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조지아 의회, 올해도 테넌트 보호는 뒷전

민원담당 고용 의무 법안만 겨우 통과   조지아주 의회가 정기회기 종료까지 10일 남짓 남겨 놓은 가운데 기업형 투자자로부터 렌트 세입자를 보호하는 입법 활동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주 의회 상원 경제개발상임위는 지난 20일 임대전문기업으로 하여금 주 내 세입자 민원 담당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토록 하는 법안(HB 399)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이미 하원에서 찬성 163 대 반대 4의 큰 표차로 통과됐다. 규제 대상은 주내 25채 이상 주택을 소유한 타주의 기업형 임대 사업자다.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임대주택 대부분은 현재 대형 업체 7곳이 장악하고 있다. 애틀랜타 지역위원회(ARC)에 따르면 아메리칸 홈즈포렌트, 인비테이션 홈즈 등 7곳은 21개 카운티의 주택 총 5만 1000채를 나눠 소유하고 있다. 특히 귀넷 카운티의 경우 조지아주 부동산업체 주택 투자의 약 5분의 1인 1만 여채가 위치하고 있다. 메리 마가렛 올리버 주 하원의원(민주·디케이터)은 "조지아 주민들로부터 이익을 취하면서 주택 관리는 소홀히 하는 무책임한 타주 회사가 적지 않다"고 입법 의도를 밝혔다.   올해 표결엔 실패했지만 '프로텍트 더 드림' 법으로 이름 붙여진 하원 법안(HB 399) 역시 임대 기업을 규제하는 법안이다. 헤지펀드 등 투자업체나 기업 법인이 주 내 단독주택 2000채 이상 또는 단일 카운티에서 총 가치 625만 달러 이상의 주택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지난달 발의됐으나 채 논의되지 못하고 폐기됐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주 의회는 임대료와 모기지 비용 상승을 억제하는 법안을 제정하는 데 뒤처져 있다"며 "연간 임대료 상승폭을 제한하고, 세입자가 최소한의 주거 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보호하는 법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조지아주 기업형 조지아주 의회 조지아주 부동산업체 올해 조지아주

2025-03-25

GFFG, 빌드블록과 손잡고 미국 시장 진출

        Build Block Inc.(이하 “빌드블록”)이 지난 2월, FOOD&LIFESTYLE 크리에이티브 브랜드 기업 GFFG와 미국 캘리포니아 LA 빌드블록 사무실에서 GFFG의 미국 진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GFFG 브랜드 IP 미국 진출 전략적 파트너십 ▲GFFG의 Food& Lifestyle 브랜드 기획, 사업 운영 및 마케팅 ▲빌드블록의 미국 부동산 탐색 및 중개, 인테리어 시공을 포함한 시설관리 업무 일체 등을 상호 협의 하에 추진하기로 했다.     GFFG는 국내에 도넛 열풍을 몰고온 ‘노티드’를 비롯해 호족반(퓨전 한식), 다운타우너(수제 버거) 등 11개의 브랜드를 운영 중이다. 특히 외식업뿐만 아니라, F&L(푸드&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이끄는 기업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에는 알토스벤처스, 쿼드 자산운용으로부터 3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빌드블록은 한국인과 기업을 대상으로 미국 부동산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부동산 탐색 및 중개 뿐만 아니라 건축 시공, 임대 및 시설관리까지 미국 부동산 투자에 필요한 일체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미국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을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하여, 미국 내 매장 탐색부터 빌드블록 건설 자회사를 통한 설계, 인허가, 인테리어 시공까지 제공하는 “기업형 미국 진출 토탈 솔루션”서비스를 론칭해 제공하고 있다. 빌드블록 또한 지난 해 IS동서, 하나증권 Club1, 프라이머 사제 파트너스 등으로부터 200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한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 관련 사업 확장을 성공적으로 이뤄냈다.     GFFG 관계자는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브랜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매장 위치가 굉장히 중요한 만큼, 부동산 관련 고민이 많았다”라며, “글로벌 부동산 운용 역량을 갖춘 빌드블록의 전문성과 GFFG의 경쟁력이 만나 양사의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빌드블록의 관계자는 “한류 열품으로 한식에 대한 미국 본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GFFG의 다양한 브랜드가 한국을 넘어 북미 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공식을 찾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양사는 23년 상반기, LA의 노티드 팝업스토어 오픈을 시작으로, 미국 주요 도시들에 진출할 계획이다.    박원중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시장 진출 전략적 기업형 진출 진출 관련

2023-03-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