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연봉 15만 달러 이상 졸업생 '지갑' 더 열어

미국 대학들의 동문 기부율은 7.7%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미국 대학의 순위를 선정해서 발표하는 US뉴스에 의하면, 동문 기부율이 높은 톱 20대학들의 평균 기부율이 26.9%로 나타났다. 동문 참여 기부율로 명문 여부를 따진다면 톱20에 충분히 들게 되는 대학들을 알아봤다.    주류 뉴스에 종종 소개되는 대학 기부 소식은 대개 고액 기부자들로 금액은 수백만 혹은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 자신의 모교에 거액을 내는 기업가도 있지만 학교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이 그저 대학을 발전시켜 세상을 도우라는 취지로 거액을 전달하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     그러면 미국 대학중 기부금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대학은 어디인가. 대학이라는 조직의 대표격인 하버드는 2021년만해도 기부금 총액이 500억 달러가 넘었고 이를 운용하는 조직도 대단해서 다른 대학들의 부러움을 샀다. 하지만 동문 기부율에서는 톱 20대학에 들지 못했다. 동문은 소수만이 기부에 참여했고 오히려 부자인 독지가들이 하버드에 기부를 많이한 것으로 보인다.     소수의 억만장자들은 앞다퉈서 수백만 혹은 수천만 달러를 기부해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다. 하지만 대부분 동문의 기부금은 훨씬 적은 금액이다. 최근 공개된 하노버리서치의 '2022 동문 기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동문 중 56%가 가장 최근의 기부금이 500달러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1만 달러 이상의 일회성 기부는 전체 기부금의 3%에 불과했다.     같은 자료에 따르면, 연봉이 최소 15만 달러인 기부자들이 그보다 적게 버는 사람보다 모교에 기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아무래도 성공한 동문이 지갑을 열 것이라는 추측은 그렇게 틀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부하지 않은 동문들은 대개 경제적 여유가 없거나, 다른 단체나 목적에 재정적 기부를 우선시했거나, 자신의 재정적 기부가 모교 발전에 별다른 차이를 만들지 못할 것이라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이를 따져보면 기부율이 높은 학교는 연봉 15만 달러 이상의 동문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많지 않은 금액이라도 모교를 돕겠다는 생각이 공감대를 이루는 동문이거나 혹은 원래 부자집 자녀들이 많았을 가능성도 있다.     US뉴스의 연례 설문조사에서 282개의 순위권 내 전국대학 및 리버럴아츠칼리지가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2-2023 학년의 평균 동문 기부율은 7.7%였다. 일부 학교들은 이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보고했으며, 상위 20개 대학은 1년 평균 동문 기부율이 거의 27%에 달했다.   이 순위의 톱은 전국대학 순위에서 1위인 프린스턴대였다. 2022~2023 학년도 평균 동문 기부율이 46.6%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다른 아이비리그인 다트머스가 41.4%, 반면 다른 아이비리그인 예일대는 19.7%로 톱20대학 중 가장 낮았다.     이외 톱20개 대학을 면면히 살펴보면, 뉴욕의 웨스트포인트 소재 육군사관학교와 서던 일리노이 주립-카본데일 캠퍼스만이 공립이고 나머지 대학은 사립이다. 또한 매사추세츠에 소재한 마운트 홀리요크, 스미스, 웰즐리대는 모두 여자대학이어서 눈에 띄었다. 버지니아 주의 햄프턴대는 유일한 흑인대학(HBU)이다.     6위를 차지한 노터데임은 천주교 미션스쿨이고 MIT, 밴더빌트, 조지타운은 종합대학이고 칼턴, 홀리크로스, 미들버리, 콜게이트, 트리니티, 바사, 페어필드 등은 전국적으로 알아주는 리버럴 아츠 칼리지다.   매사추세츠주에는 톱20개중 5개 대학이 있었고 뒤를 이어 코네티컷과 뉴욕에 각각 3개의 대학이 있었다. 톱20개 중 16개 대학이 동부에 있었고 나머지는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네소타, 테네시에 있었다. 캘리포니아나 오리건, 워싱턴 주에는 단 한 곳도 없었다.     한편 US뉴스의 자료에 의하면, 282개 대학 중에서 텍사스 주립 타일러 캠퍼스가 0.6%로 기부율이 가장 낮았다.   표는 2022~2023년 동문 기부자 평균 비율이 가장 높은 20개 대학이다. 인용된 보고서는 법적으로 연락이 가능한 동문이 최소 2만5000명 이상인 전국대학 및 리버럴아츠칼리지에 한한다.  장병희 기자졸업생 연봉 동문 기부율 전국대학 순위 대학 기부

