봄맞이 보석 빅쇼 보석의 명가 고베쥬얼그룹 코리아 빌리지 고베펄 프리미엄 매장 포트리 시세이도 조앤 코스메틱 특설매장

2025-03-31

파산신청 '포에버 21', 조지아 18개 매장 재고 정리 돌입

  한인이 미국에서 창업한 패스트패션 브랜드 ‘포에버21’이 두 번째 파산신청을 함에 따라 조지아주에 있는 18개 매장을 포함해 전국에서 매장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애틀랜타에 있는 매장 4곳을 포함해 전국 350곳 이상의 매장이 문을 닫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재고 정리’가 시작됐다. 애틀랜타에는 컴버랜드몰, 애틀랜틱 스테이션, 레녹스 스퀘어, 페리미터몰에 매장을 두고 있다. 또 알파레타의노스포인트몰, 한인타운과 가까운 로렌스빌의슈가로프밀스, 뷰포드 몰오브조지아 등에도 있다. 사바나, 어거스타, 케네소 등지에도 매장을 찾을 수 있다.   회사는 챕터11 파산신청을 통해 사업을 질서 있게 축소하는 한편, 일부 또는 전체 매각을 타진하기 위한 마케팅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에 있는 포에버21 매장과 웹사이트는 이번 정리 기간 계속 운영될 예정이다. 해외 매장은 정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포에버21은 장도원, 장신숙씨 부부가 한국에서 LA로 이주한 후 1984년에 설립한 브랜드다. 이후 저가 의류의 대중화를 이끌며 2000년대 초반 큰 성공을 거두고 성장 가도를 달려왔다. 그러나 2010년대 H&M, 자라 등의 브랜드가 등장하고 최근에는 쉬인, 테무 등과 같은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과의 경쟁에서 밀려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2019년에 첫 파산 신청을 했고, 매장 200곳을 폐쇄했다. 이후 사이먼 부동산그룹, 어센틱브랜즈 그룹, 브룩필드 프로퍼티스가 8100만 달러에 회사를 인수했다. 윤지아 기자파산신청 재고정리 매장 재고정리 전국 매장 해외 매장

2025-03-18

포에버21 결국 또 챕터11 파산 신청

연매출 40억 달러를 기록하며 LA카운티 100대 한인 운영 및 소수계 기업 1위를 9년 연속 차지했던 포에버21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지난 15일 포에버21 운영사(F21 OpCo)와 일부 자회사가 델라웨어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챕터 11) 절차를 또 신청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포에버21은 6년 만에 다시 파산 절차에 들어가게 됐다.   폭스11뉴스는 포에버21의 운영사가 매장 인수업체를 찾지 못해 결국 파산을 결정했다고 17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포에버21 매장 350개는 문을 닫을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지난 2월 중순 블룸버그통신은 포에버21 운영사가 새 인수업체를 물색하는 과정에서 350개 매장 중 적자인 매장 200개 이상을 폐쇄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본지 2월 24일자 A-4면〉     관련기사 포에버21 매장 200개 폐쇄…누적 적자에 운영사 파산 모색 회사 측은 법원의 파산보호 신청을 기다리는 동안 국내 매장과 웹사이트 영업은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 해외 포에버21 매장은 다른 라이선스 업체가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파산 신청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연방 파산법 ‘챕터 11’은 기업이 법원의 감독 아래 영업을 지속하면서 채무를 재조정하는 절차다.   브래드 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모든 옵션을 모색했지만, 관세 최소 기준 면제를 이용한 테무·쉬인의 저가 공세에 “(기업의) 지속 가능한 길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비용 상승과 경제적 어려움이 고객 수요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이번 포에버21 파산은 계속된 매출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포에버21이 중국 온라인 쇼핑몰 테무, 쉬인 등과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고 짚었다. 하지만 중국 온라인 쇼핑몰 업체가 저가 공세로 미국 시장을 잠식하자 포에버21의 오프라인 매장 경쟁력이 힘을 잃게 됐다.     언론들은 30여 년 전 저렴하면서 유행을 선도하는 패션 브랜드로 시작한 포에버21이 역사 속으로 사라질 처지라고 지적했다.     포에버21은 장도원, 장진숙씨가 한국에서 LA로 이주한 뒤 1984년에 설립한 업체다. 이후 포에버21은 ‘5달러 셔츠와 15달러 드레스’로 표현되는 저가 의류의 대중화를 이끌며 2000년대 초반 큰 성공을 거뒀고, 이후 지속적인 성장 가도를 달려왔다. 자라, H&M, 유니클로 등 세계적 SPA브랜드와 경쟁하며 한때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포에버21이 급성장하면서 2016년에는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400대 억만장자에 장씨 부부가 이름을 올리며 두 부부의 얼굴이 표지를 장식했다. 이 무렵 부부의 자산은 약 50억 달러로 평가됐으며 LA지역 부호 10위 안에 꼽혔다. 많을 땐 국내에서만 500여개 매장, 전 세계에 최소 800개 매장을 운영했다. 그러나 지나치게 공격적인 매장 확장과 아마존 등 온라인 거래 활성화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매출 감소 등으로 자금난에 봉착해 2019년에도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당시 연방 법원은 어센틱 브랜드 그룹 등이 참여한 컨소시엄 측의 포에버21 인수를 승인한 바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포에버 챕터 파산 신청 매장 인수업체 이번 파산보호

