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도난차 10대 중 4대 현대·기아…지난해 차량 절도 대폭 감소

지난해 가장 많이 도난당한 차량 10대 중 4대는 여전히 현대·기아로 나타났다.   국립보험범죄수사국(NICB)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많이 도난당한 차량은 현대 엘란트라(3만1712대)였다. 현대 소나타가 2만6720대로 2위를 차지했다. 또 기아 옵티마(1만7493대), 기아 소울(1만3562대)도 각각 5위와 7위에 들었다.   지난해 전체 차량 절도 건수는 약 85만708건으로, 전년(102만729건)보다 17% 감소했다. NICB는 자동차 제조사의 보안 강화와 함께 경찰과 정부 당국의 적극적인 수사와 예방 활동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워싱턴DC가 주민 10만 명당 842.4건으로 차량 절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전국 평균(250.2건)의 3배가 넘는 수치다. 캘리포니아는 주민 10만 명당 463.2건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캘리포니아 내에서는 셰볼레 실버라도 픽업트럭(6248대)이 가장 많이 도난당했다. 현대 소나타(5865대), 혼다 시빅(5804대), 현대 엘란트라(5618대)가 그 뒤를 따랐다.   한편, 현대·기아 차량의 절도 피해는 지난 2020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다. 당시 틱톡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들 차량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절도 영상이 빠르게 확산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난 2023년에는 도난 차량 상위 10개 중 7개가 현대·기아차였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현대·기아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등 보안 대응을 강화하면서, 현대 엘란트라의 도난 건수는 2023년 4만8445대에서 지난해 3만1712대로 약 34% 줄었고, 현대 소나타 역시 4만2813대에서 2만6720대로 약 38% 감소했다. 정윤재 기자도난차 현대 기아 차량 차량 절도율 현대 엘란트라

2025-03-18

디자인·성능 좋아진 한국차 절도범도 '눈독'

팬데믹 기간 중 차량 도난 피해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절도범들의 타깃이 되는 인기 차종에 한국차들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보험범죄국(NICB)이 최근 발표한 ‘2020년 가장 많이 도난된 신차 톱 25’에 따르면 현대차 신형 엘란트라 컴팩트 세단이 총 989대의 도난 피해 기록으로 전체 7위에 올랐다.     지난 수년간 현대차 라인업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모델 중 하나인 엘란트라는 신형 모델이 디자인과 성능, 고성능 N라인, 하이브리드 옵션 등으로 호평을 받으며 판매량도 증가하고 있어 절도범들의 타깃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2019년 인기 도난차 리스트에 처음 오른 기아의 중형세단 옵티마 신차가 도난건수 687대로 11위를 기록했다. 스타일리시한 디자인과 넉넉한 인테리어, 충실한 안전 및 편의사양 등을 갖춰 인기를 끌었으며 ‘K5’라는 이름과 함께 완전히 새로워진 신형 역시 절도 타깃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기아의 신형 3열 SUV 쏘렌토도 지난해 351대가 도난된 것으로 집계되며 23위에 자리했다. 역동적인 디자인과 강력한 엔진,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갖춰 앞으로도 소비자는 물론 절도범들에게 인기를 얻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최다 도난건수를 기록한 신차는 닛산의 중형세단 알티마로 총 1863대가 도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알티마는 신차, 중고차를 포함한 전체 도난건수에서도 총 1만4668대로 전체 6위를 차지했다.   2위는 1447대를 기록한 셰보레 실버라도, 3위는 1295대의 도요타 코롤라가 차지했다. 〈표 참조〉   미국서 가장 많이 도난당하는 차량은 일반적으로 도난 방지 보호 장치가 거의 없는 구형 모델이며 지난해 인기 도난 차량 1~10위 합계는 23만1354대로 전체 도난차의 26.3%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도난 위험이 구형에 비해 크게 줄어든 신차 도난 1~10위 합계는 1만1346대로 전체 톱 10 도난차의 4.9%에 불과하지만 향후 절도범들의 타깃이 될 수 있는 중고차를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NICB는 신차 도난의 경우는 대부분 운전자가 차문을 잠그지 않거나 자동차 키를 차에 둔 채 내렸기 때문이라며 도난 피해 예방을 위해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지난해 차량 절도가 전년 대비 11%가 증가한 원인으로는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 비대면 트렌드가 일상화되면서 차량 운행이 줄고 주차 기간이 길어졌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박낙희 기자현대차 디자인 인기 도난차 차량 도난 Auto News NAKI 박낙희

2021-12-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