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물의 화가’ 고 안영일 회고전…지난 30년 작품 중 대표작 선별

국제적인 명성을 지닌 페로탕갤러리가 한인 추상화가 고 안영일(Young-Il Ahn, 1934~2020) 작가의 회고전을 개최한다.  갤러리 측은 “안영일 작가 유족과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향후 안 작가의 작품을 대표하게 되며, 그의 예술적 유산을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페로탕갤러리는 작가의 작품세계를 조명하는 ‘안영일 회고전(Young-Il Ahn: Selected Works 1986~2019)'을 오는 11일부터 5월 24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페로탕갤러리 시니어 디렉터인 제니퍼 킹이 큐레이팅을 맡았으며, 작가의 30여 년에 걸친 작품 중 대표작을 선별해 선보인다.   전시에는 안 작가의 대표작인 '물(Water)' 연작은 물론, 캘리포니아의 자연과 빛에서 영감을 받은 '캘리포니아(California)' 시리즈, 항구를 주제로 한 '하버(Harbor)'시리즈, 그리고 한국의 문자와 탈을 모티브로 삼은 '셀프 리플렉션(Self-Reflection)' 시리즈가 포함되어 있어, 그의 회화 세계가 지닌 서정성과 깊이를 엿볼 수 있다.   1934년 개성에서 태어난 안영일 작가는 유년 시절 일본 도쿄에서 생활하다가 1943년 한국으로 귀국했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1966년부터 LA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1983년, 산타모니카 해안에서 배를 타던 중 짙은 안개 속에서 길을 잃고 표류했던 경험은 그에게 예술적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그는 빛과 물의 순간적인 움직임에 천착한 '물(Water)' 시리즈를 시작하며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했다.   2017년, 안작가는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LA카운티미술관(LACMA)에서 개인전을 열며 큰 주목을 받았고, 롱비치미술관에서도 두 차례 개인전을 개최했다.     미술 매체 아트뉴스는 그를 '찬란한 추상화의 선구자'라 칭송한 바 있다.   페로탕갤러리를 설립한 엠마누엘 페로틴은 “안영일 작가의 유산을 계승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그의 작품이 지닌 미학적 깊이와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개막식은 오는 11일 오후 5시부터 8시까지 열린다.     ▶주소: 5036 W Pico Blvd, LA   ▶문의: (323) 433-4063   이은영 기자안영일 회고전 안영일 회고전 대표작 선별 안영일 작가