2025-03-17

“달걀 함유 미표기” 잡채 리콜…H마트 매장 통해 유통

  뉴욕 등 동부 지역 한인마트에서 판매된 포장 잡채가 알레르기 유발 성분 미표기 문제로 인해 리콜 조치됐다.     지난 14일 식품의약국(FDA)의 발표에 따르면 HAR 마세페스가 제조 및 판매한 ‘진가 잡채(사진)’가 식품 내 계란 사용된 것을 제대로 표기하지 않아 리콜됐다. 해당 제품 사진에는 계란 지단으로 보이는 내용물이 함께 포장됐다. 다만 라벨에 이를 명시하지 않아서 리콜 대상이 됐다.     한식이 익숙한 한인들은 계란을 바로 알아챌 수 있지만 이를 모르고 섭취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FDA는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소비자가 섭취할 경우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리콜 대상은 8온스 및 12온스 용량의 제품으로, 여러 주에 걸쳐 H마트 매장을 통해 유통됐다. 리콜된 제품의 포장재는 투명 플라스틱이며, 상단에 유통기한 날짜가 2025년 3월 13일부터 3월 18일까지로 표시되어 있다.   리콜 대상 제품의 바코드 번호는 265405006495, 267405004495, 266405008496, 268405005499 등 4개다. 현재까지 해당 제품을 섭취한 소비자에게서 질병이나 알레르기 반응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번 리콜은 뉴욕주 농업 및 시장 식품 검사관이 매장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라벨에 계란 사용 여부를 명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이뤄졌다.   리콜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구매처로 반품하면 전액 환불을 받을 수 있다. 우훈식 기자미표기 달걀 잡채 리콜 h마트 매장 미표기 문제

2025-03-17

한국 외식기업 미국 진출 탄력받았다

지난해 한국 외식 기업들의 해외 진출 1위 국가는 미국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2024 외식 기업 해외 진출 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 총 46개 기업이 진출했다. 이는 전년(41개)보다 5개 늘어난 수치로, 2022년 수준(46개)을 회복했다.     이어 중국(35개), 베트남(32개), 필리핀(28개), 말레이시아(27개), 일본(26개), 대만(25개), 태국·인도네시아(24개씩) 순이었다.     특히 미국과 동남아 진출이 증가했으며, 중국도 코로나19 이후 다시 활발해졌다.   외식 기업들의 해외 진출 희망 국가 1위 역시 미국이며, 그 뒤를 베트남, 동남아, 동북아(일본, 중국)가 이었다.     다만 아시아 국가를 희망하는 기업 비율은 2022년 74.7%, 2023년 82.7%, 2024년 60.6%로 감소하는 추세다.     미국은 진입 장벽과 초기 비용이 많이 들지만, 높은 소비 수준과 낮은 경쟁 강도로 인해 선호도가 증가했다. 미국 내 진출한 브랜드 수는 53개로 2위인 베트남과 중국보다 16개 많았다.   매장 수 기준 1위도 미국(1007개)으로, 2022년(673개) 대비 50%,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특히 미국, 대만, 중국, 캄보디아, 필리핀은 최근 1년간 매장 축소나 철수가 없었다.   업종별로 분석해 보면 미국 진출 매장에서 치킨 매장이 570개로 전체(1007개)에서 절반이 넘는 56.6%를 차지하면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제과점(305개), 한식(35개), 중식(28개), 김밥(21개) 순이었다.     해외진출 전체 업종에서 한식 업종이 가장 많은 것과 비교하면 미주에서는 치킨 업계가 가장 치열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6~12월 기준 한국 외식 기업 5481개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해외 진출한 외식 기업은 총 121개, 브랜드는 144개, 매장은 4382개로 나타났다. 이중 완전 철수업체는 10개에 머물렀다.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K외식’ 해외진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aT는 이달부터 외식기업 맞춤형 바우처 사업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원 대상을 15개 기업으로 확대한다. 국제 프랜차이즈 박람회 참여도 4회에서 5회로 확대한다.     권오엽 aT 수출 식품 이사는 “미디어와 SNS를 통해 전 세계에서 K외식에 대한 궁금증과 인기가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며, “K푸드의 수출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외식 브랜드의 시장 확대와 판로 개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미국 외식기업 해외진출 지원 해외진출 전체 진출 매장

