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구호 현장에서] 잠비아에 드리운 검은 그림자

지난해 2월부터 잠비아는 극심한 전력난에 신음하고 있다. 하루에 고작 두세 시간, 심지어 이틀이나 사흘에 단 두 시간만 전기가 공급되는 상황은 이곳 주민들의 일상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냉장고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니, 한국에서 가져와 아껴 먹던 떡, 단무지, 유부초밥도 모두 상해 버렸다. 얼마나 아깝던지. 우리 집 막내는 속상한 나머지 눈물까지 글썽였다.   이번 전력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은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이다. 잠비아는 전체 전력 생산량의 85% 이상을 수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된 가뭄으로 인해 주요 발전원인 카리바 댐의 수위가 현저히 낮아지면서 발전량은 평소의 15% 수준으로 급감했다.   문제는 단순한 생활 불편을 넘어선다. 굿네이버스 잠비아가 활동하는 농촌 지역 주민들은 생존의 기로에 놓였다. 1년에 단 한 번의 우기에 의존해 옥수수를 재배하는 이들에게 가뭄은 곧 생계의 위협이다. 짧아진 우기에 제대로 자라지 못한 옥수수 밭은 텅 비었고, 이는 곧 심각한 식량 부족으로 이어졌다. 잠비아 정부가 국가 재난을 선포하고 비축 식량을 배분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생존 위협이 사회적 문제로 확산된다는 점이다. 수확 실패로 생계가 막막해진 빈곤 가정에서는 식량 확보를 위해 어린 딸을 조혼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참금은 물론, 그나마 경제적으로 나은 가정에 보내면 굶주림이라도 면할 수 있다는 절박한 심정이 작용한 결과다. 현재 잠비아의 조혼율은 30%에 달하며, 가뭄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는 더 많은 아이들을 노동 현장으로 내몰고 있다.   특히 시골 지역 아이들이 돈을 벌 수 있는 길은 극히 제한적이다. 길거리에서 과일을 팔거나 가축을 돌보는 일, 숯을 만드는 것 외에 가장 흔한 방법 중 하나가 폐광산 노동이다.     세계적인 구리 생산국인 잠비아에는 버려진 광산이 많고, 이곳에서 아이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구리가 섞인 돌을 주워 생계를 이어간다. 어린 손으로 하루 종일 돌을 주워도 손에 쥐는 돈은 1kg당 약 300원에 불과하다. 더욱이 안전 설비조차 없는 폐광산은 언제든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안타깝게도 인명 사고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닌, 인간의 생존과 존엄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다. 특히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저소득 국가의 취약 계층에게는 더욱 가혹한 현실로 다가온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기후 불평등’이라는 묵직한 화두를 마주하게 된다.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온실가스 배출의 주된 책임은 역사적으로 선진국에 있다. 그러나 그 피해는 고스란히 저소득 국가들이 떠안고 있는 불균형한 현실이 바로 기후 불평등이다. 일부 저소득 국가들은 선진국의 해외 원조를 통해 위기에 대응하기도 하지만, 최근 미국의 해외 원조 중단은 잠비아를 비롯한 여러 아프리카 국가를 더욱 심각한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일각에서는 저소득 국가들의 원조 의존성을 비판하며 원조는 의무가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후변화는 단순한 자선이나 호의의 문제가 아닌, 기후 위기를 초래한 국가들의 명백한 책임 영역이다. 우리는 누가 이 위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 어떻게 함께 해결해 나갈 것인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굿네이버스 잠비아는 가뭄으로 고통받는 주민들과 함께 긴급 식량 지원을 제공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CSA(Climate Smart Agriculture) 농법을 보급하고 있다. 공동 농장 조성, 관개 시설 구축, 친환경 퇴비장 마련, 그리고 농업 실패에 대비한 양계장 운영 등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지역 사회의 자립을 돕고 있다.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한 일회성 지원을 넘어, 지속 가능한 농업 비즈니스를 통해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기후 위기는 더 이상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인류 공동의 과제다.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분담하고, 해결책을 모색해 나갈 것인가. 이제 국제 사회는 그 답을 제시해야 할 때이다. 이재웅 / 굿네이버스 잠비아 대표구호 현장에서 잠비아 그림자 굿네이버스 잠비아 잠비아 정부 현재 잠비아