2025-03-23

[이 아침에] 민주주의는 가까운 곳부터

고등학교 동기가 동문 산악반 카톡을 만들었다. 예전에 산악반에서 활동했던 동문들이 세월이 많이 흘러 서로 연락을 하지 못했거나 만나지 못해왔다. 그래서 서로 다시금 소식도 전하고 안부도 묻기 위한 취지에서 만들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산악반 동문들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톡방을 열었다.     취지가 좋았고 오래전 선후배들을 서로 연락할 수 있다는 것에 반가웠다. 미국에 사는 산악반 선배와 연락이 잘 되지 않았는데 다시 연락처를 알아서 만날 수 있었다. 예전에 찍은 사진들도 올라왔다.     내겐 없는 오래전 사진으로 정말 귀한 사진이었다. 옛 추억을 생생하게 생각나게 하는 사진이었다. 고등학교 학생 때 모습이 앳되고 순수하고 발랄하게 보였다. 그때 우리는 자일을 몸에 걸치고 인수봉에 오르곤 하였다.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암벽등반을 젊은 혈기로 해냈다.     세상을 먼저 떠난 동문도 있다. 체구는 작지만 수직으로 된 암벽을 잘 타는 1년 선배가 있었다. 그는 캐나다에 있는 호수에서 사고로 물에 빠져 유명을 달리했다. 또 활발하게 산악 활동을 했던 나보다 몇 년 위 선배는 루게릭병에 걸렸다. 서서히 악화되어 고통속에 생을 마쳤다.     오랫동안 서로 만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기회가 되면 함께할 자리를 마련하자는 말이 나왔다. 개별적으로는 만나도 산악반 동문 전체가 만나지는 않았다. 해외에 사는 동문은 한국에 갈 기회를 만들어서 함께 모이자고 했다. 이제 나이 들어 모습은 변하였지만 옛 추억을 생각하며 만난다면 반갑고 뜻있는 만남이 되리라고 생각됐다.   그리운 인연들과 다시 연결해준 단톡방은 여러모로 유익했다. 그러다 지난해 12월부터 불편해졌다. 한국에 혼란한 정치적 상황이 발생했다. 누군가 산악반 동문 카톡방에 정치적인 메시지를 올렸다. 그리고 또 다른 동문이 지난 1월 발생한 캘리포니아 역사상 최악의 산불에 빗대어서 정치적인 메시지를 덧붙였다.   단톡방에 주도적으로 문자를 많이 올리는 동문이 있다. 그런데 그 동문이 이 방은 무서워서 참여 못하겠다고 하면서 나가버렸다. 좋은 취지로 만든 카톡방 모임이 이렇게 되니 아쉬웠다.       단톡방이 원만하고 민주적인 질서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는 없을까. 가장 삼가야 할 것이 비방과 언어폭력이다. 상대방의 의견을 다른 관점으로 존중하고 받아들이면서 얼마든지 자기 의견을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민주주의는 결점도 있고 보완해야 할 점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도중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이상적이다.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다수에 의해 결정됐다면 그것을 따라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음 기회에 자기의 생각과 사상이 실행되기를 엿보아야 한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작은 모임에서부터 민주적 원리를 시작하면 어떨까.   이 세계와 사회는 보수와 진보 사이의 절충에 의해 흘러가게 마련이다. 보수냐 진보냐에 앞서 더 중요한 것은 인간적인 유대 관계일 것이다. 그것은 감히 사랑이라고 말하고 싶다. 가까운 카톡 모임에서부터 민주주의를 실현해 나간다면 더 아름다운 사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이정호 / 수필가이 아침에 민주주의 산악반 동문들 동문 산악반 산악반 선배