2025-03-11

차량 감정가에 분노한 고객, 카맥스 매장에 돌진해 8명 부상

지난 주말, 잉글우드의 한 카맥스 매장에서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차량 감정을 받던 한 고객이 감정가에 불만을 품고 SUV를 몰아 매장으로 돌진한 것이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용의자는 감정가에 화가 나 직원에게 주먹을 휘두르려 했으며, 이후 자신의 SUV에 올라타 후진으로 매장 입구를 들이받았다.   "갑자기 차가 내 쪽으로 돌진하는 게 보이더니, 다시 후진해서 매장 안으로 들어갔다." 목격자인 미겔 에르난데스(Miguel Hernandez)는 당시의 긴박한 상황을 떠올렸다.   SUV는 매장 유리문을 산산조각 내며 안으로 돌진했고, 안에 있던 직원들과 고객들은 혼비백산하며 도망쳤다. 차량은 매장 내부에서 몇 차례 회전한 후, 반대편 출구로 빠져나가 현장을 떠났다.   이 사건으로 매장 내에 있던 8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그중 2명은 중태에 빠졌다. 이후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결과, 중상자들은 현재 안정된 상태라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한편, 용의자는 사건 발생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경찰에 체포되었으며, 신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정확한 혐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범죄 혐의 적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AI 생성 기사감정가 카맥스 차량 감정가 카맥스 매장 고객 카맥스

2025-03-10

유명 한인 셰프 대표 메뉴 전국 1800개 타깃서 판매

유명 한인 셰프 앤 김(사진)이 만든 피자를 이제 대형 소매 체인 타깃(Target)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타깃은 자체 브랜드 ‘굿 앤 개더 콜라보레이션(Good & Gather Collabs)’을 통해 유명 셰프들과 협업한 글로벌 푸드 라인을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첫 번째 파트너로 요식업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James Beard Award)’를 수상한 바 있는 앤 김 셰프를 선정했다. 협업 제품은 오는 9일부터 전국 1800개 타깃 매장의 냉동식품 코너에서 판매된다.   이번에 출시되는 제품들은 4종의 냉동 피자(각 7.99달러)와 3종의 한식 스타일 애피타이저(각 6.49달러)로 구성된다.   피자는 ▶피클 파이 ▶4가지 치즈로 구성된 스위트&스파이시 칠리소스 ▶스파이시 소시지&스위트 페퍼 ▶태번 스타일 페퍼로니&할라피뇨 등 화덕 피자로 출시된다. 애피타이저는 ▶불고기 미트볼 ▶콘치즈 바이트 ▶김치 만두 등 한식을 접목한 메뉴들로 구성됐다.   김 셰프는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영 조니’, ‘피자리아 롤라’, ‘헬로 피자’ 등을 운영하며 독창적인 피자 메뉴를 선보여왔다. 특히 이번에 타깃에서 출시되는 ‘피클 파이(Pickle Pie)’는 김 셰프의 대표 메뉴이기도 했다. 피클 파이는 랜치 소스, 오이 피클, 바삭한 감자칩을 얹은 피자다. 미네소타주 명물인 튀김 피클에서 착안했다. 이번 협업을 통해 소비자들도 그의 개성 있는 요리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된 셈이다.   김 셰프는 “어릴 적 한국 음식이 낯설다는 이유로 소외감을 느꼈지만, 이제 전국 소비자들이 한국적 감각이 담긴 요리를 쉽게 접할 수 있어 감격스럽다”며 “특히 한식에서 영감을 받은 애피타이저를 타깃 매장에서 판매할 수 있다는 점이 뜻깊다”고 말했다.   타깃 측은 “김 셰프의 대담한 요리 스타일과 한국적 감각이 고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 셰프는 2019년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에서 ‘중서부 지역 최고 셰프’로 선정됐다. 또한 넷플릭스 푸드 다큐멘터리 시리즈 ‘셰프의 테이블’에도 출연하며 이름을 알렸다.   한편, 김 셰프는 지난해 미니애폴리스에서 운영하던 한식당 ‘김스(Kim’s)’에서 직원 노조 결성 문제로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일부 직원들이 급여 및 근무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노조를 결성했고, 김 셰프 측이 이를 반대하면서 갈등이 불거졌다. 결국 노조는 결성됐지만, 두 달 만에 ‘김스’는 재정 적자를 이유로 폐업을 결정한 바 있다. 강한길 기자타깃 한인 타깃 매장 피자리아 롤라 피자 메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피클 파이 화덕피자 김치 만두 불고기