2025-04-03

스타 강사 김미경, 굿네이버스 나눔 토크 콘서트 개최

자기계발 전문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김미경 강사의 굿네이버스 나눔 토크 콘서트가 오는 3월 28일과 29일 양일간 남가주에서 개최된다.     '더 행복한 나를 찾아 떠나는 여정'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콘서트는 바쁜 일상 속에서 지치고 방황하는 이들에게 위로와 새로운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시간이 될 전망이다.     김미경 강사는 토크 콘서트를 통해 자존감을 회복하고 실질적인 도전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는 각오다. 또한 성공과 행복을 위해 달려왔지만 삶의 리셋이 필요한 순간, 방향성과 의미를 다시 찾을 수 있도록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굿네이버스 나눔 토크 콘서트는 28일 금요일 노스리지 소재 에브리데이 교회(17037 Devonshire St, Northridge)에서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29일 토요일 어바인 온누리 교회(17200 Jamboree Rd, Irvine)에서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진행된다. 티켓 판매 수익금 전액은 가정폭력 피해 여성과 어린이들을 위한 쉼터 지원에 사용된다.     주최 측은 "이번 콘서트는 단순한 강연을 넘어 보다 따뜻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또한 다수의 강연과 저서를 통해 '자기다움'을 찾고 실현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김미경 강사는 "사랑하는 가족, 소중한 친구, 함께 성장하고 싶은 동료와 함께 오시면 여러분의 열정 에너지를 200% 충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다"라고 전했다.     이번 토크 콘서트에서도 그녀만의 솔직하고 현실적인 메시지를 통해 많은 이들이 용기와 희망을 얻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김미경 토크 콘서트 티켓은 중앙일보 '핫딜'에서 20달러에 구매 가능하다. 강연 후에는 김미경 강사와의 사진 촬영, 사인회, 그리고 '딥마인드' 책 구매 기회도 제공된다.      ▶상품 살펴보기:hotdeal.koreadaily.com핫딜 굿네이버스 김미경 토크 콘서트 스타 강사

2025-03-05

[구호 현장에서] 소외되지 않는 발전을 위해

미주중앙일보와 소망소사이어티가 굿네이버스와 함께 아프리카 차드에 희망을 전달한 ‘소망우물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15년이 흘렀다. 그동안 한인 500여 명이 뜻을 모아 기적과 같은 일을 만들어냈다. 깨끗한 물이 없어 생명을 위협받던 마을에 우물이 생기면서 아이들은 오염된 강물을 마시지 않아도 되었고, 여성들은 하루 종일 물을 긷기 위해 먼길을 걸을 필요가 없어졌다. 지금도 그 마을의 아이들은 그 우물 덕분에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   긴 세월이 흐르는 동안 굿네이버스의 해외 구호 활동도 더욱 전문적으로 발전했다.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최상위 협의 지위를 가진 기관으로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발전(Leave No One Behind)’을 실현하기 위해 유엔, 정부기관, 기업, 시민사회, 지역주민과 협력하고 있다.   2015년, 유엔 회원국들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동 목표인 ‘2030 지속 가능 발전 의제(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를 채택했다.     그 핵심에는 빈곤과 불평등을 줄이고, 교육과 건강을 개선하며,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17개의 ‘지속 가능 발전 목표(SDGs)’가 있다.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 지역사회, 비영리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인 이유다.   굿네이버스는 특히 SDGs의 여러 목표와 맞닿아 있는 활동을 펼쳐왔다. 빈곤 퇴치, 교육 확대, 보건 서비스 제공, 성 평등, 깨끗한 물과 위생 보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탄자니아의 한 작은 마을에서 굿네이버스는 마이크로파이낸스를 활용한 자립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한부모 가정이 많고 경제적 기반이 부족한 이 지역에서 여성들에게 소액대출을 지원해 가게를 열고 가축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왔다. 그 결과,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웠던 여성들은 이제 자녀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단순한 지원을 넘어, 지역 사회 전체가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다.   우간다 북부 지역에서 굿네이버스는 이동형 의료 차량을 운영해 산간 마을을 직접 찾아다니며 기초 의료 서비스와 예방 접종을 제공했다. 특히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모기장 보급 사업을 병행하여 수천 명의 생명을 살릴 수 있었다. 팬데믹 시기에는 마스크와 소독제, 생필품을 긴급 지원해 가장 취약한 계층을 보호했다.   네팔의 한 시골 마을에서는 학교 건물이 무너질 위험에 처해 있어 아이들이 제대로 공부할 수 없는 환경이었다. 굿네이버스는 교실을 새로 짓고, 책상과 교재를 지원하며, 현지 교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그 결과, 아이들은 안전한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되었고, 마을의 문해율도 크게 향상되었다. 교육이 빈곤의 대물림을 끊을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 사례다.   비영리단체들은 SDGs 목표 실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특히 재정적 지속 가능성과 투명성 확보,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주요 과제다.   굿네이버스와 같은 구호 단체들은 단순한 원조를 넘어 SDGs 목표를 실현하는 글로벌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비영리단체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정부, 기업, 개인이 모두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많은 문제는 한 국가나 단체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 SDGs는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다. 이제는 함께 행동해야 할 때다.   김재학 / 굿네이버스 USA 본부장구호 현장에서 소외 발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동안 굿네이버스 유엔 정부기관

2025-02-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