2025-04-06

일본 영화 최신 대표작 25편 무료로 본다

2024년 온라인 일본 영화제(JFF·Japanese Film Festival online 2024)가 개최된다.     일본국제교류기금(The Japan Foundation)이 오는 6월 5일부터 7월 3일까지 2024년 온라인 일본 영화제를 진행한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영화 23편과 TV 드라마 2편을 무료로 감상할 기회가 주어진다. 영화는 영어 자막을 포함하여 총 15개 언어 자막으로 제공된다. 관람방법은 영화제 웹사이트(jff.jpf.go.jp/watch/jffonline2024/)에서 회원 가입 후 원하는 작품을 선택하면 된다. 미국, 멕시코, 페루,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라오스, 태국, 대만, 중국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한국과 일본은 시청 대상 국가에서 제외된다.     영화 출품작으로는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We Made a Beautiful Bouquet)’, ‘싱글 에잇(Single 8)’, ‘대결! 애니메이션(ANIME SUPREMACY!)’, ‘선은 나를 그린다(The Lines That Define Me)’, ‘밀림의 왕자 레오(JUNGLE EMPEROR LEO, aka KIMBA THE WHITE LION)’, ‘은하철도의 아버지(FATHER OF THE MILKY WAY RAILROAD)’, ‘핸섬 수트(The Handsome Suit)’, ‘맛있는 급식 졸업(School Meals Time Graduation)’, ‘메타모르포시스의 툇마루(BL Metamorphosis)’, ‘마이 브로큰 마리코(My Broken Mariko)’, ‘열두달, 흙을 먹다(The Zen Diary)’, ‘웨딩 하이(WEDDING HIGH)’, ‘보통의 카스미(I am what I am)’, ‘트릭 아트의 송곳니(KIBA: THE FANGS OF FICTION)’, ‘더 론 우메 트리(The Lone Ume Tree)’, ‘아이 고 가가:웰컴 홈, 마마(I Go GaGa: Welcome Home, Mom)’, ‘위어 브로크, 마이 로드!(WE’RE BROKE, MY LORD!)’가 있다. 일본 공포영화 경연작으로도 4개의 작품이 출품됐다. 작품 이름은 ‘더 위시 투 올(BEST WISHES TO ALL)’, ‘클로짓(closet)’, ‘카라카사(KARAKASA)’, ‘초대(招待)’다. TV드라마 출품작으로는 ‘다운타운 로켓(Downtown Rocket)’, ‘육왕(RIKUOH)’이 있다.     1960년대 흥행작부터 2008년, 2021년, 2022년, 2023년 흥행작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전세계 영화팬을 대상으로 상영한다.     각 연도별로 주의깊게 봐야 할 작품으로는 ‘밀림의 왕자 레오(1996년)’,  ‘핸섬수트(2008년)’,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2021)’, ‘열두달, 흙을 먹다(2022)’,(위어 브로크, 마이 로드!(2023년)가 있다.      일본 영화의 걸작을 기억하는 이들을 위해 야마모토 에이이치 감독의 추억의 애니메이션 영화 ‘밀림의 왕자 레오 극장판(1996)’이 출품됐다. 아프리카 정글을 배경으로 하얀 사자 레오의 성장과 모험을 그린 영화다. 이 영화는 역동적인 액션, 화려한 색감, 유머러스한 요소, 시적인 표현, 음악까지 일본 애니메이션 역사에 길이 남을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야마모토 에이이치 감독의 섬세한 연출력과 스토리텔링은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이 작품은 전 세대를 아우르는 감동을 선사하며, 지금도 많은 팬에게 사랑받고 있다.     하나부사 츠토무 감독의 2008년 영화 ‘핸섬 수트’는 착하고 성실하지만 외모 때문에 연애에 어려움을 겪는 주인공 타쿠로의 이야기를 따뜻한 유머와 감동으로 그린 코미디 영화다. 이 영화는 화려한 외모보다 진정한 마음과 내면의 아름다움이 진정한 사랑을 이끌어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핸섬 수트’는 단순한 코미디 영화를 넘어 외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진정한 사랑의 의미에 대한 따뜻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는 2021년 도이노부 히로 감독이 연출을 맡아 제작됐다. 이 영화는 운명같이 만난 21살 대학생 ‘무기’와 ‘키누’의 사랑 이야기를 보여준다. 하지만, 대학 졸업과 함께 이 둘의 사이는 점점 소원해지고 서로 각자의 꿈과 미래를 응원해주며 이별을 맞이한다. 영화는 두 사람의 사랑이 끝났다고 해서 그 아름다움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도 서로를 향한 진심 어린 사랑을 간직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는 일본 박스오피스 6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도이노부 히로 감독은 ‘지금, 만나러 갑니다’, ‘불량소녀 너를 응원해’ 등으로 유명한 감독이다.     ‘열두달, 흙을 먹다’는 2022년 나카에 유지 감독의 영화로 푸근하고 잔잔한 작품이다. 아내를 여윈 작가 츠토무가는 산속 집에서 혼자 살면서 자연의 재료로 만든 음식을 먹고 사는 모습을 그렸다. 계절을 따라 츠토무가 직접 만드는 다양한 음식과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정성스럽게 만들어진 일본 전통 음식들은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맛있는 식사 장면들은 시청자들의 입맛을 돋우는 동시에 따뜻한 위로를 선사한다. 단순히 음식 영화를 넘어 자연과의 교감,  삶의 의미, 소중한 사람을 향한 그리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위어 브로크, 마이 로드!’는 2023년  마에다 테츠 감독의 작품으로 나라의 재정을 재건하기 위해 뛰어다니는 젊은 왕자의 이야기를 다룬 사무라이 코미디 영화이다. 1840년대 일본의 에도 시대 말기에 펼쳐지는 흥미진진한 스토리와 화려한 액션, 유쾌한 유머가 가득한 영화다.     이 영화제는 전 세계에 일본 영화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큐멘터리, 픽션, 드라마, 애니메이션, 소설에서 영감을 얻은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통해 일본 문화의 다양한 측면과 일본영화의 최신 경향을 알 수 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일본 대표작 온라인 영화제 영화제 웹사이트 이번 영화제

2024-05-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