2025-03-09

H마트 웨스트민스터에 신규 매장

미주 최대 아시안 수퍼마켓 체인 H마트가 OC 웨스트민스터 지역에 첫 매장 개장을 준비 중이다.   비치 불러바드(16450 Beach Blvd. Westminster)에 위치한 신규 매장의 면적은 약 7만 스퀘어피트로 캘리포니아에서 최대 규모다.     H마트 브라이언 권 대표는 “웨스트민스터 주민들에게 아시아 본토의 풍성한 맛을 선보이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H마트를 이용하는 모든 고객에게 아시아 각국의 다채로운 식문화를 소개하고, 가정에서도 손쉽게 아시아 각국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H마트 웨스트민스터점 푸드 홀에는 한국식 중화요리 ‘백종원의 홍콩반점 0410’, 국밥 전문점 ‘무봉리 순대국’, 분식 전문점 ‘죠스 떡볶이’, 밀크티 전문점 ‘공차’, 베이커리 카페 ‘뚜레쥬르’ 등 총 11개의 브랜드가 입점하여 다채로운 미식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H마트는 “웨스트민스터점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매장 개발 및 운영, 마케팅에 집중한다”며 “동시에 다양한 문화의 식료품, 주류, 생활용품을 비롯해 푸드 홀까지 갖춘 원스톱 쇼핑 매장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편리한 쇼핑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H마트는 ‘우수한 품질과 신선함은 기본, 원스톱 쇼핑이 가능해야 한다’는 운영 철학을 바탕으로 트렌디한 쇼핑과 식문화를 선도해왔다.     1982년 뉴욕 우드사이드에 1호점을 개점한 H마트는 현재 전국 18개 주에 1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며 약 6000명 이상의 직원과 5개의 지역 물류센터 및 가공시설을 보유한 최대 인터내셔널 수퍼마켓체인으로 자리 잡았다.   H마트는 고품질의 아시아 식료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필수 식료품, 정육, 수산, 청과, 생활용품 및 즉석 섭취 제품들을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고객층은 물론 지역 사회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우수한 품질과 신선한 재료, 그리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함으로 최고의 고객 만족을 위해 지속해서 헌신하고 있다.  이은영 기자웨스트민스터 마트 h마트 웨스트민스터점 웨스트민스터 지역 신규 매장

