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K타운 맛따라기] 한인타운 노포식당의 추억

“미스터 김. 왜 그래? 돈이 없어 그래? 그럼 그냥 가라고…”   1970년대 말 LA 한인타운의 정서와 인심을 대표하던 ‘호반식당’의 광고 문구였다. 이 한마디에는 끈끈한 정과 넉넉한 인심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1969년 문을 연 ‘뉴코리아 식당’과 더불어 당시 올림픽길 상권의 유일한 한식당이었던 호반식당은 단순히 음식점의 의미를 넘어 1990년대 말 문을 닫기 전까지 올드 한인타운의 상징과 같은 존재였다. 그래서 ‘돈을 긁어모았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성업을 이뤘다.   현재 그 자리는 ‘서울소울’이라는 무제한 고깃집으로 바뀌어 있다. 건물만은 자제분이 여전히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호반식당의 성공은 올림픽길 한식당 전성시대를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이후 징기스칸 요리로 유명한 ‘서울회관’, 냉면의 ‘세종회관’, 한 시대를 풍미했던 ‘강서회관’, 파란 기와 지붕이 인상적인 ‘청기와’, 크랜셔길의 ‘강남회관’ 등 쟁쟁한 이름의 한식당들이 속속 들어섰다.     이들 식당의 공통점은 모두 주인이 건물주였다는 점이다. 바야흐로 올림픽길의 ‘오너-유저’ 시대를 연 주역들이었다. 현재는 1983년 문을 연 강남회관만 유일하게 같은 사장이 운영하고 있다.     웨스턴길에도 한식 신화는 탄생했다. 지금의 마당몰 자리에는 한인타운을 대표했던 고급 한식당 ‘우래옥’이 있었다. 한국 우래옥 가문의 막내 딸이 소유주였던 이곳은 고풍스러운 인테리어와 테이블마다 설치된 구릿빛 후드가 인상적이었다. 가족 간 상표권 문제로 식당은 ‘마당’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지만, 개발 과정에서 건물 소유권을 잃고 식당 상호도 ‘현대옥’, ‘정육점’ 등으로 바뀌면서 안타깝게도 그 명맥을 잃었다.   웨스턴길은 대형 한인 뷔페식당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원조 명동칼국수 박시연 사장님의 이름을 딴 ‘시연부페’가 ‘올유캔잇 코리안푸드’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창업주의 타계 이후 건물은 팔려서 재개발되었고, 식당도 이름처럼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신라부페, 궁전부페, 비원 등 대형 뷔페 업소들이 그 흐름을 이었다.   8가길에도 올드 타이머들의 모임 장소로 빠지지 않았던 전설의 식당이 있다. 1978년 문을 연 ‘동일장’이다. 팬데믹이 한창이던 지난 2020년 폐업했지만, 40여년간 한식과 일식을 겸비한 최고의 식당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에서 주방장들을 초빙해 여러 명장을 배출한 식당이었다. 서울회관 전 사장님과 강남회관 현 사장님이 그 주인공들이다. 동일장의 대표 메뉴는 로스구이였다.   호반식당의 따뜻한 인심이 기억되는 그 시절로부터 반세기가 훌쩍 지난 지금, LA 한인타운을 대표하는 한식당을 꼽으라면 단연 ‘조선갈비’가 떠오른다. “먹어보니 정말 맛있지예?”라는 주인장의 친근한 경상도 사투리처럼, 맛과 서비스에서 정통성을 느낄 수 있다. 전설의 소공동순두부 사장님이었던 이 여장부는 대형 주차장과 야외 패티오를 갖춘 단독 건물을 유명 건축가에게 설계까지 의뢰해 완성해냈다.     비슷한 시기, ‘박대감’ 또한 한인타운의 또 다른 얼굴이 되었다. 버몬트길에 위치한 이곳은 꽃살로 유명하다. 맛도 맛이지만 박찬호 부부를 비롯한 여러 유명인들과의 친분은 활용한 ‘스타 마케팅’ 전략으로 큰 성공을 거뒀다. 규모는 앞선 두 곳에 비해 작지만, 맛만큼은 결코 뒤지지 않는 숨은 강자도 존재한다. ‘수원갈비’는 소박하고 토속적인 분위기 덕분에 외국인 손님 접대 장소로 자주 애용되는 곳이다.   그밖에 최근 10년 내 오픈한 식당 중 눈에 띄는 곳으로는 소리꾼 장사익씨의 ‘칠보면옥’ 자리에 문을 연 ‘형제갈비’, 윌셔 에퀴터블 빌딩의 ‘무한 바비큐’로 한인타운을 다소 벗어난 미라클마일과 베벌리힐스, 다운타운에 지점을 둔 ‘젠와(기와라는 뜻)’등이 있다.   이번 칼럼은 음식에 비유하면 LA한인타운 한식당 족보 맛배기다. 순두부로 첫 칼럼을 쓴 뒤 주변에서 ‘한식당 비사’들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앞으로 나만의 한식당 구별 기준에 따라 식당들을 소개해볼 생각이다.  예를 들어 불고기와 갈비 등 BBQ를 비롯해 면, 탕, 찌개, 볶음류까지 아우르는 정통 한식당부터, 고기구이 전문점, 무제한 고기집, 그리고 특정 메뉴만을 고집하는 전문점까지, 한인타운의 다채로운 한식의 세계를 맛있게 써보려한다. 라이언 오 / CBC 윌셔프로퍼티 대표K타운 맛따라기 한인타운 노포식당 올림픽길 한식당 고급 한식당 올드 한인타운