2025-03-19

[한인타운 100자 게시판] 애슨스 순회영사, 서울대·고려대 송년회 외

애슨스 순회영사  애틀랜타 총영사관은 UGA(조지아대학)가 있는 애슨스에서 다음달 5일 순회영사를 진행한다. 장소는 UGA OGE(국제협력처) 메인 컨퍼런스룸(1324 S Lumpkin St, Athens)이며, 사우스 주차데크에 주차할 수 있고, 주차비는 개인 부담이다.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진행하며, 예약 필요 없이 방문 순으로 업무를 접수할 수 있다. 여권, 증명서, 공증 등의 민원 업무를 접수할 수 있으며, 각자 필요한 업무의 준비 서류 등은 홈페이지에서 찾아서 미리 준비해와야 한다. 문의=404-522-1611, [email protected]   춘천고 송년회  춘천고등학교 동창회는 다음달 1일 일요일 오후 6시 슈가힐 성성모 동문의 자택에서 송년회를 개최한다. 성성모 동문은 "참가비는 없으며, 부부동반 참석을 적극 권장한다"고 말했다. 동창회 주소 및 문의는 성성모 씨에게 하면 된다. 문의=503-705-2637, 770-363-3336   고려대 송년회  고려대 교우회 미 동남부지부는 다음달 7일 토요일 오후 12시 존스크릭 소재 스탠다드 CC 클럽하우스(6230 Abbotts Bridge Rd)에서 2024 송년회를 개최한다. 송년회비는 1인당 100달러(12세 이하 자녀는 무료)이며, 61학번까지는 회비를 면제한다. 이날 와인을 포함한 맛있는 식사, 초청 공연, 게임, 푸짐한 선물, 50주년 기념 책사 등을 제공하며, 베이비시터도 있을 예정이다. 곽용식 회장은 "올해 마지막 동문 행사에 많은 교우분들이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문의=404-704-2933     서울대 송년회  서울대학교 조지아지부는 다음달 14일 토요일 오후 5시 존스크릭 '이 판 이벤트센터(6000 Medlock Brdige Pkwy)'에서 송년회를 개최한다. 드레스코드는 정장이며, 참가비는 1인당 100달러다. 유명한 성악가 동문들의 공연과 게임 우승 상품, 장기자랑 등의 코너가 마련돼 있다.   평통인의 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애틀랜타협의회는 다음달 7일 토요일 오후 2시 30분부터 노크로스 '더 3120' 이벤트홀(3120 Crossing Park NW)에서 정기총회 및 평통인의 밤 행사를 개최한다. 이날 리셉션이 2시 30분부터 시작하며, 3시부터 총회, 오후 5시부터 디너 만찬이 있을 예정이다. 북한인권 영화 상영은 오후 6시부터 시작한다. 문의=678-770-1227   이태리가구 세일  애틀랜타 최대 나뚜찌 공인 딜러 이태리가구점(6248 Dawson Blvd)이 12월 2일까지 10일간 '왕창세일' 행사를 진행한다. 전 매장 15%를 할인하고, 일부 제품은 25%까지 할인한다. 업체는 "이번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최신 제품을 비롯해 다양한 모델을 대폭 세일한다. 이번 기회에 좋은 가구를 할인된 가격에 구입하셔라"라고 전했다. 문의=770-416-1356   롤케익 BOGO  모차르트 제과점 전 지점에서 땡스기빙 기념으로 롤케익을 하나 사면 하나 50% 할인하는 '바이 원 겟 원(BOGO)' 행사를 오는 30일까지 진행한다. 모차르트는 둘루스 본점, 뷰포드점, 도라빌점, 아씨점, 스와니점이 있다.   킹크랩 19.99불  H 마트는 "속이 꽉 찬" 킹크랩 다리를 정가 29.99달러에서 19.99달러에 할인한다. 세일은 28일까지 이어지며, 곱창돌김(조각김) 박스도 정가 12.99달러에서 9.99달러에 할인한다. 가까운 H 마트 지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안마의자 899달러 부터  둘루스 트루라이프 마사지체어(2670 N. Berkeley lake Rd #10)는 오는 30일까지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을 진행하며 여러 최신 모델을 큰 폭으로 할인한다. "조용하고 오래가는" 마제스틱4D 모델은 정가 9499달러에서 2999달러에 할인한다. 또 '오픈 박스' 세일도 진행하며 최저가 899달러부터 안마의자를 구매할 수 있다. 미동부 최대 규모 매장으로서 다양한 모델을 구비하고 있으며, 타주 배달, 워런티 서비스도 가능하다. 문의=404-334-3700     무료 입시 세미나  스와니 아씨몰 내 엘리트학원(1291 Old Peachtree Rd. NW #127)은 12월 7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미국 명문대학 입시 전략 무료 세미나를 개최하며 참석 예약을 받고 있다. 이날 대통령상, GPA 향상, SAT 등의 내용을 다룰 예정이며, 마지막에 질의응답 시간도 있다. 세미나 참석자들에게는 디지털 SAT 실전모의고사 1회 무료 응시권과 1대 1 무료 교육상담(1시간) 혜택과 학원 등록 시 할인도 제공한다. 앤디 리 원장은 "자리가 한정돼 있으니 가능한 빨리 예약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예약=forms.gle/VH1gYHm1i895wXyx8     ◇알림=‘한인타운 100자 게시판’은 한인사회 주요 행사 및 광고주 동정을 전하는 코너입니다. 알리고 싶은 행사나 일정이 있으면 이메일([email protected])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윤지아 기자한인타운 게시판 성성모 동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애틀랜타협의회 춘천고등학교 동창회