2025-03-09

포에버21 또 대규모 구조조정 시행…매장 200개 폐쇄, 700명 해고

 대표적 한인 의류기업이었으나 경영난으로 주인이 바뀐 ‘포에버21’이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KTLA뉴스에 따르면 ‘포에버21’ 운영사인 카탈리스트 브랜드는 LA 본사를 폐쇄하고, 가주와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직원 700명을 해고할 방침이다. 카탈리스트 측은 주 정부에 노동자 조정 및 재교육 통지(WARN) 서류를 제출해 이같은 계획을 공식화했다.     가주에서는 LA본사를 비롯해 오렌지, 리버사이드, 온타리오, 랜초쿠카몽가, 몽클레어, 샌타애나, 레이크우드, 세리토스 지역 등의 매장도 문을 닫는다. 가주에서의 해고 인력은 350명이 넘는다. 카탈리스트 측은 “전략적 대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운영 비용 절감과 매장 구조 최적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인 의류 업계의 한 관계자는 “포에버21의 회생 가능성이 커 보이지 않는다”며 “일부 한인 업체도 납품을 하고 있어 한인 의류업계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포에버21이 창업자 장도원 회장 부부에서 어센틱 브랜드 그룹으로 매각된 이후에도 소수의 한인 업체가 납품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은 누적된 적자로 인해  200개 이상의 매장 폐쇄를 진행하고 있다며 새로운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350개의 전체 매장을 정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장도원·장진숙 부부가 창업한 포에버21은 한때 전 세계에 8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할 정도로 성장했지만, 경영난으로 2019년 챕터11을 신청했고, 이후 글로벌 브랜드 매니지먼트 기업 인 어센틱 브랜드 그룹에 매각됐다. 정윤재 기자구조조정 포에버 대규모 구조조정 매장 폐쇄 한인 의류업계

2025-03-04

오로라 2곳 등 콜로라도 매장 6개 폐쇄

   1년도 채 되지 않아 두 번째로 파산 신청을 한 직물 및 공예 소매업체 조앤이 미전역에 산재한 약 850개 매장 중 500개 매장을 폐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중에는 콜로라도 주내 매장 6곳도 포함됐다. 덴버 NBC 뉴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조앤은 2024년 3월에 처음 파산 신청을 한데 이어 지난 1월에 다시 파산 신청을 했다. 이 소매업체는 앞서 1월에 파산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온라인과 매장을 계속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 조앤 대변인은 최근 “직원들과 고객 및 우리가 서비스하는 모든 커뮤니티에 미칠 큰 영향을 고려할 때 매우 어려운 결정이었다. 매장 성과와 회사의 미래 전략적 적합성에 대한 신중한 분석을 통해 전국의 매장 상당수를 정리해야할 필요성에 직면했다. 향후 조앤의 최선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전했다.       폐쇄되는 조앤 매장 리스트에는 오로라, 볼더, 센테니얼, 러브랜드, 푸에블로에 있는 콜로라도 매장 6개도 포함된다. 이 폐쇄로 인해 콜로라도에는 8개의 매장만 남게 된다. 폐쇄되는 매장들은 ▲오로라: 13861 E. 엑스포지션 애비뉴, 7360 S. 가트렐 로드 ▲볼더: 2440 아라파호 애비뉴 ▲센테니얼: 9090 E. 필립스 플라자 ▲러브랜드: 1601년 폴 리버 드라이브 ▲푸에블로: 3449 딜론 드라이브 등이다. 조앤은 파산 거래의 일환으로 2024년 4월 미증권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되고 민간 기업이 되는 구조조정을 완료했다. 파산 절차가 공개됐을 때 이 회사는 약 22억6천만달러의 자산과 함께 24억4천만달러 이상의 부채를 지고 있었다. 부채가 상환됐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조앤 관계자는 “회사가 ‘운영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유동성’ 확보를 위해 현금 담보 사용을 법원에 신청해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1943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2011년에 주식회사 레너드 그린 & 파트너스에 약 16억달러에 인수되면서 비상장화됐는데, 여전히 레너드 그린 파트너스가 대주주로 있는 조앤은 이후 10년만인 2021년 다시 상장했었다. 조앤의 임시 CEO인 마이클 프렌더개스트는 1월에 “지난 4월에 민간 기업이 된 이후 이사회와 경영진은 비용을 관리하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탑라인 및 바텀라인 이니셔티브를 지속적으로 실행해 왔다. 그러나 지난 수년 동안 소매 환경에는 상당한 지속적인 도전 과제가 발생했고 이에 따라 현재 재무 상태와 제한된 재고 수준과 맞물려 매장 폐쇄 등의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 오로 콜로라도 매장 매장 폐쇄 조앤 매장

2025-02-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