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제23회 달라스 미주체전 우승 향해, GO!”미주체전 달라스 볼링 대표선수 선발전 성료

 제20회 달라스 초대 볼링협회장배 대회 및 제23회 달라스 미주체전 대표선수 선발전이 지난 5일(토) 오후 1시 콜로니에 소재한 레이크 레인스 볼링장(Lake Lanes Bowling Alley)에서 개최됐다. 이번 대회 개인통합 우승은 정성일 선수에게 돌아갔다. 남자 최고 게임의 영예는 조세프 로드리게즈 선수에게 돌아갔고, 여자 최고 게임 영예는 강경희 선수에게 돌아갔다. 그 외 종목별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 개인전 A조 1등 정성일, 2등 딜런 리, 3등 이성주, 4등 김성민 ▲ 개인전 B조 1등 조세프 로드리게즈, 2등 강경희, 3등 유환희 ▲ 개인전 C조 1등 정수철, 2등 성정미, 3등 케빈 김 ▲ 3인조 팀 1등 조세프 로드리게즈·코넬리우스 김·존킴 ▲이종협·켄김·이호식 ▲김인재·제임스 리·딜런 리 등이다. 이번 대회는 달라스 볼링협회(회장 구본성)가 주최하고 달라스 체육회(회장 크리스 김)가 주관했다. 그 외 달라스 한인회(회장 김성한), 달라스 체육회, 장덕환 달라스 초대 볼링협회장, 한식당 영동회관, 한마음 볼링모임(회장 신민식), 로얄 당구장 등이 후원했다. 미주체전 달라스 대표 선수단은 3월9일, 3월16일, 3월23일, 3월30일, 그리고 4월5일 등, 총 5주간의 경기를 치른 후 그 중 점수가 가장 높은 4주간의 점수를 합계로 선발됐다. 남자 선수 6명과 여자 선수 6명 등 총 12명의 선수가 달라스를 대표해 6월20일(금)부터 22일(일)까지 달라스에서 열리는 제23회 미주체전 볼링 종합 우승을 목표로 출격한다. 장덕환 초대회장은 “이번 대회를 통해 제23회 미주체전 달라스 대표선수단을 선발하게 됐다”며 “모두가 한마음 한 뜻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기 바란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토니 채 기자〉대표선수 미주체전 대표선수 선발전 미주체전 달라스 달라스 미주체전

2025-04-11

“달라스를 대표할 최고의 배드민턴 선수들을 선발합니다”

 달라스 배드민턴 협회(회장 이재훈)가 오는 6월20일(금)부터 22일(일)까지 달라스에서 열리는 제23회 전미주한인체육대회(이하 미주체전)에 출전할 달라스 대표선수 선발전을 갖는다. 선발전은 4월19일(토) 오전 9시, 루이스빌에 소재한 비스타라 스포츠 센터(Vistara Sports Center)에서 열린다. 종목은 남녀 일반부와 남녀 장년부다.   이재훈 회장은 “달라스 및 텍사스에 거주하는 배드민턴 동호인 여러분들께서는 이번 대표 선수 선발전을 통해 마음껏 기량을 겨뤄 주길 바란다”며 “동시에 자랑스러운 달라스 대표 선수 자격을 획득해 달라스의 위상을 전 미주 한인 커뮤니티에 알리는 초석이 되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재훈 회장은 “이번 선발전은 철저히 개인 기량만을 기준으로 대표 선수를 선발하기에, 그 어느때 보다 최고의 선수들을 발굴, 선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선발할 대표선수 총 인원은 23명이며, 이미 달라스 대표선수로 선발된 남자 선수 2명과 여자선수 2명을 포함해 총 27명의 선수가 달라스 배드민턴 대표선수로 활약하게 된다. 이재훈 회장은 이번 배드민턴 선수단 규모가 역대 최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27명의 선수들 외에 단장 1명과 임원 3명으로 선수단이 꾸려진다. 이재훈 회장은 “달라스 배드민턴 협회는 이번 달라스에서 열리는 제23회 미주 한인체육대회에 그 어느때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최선의 준비를 다 할 것임을 다짐한다”며 “지난 뉴욕 대회에서 이뤄낸 은메달 1개와 동메달 3개를 뒤로 하고 이번 대회에서는 금메달 3개를 비롯해 은메달과 동메달은 지난 대회 이상으로 성적을 내려 협회에서 많은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달라스 인근, 그리고 텍사스 내 많은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선발전 참가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달라스를 중심으로 한 북텍사스 지역은 한인 배드민턴 동호회 커뮤니티가 그 어느 지역보다 활성화 돼 있어 이번 선발전 역시 열띤 경연이 예상된다. 지난 1월25일(토) 루이스빌에서 열린 제2회 달라스 배드민턴 챔피언십 대회가 그 열기를 말해준다. 비스타라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이 대회에는 북텍사스를 포함, 전국 각지에서 100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달라스 배드민턴협회가 주최하고 프리스코 배드민턴 클럽(회장 홍종규, FBC)이 주관한 이 대회에는 애틀랜타, 뉴욕, 워싱턴 D.C., 오클라호마, 휴스턴, 어스틴, 로스앤젤레스 등 다양한 지역에서 선수들이 출전했다. 한인 뿐만 아니라 인도계 등 타문화권 선수들도 대회에 참가해 친목을 다졌다. 제23회 미주체전 달라스 배드민턴 대표선수 선발전이 열리는 비스타라 스포츠 센터 주소는 400 W. Vista Ridge Mall Dr., Lewisville, TX 75067이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재훈 회장(845.664.4402)에게 문의하면 된다.                                 〈토니 채 기자〉배드민턴 달라스 달라스 대표선수 달라스 배드민턴 배드민턴 동호인