2024-11-22

경기여고 동문 또 다른 50년 준비

창립 51주년을 맞은 남가주 경기여고 총동창회(회장 최미길)가 미래를 이끌 젊은 동문들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최근 총동창회측은 젊은 세대 동문 리더들을 발굴하고 훈련하기 위해 젊은 동문 특별위원회(Young Member Task Force)를 구성했다. 위원회장엔 정인숙(65회), 부회장은 박계영(63회), 총무는 서세영(82회)씨가 맡는다.   젊은 동문 위원회는 첫 행사로 16일 일일 수양회를 개최한다. 수양회는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오후 6시30분까지 테미큘라의 윌슨크릭 바인야드(35960 Rancho California Rd.Temecula, CA 92591)에서 열린다. 최미길 회장이 ‘여성 리더십 타입, 그리고 자질’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대상은 경기여고 기수 60회 이상인 동문이다. 수양회 참가자는 선착순으로 36명만 받는다. 참가비는 무료다.     지난해 창립 50주년을 지낸 남가주 경기여고 총동창회는 700여 명의 회원들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동문회다. 총동창회측은 젊은 동문 특별 위원회에 대해 “새로운 반세기의 문을 열면서 동창회 명예와 전통을 계승하고 좀더 진취적이고 현명한 사역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동문들의 알찬 동창회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총동창회는 지난달 24일부터 26일까지 2박3일간 가을여행을 다녀왔다. 56명의 동문들은 함께 버스를 타고 라스베이거스 스피어 쇼 관람, 레드록, 자이온 국립공원, 불의 계곡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문의:(951)990-3160 총동창회 총무 유문경경기여고 동문 경기여고 동문 남가주 경기여고 동문 특별위원회

