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베티 마르티네스-프랑코 선두…어바인 5지구 시의원 선거

지난 15일 열린 어바인 5지구 시의원 특별 선거 첫날 개표에서 베티 마르티네스-프랑코(사진) 후보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오렌지카운티 선거관리국(이하 선관국)의 이날 오후 9시 30분 집계에서 마르티네스-프랑코 후보는 3235표를 얻어 47.25% 득표율로 1위에 올랐다.   2위는 시의원을 지낸 앤서니 쿠오 후보다. 공화당원인 쿠오는 2913표, 42.55% 득표율로 민주당원인 마르티네스-프랑코를 322표 차이로 추격하고 있다.   데이나 코넬리어스 후보는 698표, 10.2% 득표율로 총 3명의 후보 중 3위로 처졌다.   선관국 홈페이지에 따르면 16일 오전 현재까지 미개표분은 총 632표다. 이 가운데 534표는 투표 센터에 제출된 우편투표지다.   현재 1, 2위 득표율 차이와 미개표분의 양으로 보면 마르티네스-프랑코의 당선 확률이 높다. 쿠오 후보는 남은 개표 과정에서 몰표를 얻어야 극적인 역전을 기대할 수 있다.   쿠오 후보 입장에선 선거 당일 소인이 찍힌 우편투표지가 도착하면서 미개표분이 되도록 많아지길 바라야 하는 상황이다.   5지구의 등록 유권자는 총 2만8949명이며, 이 가운데 6879명의 투표가 집계됐다. 잠정 투표율은 23.8%다. 투표율은 미개표분 개표 과정에서 오르게 된다.   5지구 특별 선거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시장 선거에서 당선된 래리 에이그런 현 시장의 공석을 메우고, 에이그런의 잔여 임기 2년 동안 시의원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USC 행정학 석사이며, 비즈니스 업주인 마르티네스-프랑코는 선거 캠페인 과정에서 ▶교통체증 해소 ▶공공 안전 강화 ▶스몰 비즈니스 지원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OC민주당은 당초 5지구 특별 선거에서 태미 김 전 시의원을 공식 지지했지만, 거주지 논란에 휩싸인 김 전 시의원이 5지구 선거 레이스에서 중도 하차한 이후 마르티네스-프랑코를 지지했다. 마르티네스-프랑코는 데이브 민 연방하원의원, 케이티 포터 전 연방하원의원, 코티 페트리-노리스 가주하원의원 등의 지지도 받았다.   어바인 시는 지난해 11월 시의원 선거부터 지역구별 선거를 시행했다. 지난해는 1~4지구 선거가 열렸다. 올해 5지구 선거에 이어 내년 6지구 선거가 시행되면 어바인 시의 지역구별 선거 전환이 마무리된다.   한인도 다수 거주하는 5지구엔 우드브리지, 유니버시티파크, 랜초샌호아킨, 웨스트파크 커뮤니티가 속한다. 임상환 기자마르티네스 프랑코 베티 마르티네스 프랑코 후보 오렌지카운티 선거관리국

2025-04-16

시의회 진영 갈등…공석사태 불렀다

한인사회 꿈이었던 선거구 단일화는 이뤄냈다. 그런데 단일화된 첫해부터 시의회 내 알력다툼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정작 한인 목소리는 묻히고 있다.     공석이 길어지는 동안 10지구와 한인타운은 200일 이상 표결권이 없었다. 어느새 진영 갈등의 전장으로 전락했다. 한 주민은 “할리우드나 셔먼오크스 같은 부유층 지역이었다면 절대 이렇게 오랫동안 공석으로 두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석 발단은 흑인 정치인 사이 갈등   같은 인종이라고 친구는 아니다. 마크 리들리-토머스(MRT) LA 10지구 시의원과 허브 웨슨 전 10지구 시의원이 그렇다. 익명을 원한 관계자는 “처음부터 그 둘은 잘 맞지 않았다”고 말했다.     MRT는 지난해 10월 뇌물 등 20개 연방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며 시의회서 정직 처분을 받았다. 그 뒤 누리 마르티네스 시의장은 칼리 카토나 10지구 수석보좌관을 임시관리인으로 지명했다. 하지만 카토나는 시의회에서 표결권이 없었다. 10지구 주민들이 이에 반발하자 마르티네스 시의장은 임기만료로 물러났던 허브 웨슨을 지명해 또 다른 논란을 야기했다.     ▶웨슨의 MRT 몰아내기… MRT의 반격   웨슨 대행은 시의회로 컴백하자마자 MRT 사람들인 카토나 수석보좌관과 페르난도 라미레스 차석보좌관을 해고했다. 이후 자기 사람인 헤더 허트를 수석보좌관으로 넣었다.     MRT 측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MRT와 깊은 관계가 있는 남부기독교지도자회의(SCLC)는 웨슨이 이미 시의회서 세 차례 임기를 모두 마쳤기 때문에 대행으로 적법하지 못하다며 제소했다. 이어 법원의 직무 정지 명령을 받은 웨슨이 대행직에서 사임하면서 10지구는 또 공석이 됐다.   ▶시의장직 정쟁   공석 논란 뒤에서는 시의회 실세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차기 시의장직을 놓고 마르티네스 현 시의장과 마퀴스 해리스-도슨 시의원이 신경전 중이다. 중도/기득권과 강성진보/아웃사이더의 대결로 압축된다. 시의장 선거서 1표가 아쉬운 마르티네스가 10지구 대행으로 끝까지 웨슨을 고집했던 이유다.   마르티네스가 중도/기득권 라인이고, 해리스-도슨이 강성진보/아웃사이더 편에 있다. 특히 1지구 당선인 유니세스 에르난데스를 비롯해 오는 11월 선거에서 5·11·13지구에서 강성진보 진영이 휩쓸면 해리스-도슨의 시의장 당선이 유력하다. 허트 대행 인준안에 반대표를 던진 5명을 비롯해 새로 시의회에 입성할 3명이 해리스-도슨에게 표를 몰아줄 수 있다. 해리스-도슨이 과반인 8표를 받고 마르티네스를 시의장직에서 밀어낼 수 있는 시나리오다.       ▶MRT 유죄·사임·양형 협상시 보궐선거   강성진보 진영에선 10지구 대행으로 허트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허트는 일부 기득권 진영이 밀고 있는 사람이라면서 대행 인준 절차가 투명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31일 소위원회인 ‘규정·선거·정부간 관계위원회’에서 허트 인준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소위원회 위원은 모두 마르티네스 진영이다.     허트는 내일(2일) 시의회 본회의 인준안에서 8표만 받으면 10지구 대행으로 임명된다. 인준안에는 MRT 재판 결과에 따라 보궐선거 옵션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MRT가 법원에서 유리한 평결을 받거나 양형 거래 시 시의원으로 복귀할 수 있다.  원용석 기자이지경 타운 마르티네스 시의장 10지구 시의원 공석 논란

2022-08-3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