2025-04-20

[김상진 기자의 포토 르포] 100년을 이어져 온 주방의 불꽃

세계적으로 음식을 소개하는 먹방 유튜브와 방송이 유행하면서 언젠가부터 오래된 식당이나 가게를 '노포(老鋪)'라 부르고 있다. '노포'란 한자 뜻 그대로 늙은 가게를 뜻한다.     역사가 242년인 LA에는 창업 100년이 넘은 식당이 수두룩하다. 그중 하나가 한인타운에 있다. 멕시칸 레스토랑 '엘 촐로(El Cholo)'. '엘 촐로'는 1923년 알레한드로 보르케스와 그의 부인 로사가 콜로세움 인근에 창업하고 1927년 현재 자리로 옮겨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그들의 외손자 론 솔즈베리씨가 3대째 이어가고 있다.     LA시는 지난달 30일 웨스턴 애비뉴와 11가 교차로를 엘 촐로 창업자 부부의 이름을 따 '알레한드로와 로사 보르게스 스퀘어'로 명명했다.   팬데믹을 겪으며  전원식당, 동일장, 베버리 순두부 등 오래된 식당들이 문을 닫았다. 사라진 식당들은 한인타운에서 20~30년씩 운영되며 나름 노포로 불렸지만 '엘 촐로'의 역사와는 비교할 수 없다.   올해로 한인 이민 역사도 공식적으로 120년이 됐다. 방탄소년단을 위시해 K팝, K뷰티, K푸드, K무비 등 한국 관련 온갖 콘텐츠에 K를 앞세울 정도로 한국문화가 유행 중이다. 그런데 자랑할 만한 노포식당 하나 없다. LA타임스가 지난 2020년 창업 26년 만에 문을 닫은 전원식당을 아쉬워 하는 기사를 쓸 정도다.     우리는 제대로 된 이민 박물관도 없는데 제대로 된 노포식당 하나 없다. 노포도 역사다.   '엘 촐로' 주방에서 일한 지 40년이 넘었다는 요리사가 불꽃을 내며 음식을 볶아내고 있다. 김상진 사진부장 [email protected]김상진 기자의 포토 르포 주방 불꽃 전원식당 동일장 노포식당 하나 창업자 부부

2023-04-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