2024-11-05

동문 인터뷰 도중 ‘질문’을 던져라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일부 명문대들은 입시과정에서 지원자에게 인터뷰를 요구한다. 이런 인터뷰는 대체로 그 대학 동문이 한다. 인터뷰 도중 ‘질문’을 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답= 인터뷰를 실시하는 동문은 다양한 질문을 학생에게 던진다. 그 중에서 마지막 질문은 아마도 “우리 학교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느냐”일 것이다.   만약 이 질문에 대해 전혀 생각해보지 않고 인터뷰에 응한 학생은 막상 질문을 받고나서 크게 당황할 것이다. 이 마지막 질문은 매우 중요하다. 대화 도중 학생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이기 때문이다. 질문을 받고 대답을 하지 않는다면 학생에게 ‘마이너스’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터뷰어를 만나기 전에 어떤 질문을 할지 생각해봐야 한다. 학생이 학교에 대한 질문을 하지 않으면 인터뷰어는 학생이 인터뷰를 가볍게 여기고 제대로 준비하지 않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이유로 학생은 인터뷰어에게 최소 한 가지 질문은 던져야 한다.     그렇다면 학생은 어떤 질문을 해야 인터뷰어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줄까?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대학을 최소 4년간 다닌 사람만이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학교의 데일리 라이프에 대해 말해달라. 매일 캠퍼스에서 생활하면서 느낀 것은 무엇인가?” 같은 질문은 그 대학을 다닌 경험이 있는 사람만이 구체적인 대답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뷰 도중 동문이 언급한 부분과 연결할 수 있는 질문을 하는 것도 학생이 인터뷰 도중 동문의 말을 진지하게 경청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인터뷰어에게 지나치게 단순한 질문을 던지는 것은 가급적이면 피하는 게 좋다. 예를 들면 “학교를 다니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나쁜 질문은 아니지만 평범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     가능하면 구체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예를 들면 캠퍼스 내 아시안 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지원센터가 있는지 물어보는 것은 좋은 질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뷰가 입시과정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학생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플러스 알파 역할은 충분히 한다. 따라서 원서를 넣은 대학에 대해 최대한 리서치를 하고 필요하면 꼼꼼히 준비할 것을 권한다.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  미국 대학입시 동문 인터뷰 인터뷰 도중 대학 동문

2024-09-25

김광현 화백 회고전 및 출판기념회

원로작가 김광현(사진) 화백의 회고전이 오는 20일(금)부터 30일(화)까지 뉴저지주 해켄색 리버사이드 갤러리에서 열린다. 오프닝리셉션 겸 출판기념회는 21일(토) 오후 5~7시.   ‘흔적을 남기며’(Leaving Traces)를 주제로 한 김 화백의 이번 회고전에는 1960년대부터 제작한 대표적인 그래픽 디자인 작품들과 지난 40여년간 몸담아왔던 대학에서 정년 퇴직 후 어린 시절부터 꿈을 품고 작업해 온 유화·아크릴화 등 70여 점, 각종 일러스트레이션 및 기업 심볼 디자인 20여 점 등 총 100여 점이 전시된다. 또 도록에는 우리말과 영어로 쓴 미술사 중심 에세이와 수상 14편도 실렸다.   김 화백은 한국을 대표하는 최고의 디자이너 겸 교육자로 활동하면서 한편으로 5차례의 개인전을 갖고, 30여 회의 그룹전에 참가하는 등 순수미술 작업을 함께한 작가다.     충북 단양 출생인 김 화백은 서울대 미대 응용미술과를 졸업한 뒤 뉴욕 미술명문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에서 패키지 디자인(Package Design)을 전공하고 석사 학위를 받았다.     교육자로서의 김 화백은 한양대 응용미술학과 교수 및 학장, 계명대 미술대학 교수 및 학장, 홍익대·이화여대·서울대 등에서 후학들을 양성하는 한편 한국 산업디자인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김 화백은 한국포장디자인학회 초대회장, The Asia Package Design in Seoul 위원장(1993년), 한국은행 정부수립 50주년 주화디자인 심의위원(1998년), 한국 시각정보디자인협회 회장(1998~1999년), 한국디자인개발원 이사, 제 29~31회 국제기능올림픽 심사위원, 세계적인 디자인 기관인 ICOGRADA 제18차 한국 대표 등을 역임하며 한국 디자인계를 이끌었다.     또 김 화백은 1988년 서울 올림픽 개회식 카드섹션, 메인스타디움 개·폐회식장 디자인과 함께 한국 굴지 대기업들의 기업 이미지(Corporate Identity) 작업을 맡아 이름을 알렸다.   김 화백은 이러한 활동으로 제10회 국전 공예디자인부 문교부장관상(1961년), 미국청년디자인 컴피티션 최고상(1974년), 국가산업발전 기여 대통령 표창(1989년), 석탑산업훈장(1991년), 세계 최대 그래픽디자인 협의회 Excellence상 (ICOGRADA/1999년), 제17회 백남학술상(2000년), 프랫 인스티튜트 우수동문상(2010년) 등을 받았다.     김 화백의 이번 회고전은 “디지털화 한 기계에 의해 만들어 낸 작품이나 AI에 의해 간편하고 편리하게 완성된 그림이 아닌, 한 점 또 한 점, 붓과 물감으로 그린, 우리들에게서 잊혀지고 점차 소멸되어지기 쉬운 감성과 감각적인 ‘그림의 맛’을 표현해 회화작업의 어떤 표현과 규범을 지키기보다는 자유롭고 편한 마음으로 작가 자신이 붓 가는 대로 표현해 일률성을 탈피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의 201-488-3005.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김광현 작가 김광현 화백 김광현 교수 김광현 회고전 김광현 출판기념회 김광현 서울대 동문 김광현 리버사이드 갤러리 회고전