2025-03-14

[뉴스 포커스] 토미 현수 에드먼이 다저스에 온 의미

메이저리그(MLB)의 한국계 선수인 토미 현수 에드먼이 LA에 왔다. 트레이드를 통해 LA다저스 선수가 된 것이다. 아직 부상에서 회복 중이지만 조만간 다저스타이움에서 그가 활약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됐다. 야구팬들에게는 가슴 설레는 일이다.    개인적으로 그의 다저스행이 반가운 것은 지난해 2월 ‘토미 현수 에드먼의 태극기’라는 칼럼을 쓴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의 WBC(월드베이스볼클래식) 한국 대표팀 선발 소식이 전해진 무렵이었다. 그의 한국 대표팀 합류는 큰 의미가 있었다. 당시 재외동포청 출범 작업도 한창이던 터라 시기적으로도 좋았다. 한국에선 ‘한국 국적자가 아닌 선수의 첫 한국 대표’라면서도 반응은 긍정적이었고, 한인 사회는 ‘한국계’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토미 현수가 한국 대표 선수가 될 수 있었던 것은 WBC의 독특한 규정 덕분이다. WBC 주최 측은 흥행을 위해 본인이 원하면 부모는 물론 조부모 출신 국가의 대표로 출전하는 것도 허용했다. 토미 현수는 어머니가 한인이라 자격이 충분하다. 메이저리그에는 한국 대표 선수 자격을 갖춘 선수가 몇 명 더 있었다. 한국 대표팀 측은 이들과도 접촉했지만 아쉽게도 다들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상과 팀 내 주전 경쟁이 이유였다. 사실 확실하게 주전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스프링캠프를 앞두고 팀을 이탈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토미 현수는 흔쾌히 합류 의사를 밝혔고 소중한 시간을 할애 했다.     그가 한국 도착 후 공항에서 들뜬 표정으로 첫 인터뷰를 하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한국팀이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서툴지만 한국어 인사말도 건넸다. 하지만 한국 대표팀의 성적이 좋지 않았고 토미 현수 에드먼의 스토리도 거기서 마침표를 찍었다.   그의 한국 대표선수 활약은 많은 여운을 남겼다. 우선 ‘한국계 미국인’의 존재 가치를 다시 한번 확신시켜 줬다. 일반적으로 ‘한국계’란 부모나 조부모 중 한 명이 한인인 경우를 칭한다. 일부에서는 ‘혼혈’이라는 말을 사용하지만 거부감이 든다. 왠지 차별의 의미가 담겨 있는 듯해서다.       이민 역사가 깊어지면서 ‘한국계’도 늘고 있다. 타인종과 결혼하는 한인이 늘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실제로 인구 센서스 결과를 보면 ‘한국계’의 증가폭이 한인 인구 전체의 증가폭을 훨씬 앞선다. 시간이 흐르면 이런 현상이 더욱 가속화 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화제를 모았던 영화 ‘메이 디셈버(May December)’의 남자 주인공 역을 맡았던  찰스 멜튼은 어머니가 한인인 한국계다. 그리고 지난해 메이저대회인 US여자오픈 골프에서 깜짝 우승한 앨리슨 코푸즈도 한국계다. 음악계에도 이미 잘 알려진 한국계가 있다. 그래미상 수상자로  2022년 LA에서 열린 56회 수퍼보울 하프타임 공연에도 참여했던 앤더스 팩이다. 그는 외할머니가 한인이다.      안타까운 것은 이들과 한인 사회와의 접점이 크지 않다는 사실이다. 한인 사회는 그들에게 무관심하고, 그들은 한인 사회의 존재를 잘 모른다. 거창하게 정체성 운운하지 않더라도 그들에게 “나도 한인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생각이라도 갖게 할 방법은 없을까. 이를 위해서는 한인 사회가 머저 손을 내밀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류현진이 떠난 후 다저스에 대한 한인 야구팬들의 관심도 시들해졌다. 하지만 이제 다시 다저스를 응원해야 할 이유가 생겼다. 다저스에는 토미 현수 에드먼이 있기 때문이다. 과거 박찬호, 류현진에게 그랬듯 이제는 토미 현수의 활약에 열광하는 것은 어떨까. 그리고 그것이 한인 사회가 ‘한국계’를 끌어안는 첫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김동필 / 논설 실장뉴스 포커스 다저스 토미 토미 현수 한국 대표선수 la다저스 선수

2024-08-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