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거리·전철 배회 정신질환자 강제치료”

뉴욕시 유권자 10명 중 9명이 길거리나 전철 시스템에서 배회하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비자발적 입원 및 치료 확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더 나은 뉴욕을 위한 협회(ABNY)'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 88%가 '본인을 돌보고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할 수 없는 개인이 비자발적 치료 및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주정부 자격을 확대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반대한다고 답한 비율은 4%에 불과했다.   또 91%는 '중증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을 거리에 방치하는 것보다 비자발적 치료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자비로운 일'이라는 것에 동의했으며, 절반 이상인 53%는 이에 '매우 동의'한다고 밝혔다.   또 유권자 10명 중 9명(91%)은 '중증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가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정신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잃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스티븐 루벤스타인 ABNY 협회장은 "뉴욕 시민들은 매일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자신의 안전에 대한 위협을 직접 겪으며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 73%는 '최근 몇 년간 뉴욕에서 치료받지 않은 중증 정신질환자 관련 공공 안전 사고가 증가했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또 86%는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고 있어 스스로를 돌볼 수 없어 보이는 사람이 길거리나 전철을 배회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고 했다.   실제 뉴욕시 홈리스서비스국(DHS)이 실시한 노숙자 인구 추정 조사(HOPE)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약 2000명의 노숙자가 전철 시스템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시 5개 보로 전역에 거주하는 노숙자 수는 총 4140여명으로 추정됐는데, 이중 절반이 전철 시스템에 거주하는 셈이다.       ABNY 조사에 응한 유권자 3분의 2는 '전철이나 버스를 타는 동안 정신질환자의 행동으로 인해 위협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앞서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올해 신년 연설에서 "정신질환자, 혹은 이미 범죄 경력이 있는 이들이 또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은 만큼 정신질환자의 동의 없이도 강제 치료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했으나, 인권·시민단체들의 강력한 반대와 주 상·하원의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다만 칼 헤이스티(민주·83선거구) 뉴욕주하원의장은 "전철 시스템이 정신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거주지가 돼서는 안된다"며 "강제 치료 방안에 대해 더 논의해보겠다"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정신질환자 강제치료 중증 정신질환자 동안 정신질환자 전철 배회

2025-03-17

“야간 전철에 경찰 추가투입, 정신질환자 강제치료”

각종 범죄와 비싼 물가 때문에 뉴욕주를 떠나는 이들이 늘어난 가운데,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2025년 새해엔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호컬 주지사는 14일 올바니에서 ‘가족을 위한 싸움’(Fighting for Your Family)을 주제로 신년 연설을 하고, 뉴욕시 치안 강화와 뉴요커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의 내용을 제안했다.     그는 “뉴욕시경(NYPD)과 협력해 오후 9시부터 오전 5시 야간시간대 모든 전철에 경찰을 추가, 순찰 수준을 높일 예정”이라며 “뉴욕시 노숙자서비스국의 연중무휴 ‘웰컴 센터’도 전철 종착역 근처에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철 선로로 떠미는 사고가 빈번해진 만큼, 뉴욕시 전철역 100개 플랫폼에 안전 펜스를 추가 설치하겠다고도 했다.     정신질환자, 혹은 이미 범죄 경력이 있는 이들이 또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은 만큼 정신질환자의 동의 없이도 강제 치료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정신질환자에겐 치료를 제공하고 시민 안전을 보장하는 ‘켄드라 법’(Kendra’s Law)을 강화하겠다는 설명이다.     다만 인권·시민단체들은 ‘정신질환자가 치료를 받지 않을 권리도 있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실제로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호컬 주지사의 이같은 의견에 즉각 환영하고 나섰다.   고물가로 인한 뉴요커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도 나왔다. 우선 그는 830만명 이상 중산층의 세금을 감면하고, 860만 뉴요커에겐 ’인플레이션 환급 체크‘라는 이름으로 가구당 최대 500달러를 환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인플레이션으로 판매세 수입이 많이 늘어난 만큼, 이 부분을 환급해 주겠다는 설명이다. 기존엔 아동 1인당 최대 330달러 수준이던 부양자녀세액공제(CTC)는 3배 수준인 1인당 최대 1000달러로 늘리겠다고도 했다. 자녀를 둔 가족의 부담을 덜기 위해 뉴욕주 전체 학생에게 무료 급식을 제공하는 방안도 제안됐다. 아동 보육시설을 늘리기 위해 1억 1000만 달러를 추가 투입한다.     뉴욕주의 주택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택 개발을 위한 주 지원을 강화하고, 1억 달러를 투자해 주택 커뮤니티 프로그램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호컬 주지사는 뉴욕주 경제회복의 중추가 되는 교통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에도 초점을 맞추겠다고 했다. 2애비뉴 전철 연장, 뉴욕주 전역의 철도 서비스 현대화 등이 포함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정신질환자 강제치료 뉴욕시 전철역 전철 종착역 전철 선로로

2025-01-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