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룩킹 포 맘: 김기정 엔지니어] “행복한 가정 자랑하고 싶어요”

“입양이 ‘항상’ 행복을 보장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전 예쁜 가정의 훌륭한 가장이 됐답니다.”     꼭 행복한 가정에서만 입양아들이 자라는 것은 아니라는 증거가 바로 로버트 앤더슨(Robert Anderson·김기정·50·사진)이다.     김씨는 1972년 5월 10일 서울 시청 뒤에서 발견됐다. 당시 경찰과 보호기관은 그가 3개월이 채 안 된 상태라고 미아보호 기록에 적었다. 충현고아원에 맡겨진 그의 소재 파악은 불가능했고 2년 뒤인 1974년 2월 미네소타로 향하는 비행기를 타야 했다.     “주민들이 8000여 명 되는 조그만 곳이었는데 자라면서 인종차별은 생활이었어요. 상점에 가면 주인이 항상 뭘 훔쳐가지 않나 싶어 따라오곤 했죠. 학교에서는 늘 두들겨 맞았어요.”     이 와중에 가정도 온전치 못했다. 부모는 알코올 중독으로 가족을 돌보지 못했다.     학교를 졸업한 김씨는 1997년 한국을 방문해 가족 찾기에 나서지만 모든 서류는 없어진 상태였다.       “김포 공항에 내렸는데 고향에 온 것 같은 포근함이 있었어요. 25살 때입니다. 다시 돌아와 투병 중이던 처남의 병상을 지키다가 문득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겠다’고 결심했죠. 1999년에 다시 한국에 갔습니다.”     하지만 그는 한국에서 ‘외국인 같다’는 말을 들어야 했다. 태어나 미국으로 버려졌다 돌아왔는데 어른이 되어서 또다시 버려진 느낌이 들었다고 한다.     그는 베니스로 여행을 갔다가 지금의 아내를 만났고 잉글랜드에 자리를 잡고 아이를 넷 낳아서 잘 키우고 있다고 했다.     “2020년 DNA 테스트를 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지만 아마도 부모님들이 70세 이상이 됐을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형제나 다른 가족이라도 꼭 만날 수 있으면 좋겠어요.”   그는 “어머니를 만나면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어렵게 자랐지만 아름다운 가족을 가꾸며 아이들을 키우는 제 모습을 자랑스럽게 보여드리고 싶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룩킹포맘 투게더’는 미주중앙일보와 한국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권리보장원’이 공동 제작하고 있으며 ‘농심 아메리카’가 후원한다. 최인성 기자김기정 한국 보건복지부 미주중앙일보 유튜브 robert anderson

2022-12-12

"1972년 5월10일 서울시청 뒤 절 두고 가신 분 찾습니다"

"저는 1972년 5월 10일 오전 7시경 서울시 중구 태평로 서울시청 뒤편에서 행인에 의해 발견됐다고 합니다. 두고 가신 분을 찾습니다."   1974년 8월 미국에 입양된 로버트 안데르센(한국명 김기정.50) 씨가 뿌리를 찾고 있다. 28일 그가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에 보낸 친가족 찾기 사연에 따르면 발견 당시 김 씨와 친부모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었다. 한국 이름과 생일(1972년 2월 4일)은 모두 보육원에 인계되면서 정해졌다고 한다.   발견된 후 충현보육원에서 2년간 생활하다가 1974년 2월 홀트아동복지회로 인계됐고 같은 해 8월 미국에 입양됐다.   "미국에서의 생활은 팍팍했어요. 저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과 싸워야 했고 가난을 극복하기 위해 돈을 벌어야 했습니다."   그는 한국을 떠난 지 23년째인 1997년 처음으로 고국 땅을 밟았다. 당시 서울에 도착했을 때 마치 집에 돌아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고 마음속의 뻥 뚫렸던 구멍 같은 것이 마침내 메워지는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   자신이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찾은 그는 뿌리 찾기에 나섰다. 충현보육원과 홀트아동복지회를 방문해 어떤 기록이라도 찾으려고 했지만 홍수로 인해 자료가 없어졌다는 설명을 듣고는 포기했다.   다만 자신이 어린 시절 한국에서 생활할 때 누군가 찍었던 3장의 사진을 입양인지원센터에 보냈다.   그는 "친부모를 찾는 것이 정말 어려울 거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다만 그분들이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제게 삶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입양인으로서의 삶이 어렵긴 했지만 현재 저는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살고 있고 부모님을 뵙는다면 제 이야기를 들려주고 부모님의 이야기도 듣고 싶을 뿐"이라고 애타는 마음을 전했다.미국 서울시청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한국명 김기정 한국 이름

2022-08-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