2024-09-10

"꿈을 키우는 교육 시키겠다"…전남대 정성택 총장 내방 인터뷰

“꿈이 현실이 되는 속도가 빨라졌다. 대학에서 지식만 가르치는 건 한계가 있다. 꿈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     지난 12일 본지를 방문한 전남대 정성택 총장은 “대학이 하는 일은 교육을 통해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다. 최첨단 기술 견학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 중심의 대학으로 성장하도록 기반을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정 총장은 지난 9일부터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24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참관차 워싱턴 DC를 거쳐 남가주를 방문했다. 이번 방문에는 하준석 교수(공학박사)와 국민석 교수(치의학박사) 등이 동행했다.   전남대는 이번 박람회에 ‘전남대관’을 개설하고, 5개 가족기업이 참가토록 지원하고 공과대학, AI융합대학 등 재학생 40여 명에게도 CES 관람 기회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총장은 “올해 CES의 주제가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AI for All)’이다. 과학기술의 진보 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기존의 학문만으로는 따라가기 힘들다. 강의실을 벗어나 학생들이 직접 현장에서 디지털 혁신 기술을 만나봐야 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1951년 10월에 설립됐을 당시 도립광주의과대학·도립광주농과대학·도립목포상과대학·대성대학 등 4개 단과대학을 모체로 발족한 전남대의 역사를 강조한 정 총장은 “전남대는 초창기 출발부터 융합 유전자를 갖고 있다”며 “기본 교육을 단단히 다지고 융합 학문을 통해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력을 갖는 전남대생을 배출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CES 참관 외에도 UC샌타바버러를 방문해 학문 교류를 논의했다는 정 총장은 전남대 동문을 향해 “늘 느끼지만 LA 외에도 뉴욕과 워싱턴DC 등 미전역에 개척 정신을 갖고 사회를 성장시키는 데 도움을 주신 전남대 동문이 자랑스럽다. 특히 부모를 뛰어넘는 2세들이 많아 뿌듯하다”며 “아무쪼록 지금처럼 젊은이들과 후배들에게 도전과 개척정신을 물려주고 멘토의 역할을 이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     ━   정성택 총장은    2021년 총장으로 취임했다. 정형외과 의사 출신으로, 무려 16년간 방글라데시 현지에서 뇌성마비, 선천성 만곡족, 치료받지 못한 소아골절, 선천성 기형 및 변형을 앓고 있는 많은 중증 어린이 환자 600여명을 치료 및 수술했다. 또한 전남대 의대 교수로서 후학을 양성해왔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게시판 정성택 전남대 정성택 정성택 총장 전남대 동문

2024-01-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